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드리히 츠빙글리

Huldrich(Ulrich) Zwingli, 1484~1531.10.11

1 개요

스위스종교개혁 운동가, 취리히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마르틴 루터와 같은 시기에 활동했으며 생전에는 루터와 거의 동격으로 취급되던 네임드였지만 업적을 제대로 쌓기 전에 일찍 전사한 탓에 후대의 영향력은 별로 남아있지 않은 편. 게다가 스위스에서 거물 종교개혁가 장 칼뱅이 대두되다보니 완전히 먹힌 느낌도.(…) 선배 종교 개혁가로서 존중은 되는 편이지만 별로 비중있게 취급되지는 않는다.

많은 한국인들은 먼나라 이웃나라 스위스편에서 존재를(…) 접했을 것이다.

2 생애

2.1 젊은 시절

독일계 스위스 인. 1484년 1월 1일, 스위스 동부 토르겐부르크 자치주의 빌하우스에서 태어났다. 마르틴 루터보다 7일이 늦다. 가문은 아버지 대까지 대대로 촌장을 역임한 유력자 집안이었다.

베젠의 학장으로 취임한 삼촌에게 신학교육을 받았는데, 인문주의를 배운 것으로알려져 있다. 아비엔나 대학, 바젤 대학에서 종교학을 배웠고, 1498년에 베른 대학에서는 하인리히 뵐플린에게 사사받았다. 에라스뮈스와 편지를 교환하기도 했다.

2.2 사목 생활

1516년 22세에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글라루스의 성직자로 부임하엿지만, 프랑스 군이 징병 활동을 해오자 이에 항의하여 글라루스를 떠났다. 1518년 취리히의 도시 참사회에 초빙되어, 취리히 주교좌 성당 목사의 지위에 둔다.

2.3 종교개혁

1516년 부터 지속적으로 가톨릭 교회의 부패나 면벌부 판매를 비판하였다. 루터와 마찬가지로 성경에 모든 종교활동의 근본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성경에 근거를 두지 않는 모든 교회 제도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취리히시는 가톨릭 교회 지지파와 츠빙글리 지지파로 나누어져 분쟁이 벌어지게 된다. 몇년에 걸친 분쟁 끝에 결국 츠빙글리의 의견이 승리했다.

모든 교회의 성직 위계 제도가 부정되고, 도시 교회의 성화와 성상이 파괴되며 수도원이 폐쇄되었다. 사제 독신제도 역시 불필요하다고 보아 철폐되었다. 츠빙글리는 안나 라인하르트라는 과부와 동거 생활을 하고 있었다.

얼마동안은 미사는 가톨릭 예식대로 유지되었으나, 츠빙글리는 1525년 4월 13일. 성 목요일 미사를 폐지하고 스스로 고안한 "주님의 만찬" 의식을 처음으로 시작했다.

2.4 대립

츠빙글리는 취리히에서 달성된 개혁을 다른 스위스 도시에도 파급하려 했다. 하지만 더 급진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제세례파, 신학적 측면에서 대립하게 된 루터교회와 대립하게 되었으며, 정치적으로도 스위스의 여러 자치주는 가톨릭 지지파와 개신교 지지파로 나뉘어서 대립을 시작하게 된다.

당초에는 토론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바젤과 베른이 개신교 개혁에 가담했다.(1529년 이 때문에 에라스무스가 바젤에서 떠났다.) 1528년 베른의 토론회에서 개신교 대표들이 모여 논의를 하였고, 츠빙글리는 루터파와는 갈등이 깊어졌지만 지지 자치주를 모아 동맹을 결성할 수 있었다. 가톨릭 지지 자치주들도 이에 반하여 연합을 결성했다.

독일의 헤센 백작은 필리프 1세는 칼 5세에 대항하기 위해 개신교 대동맹을 결성을 구상했으며, 츠빙글리도 이에 끌어들이려 했다. 헤센 백작은 츠빙글리와 루터를 화해시키려고 마르부르크에서 1529년 10월 회담을 가지도록 주선했다. 하지만 성찬식에 관한 견해 차이 때문에 결국 다시 결렬되었다.

루터파와의 협력이 완전히 단절되었지만, 츠빙글리는 취리히와 베른 만으로 주도권을 잡아 스위스 전역을 지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츠빙글리의 태도에 우려를 드러낸 베른은 취리히와 노선을 달리하게 된다. 츠빙글리는 가톨릭 지방에 대해서 경제봉쇄를 단행했다.

2.5 죽음

우리 주, 슈비츠 주, 운터발덴 주(현재의 옵발트 준주와 니드발덴 준주), 루체른 주, 추크 주, 프리부르 주는 경제봉쇄에 고통받게 되자 군대를 모아 전쟁을 준비했다. 츠빙글리는 선수를 치기로 결심하고 1531년 취리히의 병력을 이끌고 카펠로 진군했다. 하지만 가톨릭 측의 군대가 1531년 10월 11일 카펠을 급습했다.

가톨릭 측의 군대는 7000명에 달했고, 2000명 밖에 안 되는 취리히 군대는 분산되어 있었고 강행군으로 지쳐있었던 탓에 오후 4시 쯤 난전 끝에 패배하여 도주했다. 약 500명 정도의 병력이 전사했고, 4명의 목사와 함께 군대를 이끌던 츠빙글리도 47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가톨릭 측에 노획된 츠빙글리의 시체는 '이단자'로서 화형에 처해졌다. 베른 주와 다른 칸톤에서 취리히를 지원하러 군대를 보냈지만 역시 패배하고, 취리히는 평화 조약을 받아들였다.

츠빙글리가 전사할 때 몸에 지니고 있었다는 투구와 2자루의 검이 취리히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3 사상

일찍 죽고 그의 운동이 사실상 칼뱅파에 흡수된 탓에 츠빙글리의 사상은 그리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인데, 역시 같은 개신교 운동가이기는 하지만 루터, 칼뱅과는 사상 면에서 차이가 적지 않았다.

츠빙글리는 마르틴 루터와는 '은총'과 '성찬'의 해석으로 갈리게 된다. 츠빙글리는 인간의 태도 역시 신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입장이었다. 츠빙글리는 성체를 단순한 '상징'으로 보았으며 기존의 화체설을 부정했다. 이것이 루터와 결별하는 결정적인 차이가 되었다.

예배에서 전례 음악도 성경에서 근거를 찾을 수 없다고 하여 폐지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다른 개신교 교파와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과 성모 마리아 평생 동정 교리는 인정하였다. 이는 대부분의 다른 개신교 교파와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또한 용병제도와 숙박업을 반대하였다. 이는 용병, 숙박업으로 돈을 벌던 스위스에서는 반응이 나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