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 151

(MG151에서 넘어옴)

파일:Attachment/MG151.jpg

1 제원

MG 151/15E구분MG 151/20E
42.7 Kg무게42Kg
1916mm길이1766mm
1254mm포신1104mm
15x96mm탄약20x82mm
15mm구경20mm
쇼트-리코일, 전기 발화작동방식쇼트-리코일, 전기 발화
680~750발/분발사속도680~750발/분
960m/s (고폭탄) 1030m/s (서멧 관통자 철갑소이탄)포구초속720m/s (철갑소이탄) 800m/s (미넨게쇼스)

2 개요

제2차 세계대전나치 독일이 사용한 마우저 사의 15mm/20mm 기관포.

마우저 MG 151/20 기관포[1]

특히 항공 무장으로써, 기존에 널리 쓰이던 MG FF 계열 기관포를 대체하였다.
00001%20klein.jpg

2정, 3정 정도를 묶어서 승공포처럼 사용하기도 했다.
6303027773_ff1c8ed246_z.jpg

3 특징

원래의 MG 151은 15mm라는 독특한 구경을 사용하여 포구초속이 매우 빨랐으나, 20mm로 구경을 키우면서 무거워진 탄자의 무게는 포구초속을 약간 떨어뜨렸다. 그럼에도 기존의 MG FF보다는 높았고, 안정적인 탄도와 위력적인 탄두, 그리고 정말로 뛰어난 신뢰성[2]으로 인해 루프트바페의 주력 무장으로 사랑받았다.

또한 격발기구가 모터가 돌아가며 작동하는 구조라서 탄걸림도 없었다.

1942년 이후로는 15mm의 오리지널 MG 151을 찾아볼 수 없었고, 그 후의 기록에는 MG 151이라 하면 20mm 기관포를 의미하였다.

이 기관포와 함께 미넨게쇼스라는 강철을 얇게 뽑은 일체형 탄두 안에 고폭탄을 꽉꽉 우겨넣은 신형 탄종이 도입되었다.[3]
mg151-2.jpg
탄두 안에 PETN 18g, 기존 20mm 고폭탄두의 2.6배에 달하는 대량의 작약이 들어갔기 때문에 항공기의 가벼운 장갑을 작살내는 위력을 보였다. 당시 독일군의 통계로는 이 탄종이 연합군 항공기에 매우 유효하여, 매우 튼튼한 B-17에 25발 정도를 명중시키면 격추할 수 있었고, 다른 4발 폭격기는 18~20발, 일반 전투기는 4발 정도 명중시켜도 격추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4]

허나 독일 공군은 화력덕후를 지향할 수밖에 없었고,[5] 더 크고 강력한 30mm 기관포인 MK 103MK 108도 실전 투입될 수 밖에 없었다. 30mm 기관포에도 당연히 미넨게쇼스가 도입된다.

4 외국에서

그 인기는 해외에서도 여전해서 이탈리아의 전투기에도 사용되었으며 잠수함으로 800정을 일본에 수출하여 Ki-61 히엔에 장착하기도 하였다.
특히 일본에서는 그 위력에 경탄하고 양산하려 했지만 자국의 능력으로는 수리만 간신히 가능하다는 점을 발견하고는 보유한 800정을 가능한한 마르고 닳도록 써먹었다.[6] 바로 이 기관포가 각종 가공전기에서 일본 정예군이 보유해서 미국 등을 박살내버린다고 나오는 주력 기관포인 마우저포다. 이게 우스운게 이미 미국은 유럽에서 MG151을 잔뜩 달고 날아드는 독일기를 두들기고 있는데 일본이 그거 쓴다고 달라질리가.

한마디로 말해서 독일에서는 우수하지만 위력이 아쉬운 기관포그나마도 미넨게쇼스를 장전하면 상쇄된다, 일본에서는 꿈의 영역에 속하는 기관포라고 보면 된다.
MG151/20과 일본군의 사용기관포와 비교한 표를 보면 넘사벽급 성능임을 알수있다.

출처

일본군 해군은 Oerlikon FFF/FFL의 라이센스형인 99식 기총 1/2호를 운용했는데, 원판인 FFF는 나쁘지 않은 물건이지만 탄피길이가 짧아 탄속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7] [8]폭격기용으로도 위력이 약하고[9] 전투기용으로는 탄도성능이 워낙 떨어져 나중에 탄속이 더 좋은 FFL을 라이센스 생산하게 된다. [10]
  1. 링크 내에 미넨게쇼스 탄에 피격당한 B-24 승무원 시신 사진이 있다. 비위가 약한분들이나 불쾌할 수 있으므로 께선 주의를 요구한다.
  2. 동시기의 히스파노 Mk.II 는 고고도로 올라가면 얼어붙고 탄걸림이 무지막지한 신뢰성 불량으로 고생하고 있었다(MK.V같은 후기형으로 가면 해결된다). 미군이 2차대전 동안 항공기에 기관포를 별로 안 쓴 요인 중 신뢰성이 좋은 항공기용 기관포를 제대로 뽑지 못한 것도 있었다.
  3. 이 탄종은 기존 유탄에 비해 탄두 껍질이 매우 얇아 온도에 민감하여 사용에 주의를 요했다.
  4. 해당 동영상은 실제 발사장면은 아니고, 가스탱크를 연결해 불꽃만 나게 해서 촬영용 등으로 사용하는 모조품으로 보인다. 탄피가 튀지않고, 실내에서 쏴대는걸 보면.. 동영상 초반에 보면 기관포 앞에 카메라맨이 있다
  5. 당장 서방의 중폭격기들이 수백대씩 쳐들어와 두들겨 맞던 중이었고 동부전선에서는 소련군의 물량을 상대해야 했으니...
  6. 이렇게 된 이유는 일본의 공업능력이 매우 미약해서 독일에서 들여온 공작기기들을 실은 공작함 1척이 당시 일본 기계들의 수리력을 뛰어넘을 정도에다가 신뢰성도 이쪽이 더 높았을 정도로 미비한 편인데, 중국 전선에서 국민군 등으로부터 노획한 체코제 기관총을 두고 무고장 기관총 운운하며 관동군들이 사용했고 이걸 보다못한 일본군측은 자기네식으로 재설계해서 제식 기관총들 중 하나로 사용하기도 했었다.실제 해당 기관포는 구조적으로 탄걸림을 배제하는 전기구동식 기관포였기 때문에 관련 기구가 망가지지 않는 이상 ""무고장 기관총""이란 별명은 정당하다고 볼 수 있으며 당시 공업력에 있어서 일본과 비교 자체가 안 되는 미국조차도 . CALIBER .60 T17 15.2mm라는 이름으로 해당 기관포를 약 300정이 시제작되었으나,치수 변경등으로 인하여 미묘하게 사용된 부품의 규격이 달라진 상태에서 독일보다는 대량 생산에 필요한 기술은 있어도 정밀성이 비교적 떨어지다보니 엄청난 수준의 작동불량을 일으켜 그에 관한 개선과 개량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었고 이후 어느 정도 성과를 보았지만, 결국 제식화 되지 못했다. 미국은 인치를 독일은 미터계를 사용하는 데 이게 무슨 차이가 난다고 생각할 지 모르겠지만 이것만으로도 엄청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자세한 건 미국 단위계 항목의 이모저모 항목을 참조해보면 알게 될 것이다.
  7. 독일 공군이 Bf109에 달았다가 탄속/위력 부족으로 MG151로 바꾼 물건이다.
  8. 일본 해군에서는 이 라이센스 생산형을 99식 1호로 불렀다.
  9. 일본군 내부의 실험에서 B-17의 방탄판을 지근거리가 아니면 관통하기 힘들었다.
  10. 일본 해군에서는 이 라이센스 생산형을 99식 2호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