고조

1 묘호 高祖

태조와 함께 창업군주에게 주로 내려진 묘호이다.

1.1 목록

성명묘호시호재위기간비고
자해
(子亥)
고조
(商高祖)
--상태조 추존
유방
(劉邦)
고조[1]
(漢高祖)
고황제
(高皇帝)
BC 206~ BC 195
조비
(曹丕)
조위고조[2]
(曹魏高祖)
문황제
(文皇帝)
220~226
사마의
(司馬懿)
서진고조
(西晉高祖)
선황제
(宣皇帝)
-서진세조 추존
유연
(劉淵)
고조[3]
(漢高祖)
광문황제
(光文皇帝)
304~310
모용외
(慕容廆)
전연고조
(前燕高祖)
무선황제
(武宣皇帝)
-전연태조 추존
장식
(張寔)
전량고조
(前涼高祖)
성렬왕
(成烈王)
314~320
부건
(苻健)
전진고조
(前秦高祖)
경명황제
(景明皇帝)
350~355
요흥
(姚興)
후진고조
(後秦高祖)
문환황제
(文桓皇帝)
393~416
석륵
(石勒)
후조고조
(後趙高祖)
명황제
(明皇帝)
319~333
걸복건귀
(乞伏乾歸)
서진고조
(西秦高祖)
무원왕
(武元王)
388~400
409~412
유유
(劉裕)
유송고조
(劉宋高祖)
무황제
(武皇帝)
420~422
소연
(蕭衍)
남량고조
(南梁高祖)
무황제
(武皇帝)
502~549
진패선
(陳霸先)
고조
(陳高祖)
무황제
(武皇帝)
557~559
원굉
(元宏)
북위고조
(北魏高祖)
효문황제
(孝文皇帝)
471~499
고환
(高歡)
북제고조
(北齊高祖)
신무황제
(神武皇帝)
-북제후주 추존
우문옹
(宇文邕)
북주고조
(北周高祖)
무황제
(武皇帝)
561~578
양견
(楊堅)
고조
(隋高祖)
문황제
(文皇帝)
581~604
이연
(李淵)
고조
(唐高祖)
신요대성대광효황제
(神堯大聖大光孝皇帝)
618~626
세노라
(細奴邏)
대몽고조
(大蒙高祖)
기가왕
(奇嘉王)
649~674
석경당
(石敬瑭)
후진고조
(後晉高祖)
성문장무명덕효황제
(聖文章武明德孝皇帝)
936~942
유지원
(劉知遠)
후한고조
(後漢高祖)
예문성무소숙효황제
(睿文聖武昭肅孝皇帝)
947~948
왕건
(王建)
전촉고조
(前蜀高祖)
신무성효명덕혜황제
(神武聖孝明德惠皇帝)
902~918
양륭연
(楊隆演)
남오고조
(南吳高祖)
선황제
(宣皇帝)
919~920
맹지상
(孟知祥)
후촉고조
(後蜀高祖)
문무성덕영렬명효황제
(文武聖德英烈明孝皇帝)
934
유엄
(劉龑)
남한고조
(南漢高祖)
천황대제
(天皇大帝)
917~941
진우량
(陳友諒)
진한고조
(陳漢高祖)
성문덕경령소무황제
(聖文德敬寧昭武皇帝)
1360~1363

2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수

高祚

생몰년도 미상

215년에 조조장로를 정벌하기 위해 한중을 공격했는데, 7월에 조조군이 양평에 이르자 장로가 장수들을 보내 양평관을 방어했다. 양평관을 함락하지 못해 대군이 물러났고 이로 인해 그 수비가 흐트러졌는데, 이 때 고조는 조조의 명으로 해표와 함께 험한 곳을 오른 후에 야습해서 이들을 격파하고 양임을 참수한 후에 진격해서 장위를 공격해 밤 중에 달아나게 했다.

한천사세가, 세어 등에서는 상황이 다르게 서술되어 밤 중에 야생 사슴 수천 마리가 장위의 군영에 돌입한 것으로 인해 군대가 크게 놀라 진영이 무너졌는데, 고조는 이 때 장위의 군대와 잘못 만났지만 북을 울리면서 무리를 모아 장위를 두려워 하게 해서 대군이 뒤집어졌고 이로 인해 장위의 군대를 항복시켰다.

진삼국무쌍6에서는 양평관의 전투에서 본진에서 가까운 바깥의 동쪽에 신비와 함께 위치하고 있다.

3 조부조부

부계 혈족 관계 호칭
종고조고조 / 고조모고대고모
재종증조종증조증조 / 증조모증대고모내재종증조
삼종조재종조종조할아버지() / 할머니(조모)대고모(왕고모)내재종조내삼종조
재당숙(재종숙)
재당고모(재종고모)
당숙(종숙)
당고모(종고모)
백부, 숙부아버지(아빠, 부) / 어머니(엄마, )고모내당숙(내종숙)
내당고모(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당고모(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재종형제자매종형제자매형제
(오빠), 남동생
자매
누나(언니), 여동생
내종형제자매내재종형제자매내삼종형제자매
재종질종질조카(질)아들, 조카(생질)내종질내재종질
삼종손재종손종손손자, 손녀이손내재종손내삼종손
재종증손종증손증손?내종증손
재종현손종현손현손?내재종현손
남자 혈족-여자 혈족
범례이촌삼촌사촌오촌육촌칠촌팔촌
5대 이상의 조부현조내조곤조잉조운조

4대 조부, 즉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이다. 예전에는 조혼풍습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이런 경우가 잦았지만 현재로서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고 정말로 예외적으로 100세 가까이 장수하신다면 간혹 고조부모와 현손이 공존하는 집도 있다(...)

4 기타 항목

고조라는 이름이 들어간 항목

  1. 이동 유방의 실제 묘호는 태조이며,고조는 고황제를 높여 부른 것이다.
  2. 이동 진수의 삼국지에서는 고조라는 묘호로 기록되어 있다.
  3. 이동 이후 319년 국명이 조로 바뀌며 유요전조태조로 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