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웬 공학

마비노기생산 스킬.

1랭크까지AP 소모량75능력치 보너스체력 + 12, 지력 + 12, 스태미나 + 15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 5초(F랭크) ~ 3초(1랭크)
공학박사높은 성능의 공학 아이템 제작 확률 증가

1 개요

발레스에 존재하는 힐웬 광산의 각종 희귀 광물을 희귀 광물학 스킬로 채광하여 그것으로 여러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는 스킬이다.

여러 의미로 심각한 스킬. 이유인즉슨 스킬 항목당 수련치가 엄청나게 적으며, 그것을 채우는 데 매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라는 것. 가히 구 윈드밀이나 세공, 직업 패치 전의 블랙스미스의 재림급 수련치를 보여주는데, 예를 들자면 그리 높지도 않은 E랭크에서 광물 융합 수련이 횟수당 0.5에 100회(...)라든가, 슬슬 위로 올라가면 A랭크쯤에서는 0.04에 1000회(...)라든가[1][2]...9랭크부터는 공학 무기 제작으로 인해 총기류를 제작해 수련치를 채우면 60% 의 수련치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수련치를 채우는 데 힐웬 광산의 몬스터가 낮은 확률로 드롭하는 에메랄드 코어[3]가 심각한 양으로 소비된다[4]. 또한 2014년 8월 8일 현재 아직 관련재능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상황이라서(...) 수련은 PC방 보너스 2배, 생활 수련치 포션 2배로 총 4배가 한계.[5] [6]거기에 생산 제작툴 특성상 수련치를 채우는 생산을 지속할 경우 시간이 엄청나게 소비된다.[7] 아예 AP를 쌓아 놓고 스킬이 나오자마자 수련포션 등을 잔뜩 부어서 마스터해 버리는 초괴수 레벨에서도 1랭크가 별로 없다시피할 정도의 문제스킬. 세공이 나오기 이전 천옷만들기나 블랙스미스와 같이 돈이 아깝다고 그냥 안 찍는 사람도 많다. 말 그대로 공밀레 스킬이다.
이 수련치가 얼마나 괴악한지 숫자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8랭크부터는 재료값보다 스킬 수련 인장으로 밀어붙이는게 싸다는 것만 기억하면 된다(...)[8] 인장을 팔아먹기 위해 일부러 수련치를 괴이하게 잡았다는 음모론도 있는 실정.
그리고 광물 융합 성공 같은 경우는 굳이 돈을 들일 필요가 없다. (물론 단 시간에 한다면 얘기가 다르다.)2랭크와 1랭크 수련치가 6,000회, 다 완료하면 30%가 채워지는데 일퀘로 받을 수 있는 힐웬 광석 조각(알바용)은 은행 공유가 되는 템이다.(사실 많은 알바템이 그런거 같지만...) 즉 부캐로 받아 본캐로 옮겨놓으면 그만인 것.


기본적으로 힐웬 광산에서 나는 힐웬 광석 조각이나 이전 금속 변환으로 얻을 수 있었던 니켈, 주석, 아연을 소비하며, 이후 몬스터가 드롭하는 에메랄드 코어나 실리엔 생태 보존 지역에서 나는 실리엔을 다른 재료와 합성하여 2차 가공을 실시, 최종적으로는 총기 및 각종 공학도구류를 제작하는 것과 체력 지력딸이 스킬의 목적이다.
F에서 A랭크까지는 공학용 도구류나 합금, 부품, 보통 자벨린보다 많은 스택이 가능한 경량 자벨린[9] 등을 생산하게 되며, 9랭크에서 제더 II와 메르엘 PE를 생산 가능하게 된다. 이후 여러 자잘한 부품 및 도구류 생산품들이 목록에 올라오다 대망의 5랭크를 달성하면 듀얼건 다우라 SE와 타우네스 MK3을 생산 가능. 근데 품질이 랜덤이다. 1랭크 이전에는 최고 품질의 아이템을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전에는 상점표보다 훨씬 성능이 구린 물건들이 제작되는 경우도 많다.

현재 힐웬 공학으로 만들 수 있는 최종 완성형 아이템들은 다음과 같다(중간 재료 제외)

  • 스패너, 공학 망치 : 본 스킬 사용 시 일부 사용
  • 자벨린
  • 듀얼건 무기
  • 랑그히리스 본브레이커
  • 바펠세파르 방어구
  • 사도 무기 중 순례자의 검, 광신도의 대검, 성흔의 너클
  • 기사단 무기 중 디바인 바스타드 소드, 디바인 블레이드, 디바인 실드, 디바인 스몰 랜스
  • 카즈윈 아머, 피네 아머 세트
  • 밀키웨이 악기 중 전자 기타, 큰 북

2 여담

맨땅 헤딩으로 이 스킬을 취득할 경우, 랭크 1까지 약 14만 개의 힐웬 광석 조각과, 그에 상응하는 니켈, 주석, 아연, 실리엔, 에메랄드 코어 등이 소비된다는 계산 결과가 있었다(...). 또한 이 스킬이 나올 즈음에 100원 캐시템 이벤트를 했었는데, 이 스킬의 실로 공포스러운 수련치에 절망한 많은 사람들이 생산 수련 포션을 잔뜩 사댔다고.
수련에서의 팁을 하나 주자면, 그냥 인장으로 밀어라 단독으로는 굉장히 얻기 힘든 에메랄드 코어는 가능한 한 고급 총기를 생산 가능한 5랭크까지 아껴 두고[10], 오히려 수련치를 위에서부터 마스터하는 것이 어떻게 보면 좀더 중요한 재료를 아낄 수 있는 셈이 된다. 힐웬 광석 조각은 지하 3층의 꿀네랄에서 쉽게 대량획득이 가능하므로. 또한 '무기/방어구 수련치'를 채우는 방법 중 가장 재료가 적게 드는 방법은 회당 니켈을 1개, 힐웬 광석 조각을 3개씩 소비하는 숏 자벨린 제작이므로 '공학 도구 수련치'에 같이 소비되는 주석이나 아연보다는 니켈의 소비량이 상당히 높다. 그러므로 수련에 소비하는 자원을 잘 계산해서 수련하는 게 좋다.
단, 이렇게 수련하면 재료비가 절감되는 대신 시간이 엄청나게 더 소모된다. 어차피 이 스킬을 찍을 정도로 돈이 남아돈다면(...) 오히려 코어를 사들여서 총기 제작부터 끝내고 빠른 속도로 랭크업한 다음, 절약된 시간 동안 새위 하드 솔플이나 무도 돈쩔/키쩔 등으로 골드를 벌어들이는게 더 나은 경우가 많으니 잘 생각해서 결정하자.

처음 스킬이 업데이트 될 때에는 스킬 설명에 제작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는 갑옷 레시피가 없었는데, 4월 9일 테스트서버에서 팅갑옷 세트인 바펠세파르 슬레이어 세트(가드, 건틀렛, 그리브, 서클릿)가 추가되었다[11]. 이 때 적을 타격시 확률로 아이스 드래곤 소환시처럼 적이 얼어버리는 랜스인 랑그히리스 본브레이커도 함께 추가되었다.[12] 갑옷 세트와 랜스 모두 음식 재료로 알았던 드래곤의 부속지(피, 살점, 비늘, 눈알 등)를 재료로 사용한다.[13] 갑옷의 경우 블랙 드래곤, 랜스의 경우 화이트 드래곤의 것을 사용. [14]

마스터 타이틀은 공학박사라고 뜬다. 과연 공밀레 스킬...아무튼 옵션은 '높은 성능의 공학 아이템이 제작될 확률 증가'[15]로, 총을 제대로 뽑아보겠다면 달아야 하는 타이틀. 2015년 초 이후, 알바 매크로의 영향으로 코어 값이 폭락해 수련하기 쉬워졌다.
  1. 겉보기에는 희귀 광물학의 2->1랭크 채집 16000회의 위엄보다는 없어 보이지만, 이 놈은 2차 가공 스킬이다. 수련치 한 번 채우는 데 F랭크일 경우 5초가 걸린다! 희귀 광물학 항목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지만, 정말로 희귀 광물학은 신경쓰지 않더라도 마스터가 되는데 이놈은 숫자랭은커녕 영어랭에서 쩔쩔매고 있게 되는 경우가 있다. 계산상 힐웬공학 1랭크를 찍기 위한 광물을 모두 자가수급하면 희귀 광물학 마스터를 3번 딸 수 있다(...)
  2. 다만 F랭부터 마스터까지 캐스팅 시간의 변화가 없는 블랙스미스 등과는 달리, 랭크업을 할수록 캐스팅 시간이 감소하여 1랭크에서 3초가 된다. 생산 스킬 수련치 2배 포션을 사용하다 보면 차이를 체감할 수 있을 정도. 숫자랭크가 되면 효과 적용 시간 동안 20회 자동생산을 한번 더 돌릴 수 있을 정도가 된다.
  3. 덕분에 2013년 2월 13일 현재 에메랄드 코어의 시세가 천정부지(...)인데, 그나마도 다들 채광을 하지 몬스터를 때려잡는 일은 드문 편이라 사는 것도 쉽지가 않다.
  4. 가장 만들기 쉬운 총기인 제더 II의 경우 에메랄드 코어를 7개 소비하며, 총기 제작 요구 횟수는 9랭크 30번, 8랭크 100번, 7랭크 300번, 6랭크 500번 순으로 엄청난 상승폭을 보여 2->1랭크 때는 물경 2천 번의 총기 제작을 필요로 하며, 마스터 타이틀을 위해서는 또 2천 번의 총기제작을 거쳐야 한다. 물론 총기 제작만으로 수련치가 차는 것도 아니고, 거의 10배에 달하는 다른 수련치들을 마스터급으로 채워야 랭크업이 가능(...).
  5. 스킬이 나온지 1년가량 지났는데도 재능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부러 안 내는게 아닌가 하는 의견마저 나오고 있다(...)
  6. 1년에 서너번 정도 하는 수련 이벤트 때는 8배까지 가능하다. (생활 스킬 수련 포션, 피시방, 이벤트)
  7. 시스템상 생산도 스킬 시전으로 보는 것인지, 비바체 효과를 받는 상태에서 생산속도가 빨라진다! 랭크가 높아서 풍년가 없이 99% 성공률이 나온다면 그냥 비바체를 켜고 하자
  8. 캐시샵에서 기간한정으로 스킬 수련치 35를 올려주는 스킬 수련 인장이라는 소모성 아이템을 판매한다. 해당 아이템은 2개 4900원 번들인데, 이걸로 밀어붙이는게 더 싸다. 거기다 절약되는 시간까지 감안하면...
  9. 숏 자벨린은 500개, 롱 자벨린은 300개까지 스택이 가능하다.
  10. 또는 아예 최고 품질이 나오는 1랭크까지 총기를 거의 제작하지 않거나, 브류나크를 믿고 수련치의 30%만 채운 후 브류질을 해버리는 방법도 있다
  11. 기본 방보는 조금 미심쩍으나 품질 보너스로 추가되는 방어력과 보호 수치가 매우 높게 잡혀 있다. 심지어 엘프도 착용 가능한 중갑이다. 솜씨가 50% 감소하는 건 알아서 해결합시다
  12. 이 랜스의 경우 착용만 하고 있으면 어떤 공격이든 확률적으로 얼린다. 아이스 볼트 난사해도 언다는 뜻. 대전에서 극강한 위력을 보이지만 PVE에선 글쎄...
  13. 사실 음식 재료로도 쓰이며, 심지어 요리 수집 목록에 당당히 들어가 있다! 1억짜리 드래곤 심장 요리를 우걱우걱
  14. 매직 크래프트로 제작하는 랑그히리스 체이서 세트는 화이트 드래곤의 부속지를, 활과 화살 세트인 바펠세파르 헌터바펠세파르 헌트리스는 블랙 드래곤의 부속지로 제작하는 것에 대비된다.
  15. 최고 품질의 아이템 생산 자체는 1랭크 달성만으로 가능하다. 1랭크의 스킬 효과가 '최고 수준의 아이템 제작 가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