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군함 | |||||||||||||||||||||||||||||||||||||||||||||||||||||||||||||||||||||||||||||||||||||||||||||||||||
전투함 | |||||||||||||||||||||||||||||||||||||||||||||||||||||||||||||||||||||||||||||||||||||||||||||||||||
구축함 | 이소카제급,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 아키즈키급, 마츠급 | ||||||||||||||||||||||||||||||||||||||||||||||||||||||||||||||||||||||||||||||||||||||||||||||||||
사쿠라급, 카바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 |||||||||||||||||||||||||||||||||||||||||||||||||||||||||||||||||||||||||||||||||||||||||||||||||||
잠수함 | L급, 해중형,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 ||||||||||||||||||||||||||||||||||||||||||||||||||||||||||||||||||||||||||||||||||||||||||||||||||
경순양함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중순양함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 |||||||||||||||||||||||||||||||||||||||||||||||||||||||||||||||||||||||||||||||||||||||||||||||||||
전함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 호쇼, 류조,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지요다), 신요, 다이요급, 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 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 ||||||||||||||||||||||||||||||||||||||||||||||||||||||||||||||||||||||||||||||||||||||||||||||||||
연습함 / 포함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제1호형 어뢰정,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
미국 | 독일 제국 | ||
러시아 제국 | 영국 | ||
2차 세계대전 | |||
미국 | 일본 제국 |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이탈리아 왕국 | ||
폴란드 | 프랑스 | ||
스웨덴 | 핀란드 | ||
중화민국 | 만주국 | ||
냉전 | |||
소련 | 동독 | ||
현대전 | 미국 | 일본 | |
대한민국 | 인도 | ||
중화민국 | 러시아 | ||
영국 | 중국 | ||
프랑스 | 태국 | ||
독일 | 이탈리아 | ||
스페인 | 호주 | ||
북한 |
1 개요
일본군 해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운용했던 두 척의 공작함 중 하나로, 함명은 아카시 문서의 1번 항목의 도시에 위치한 호수인 아카시노우라(明石の浦)에서 유래했다.
2 제원
기준배수량 | 10,500t |
전장 | 154.66m |
전폭 | 20.50m |
출력 | 10,000hp |
속력 | 19.2kt |
항속력 | 14kt로 8,000해리 |
무장 | 12.7cm 연장대공포 4문, 25mm 3연장 기관포 4기 |
승무원 | 433명(공작부원은 336명) |
동형함 | 미하라(미건조), 모모토리(미건조) |
3 개요
1937년 1월 18일 사세보 공창에서 기공하여 1938년 6월 29일 진수, 1939년 7월 31일 준공되었으며, 연합함대 소속이 되었다.
일본군식 함종 분류로는 공작함인데, 군함의 정비와 수리를 시행하는 움직이는 수리 공장을 의미한다. 그 함급에 걸맞게 아카시는 기계 공장, 조립 공장, 담금질 공장, 주조 공장, 제련 광물 공장, 제련 공장, 강 공장, 용접 공장, 목공 공장, 병기 공장, 전기 공장, 공구실, 청사진실 같은 것을 보유하고, 기술자 336명이 114대의 기계를 운용하고 있었다. 114대의 기계들 중 상당한 숫자, 혹은 전부를 독일에서 수입했다고 한다. 그 덕에 연합함대의 평시 연간공수의 40%를 단함으로 시행할 수 있을 정도[1]라고 한다. 독일의 과학력은 세계 제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일!!
그리고 공작함의 특성상 갑판에 3기의 중(重)기중기가 세워졌고, 디젤기관을 탑재한 2개의 연돌 중 앞쪽이 함내 공장의 배연용이었으며, 선체형상도 수평갑판형(갑판이 함수에서 함미까지 수평)을 채용해 철저히 작업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공작에 종사하는 일반 공작부원(군속이나 민간인)도 다수 탑승했다.
4 실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남방작전에 참가한 아카시는 전방으로 진출하여 팔라우 제도, 필리핀의 다바오, 술라웨시 섬의 스탈링 만, 몰루카 제도의 암본 항 등 남방 각지를 돌아다니며 많은 함정들을 수리했다. 그리고 1942년 8월 23일, 트럭 섬에 입항해 이를 거점으로 손상선박의 수리임무에 종사했다.
1942년 11월 13일 과달카날 해전에서 살아 돌아왔지만, 20노트로 속도가 줄어들고, 함포가 회전하지 않고, 키를 수동으로 움직여야 하며, 직경 1미터가 넘는 구멍이 32개나 뚫리고, 40개 이상의 파편 자국이 나서 함장이 자신의 배를 떠있는 고철이라고 부른 가게로급 구축함 9번함 아마츠카제를 12월 15일에 일본으로 돌아올 수 있게 수리했다.
또한, 경순양함 아가노(阿賀野)는 1943년 11월 11일에 공습을 받고 다음 날 잠수함에 의해 함미를 공격 당해 4개의 추진축 가운데 2개를 상실했고, 굴뚝과 함교 사이에 큰 구멍이 생기고, 보일러 실도 침수, 기타 손상 다수로 함의 포기도 고려할 상황이었다. 하지만 아카시의 응급수리에 의해 1944년 2월 15일에는 14노트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을 만큼까지 회복시켰다.
이러한 수리 능력 때문에 미 해군의 중요 목표물로 지정되었다. 그래서 1944년 2월 17일, 미군 기동부대의 트럭 섬 공습에 의해 아카시도 큰 손상을 입었지만, 트럭 섬에서 탈출에 성공해서 팔라우로 회항했다. 하지만 1944년 3월 30일에 다시 미군 항공기의 공격을 받아 대파되어 좌초 및 착저상태가 되었다. 이로서 아카시는 모든 기능을 잃어버렸으며, 일본 해군은 더 이상 현지에서 제대로 된 함선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이후 전선에서 파손된 선박들은 모두 일본 국내로 귀환해 수리를 받을 수 밖에 없었다.
1944년 5월 10일 해군함적에서 제적된 아카시는 현지에서 침몰한 상태로 방치되었다가 1954년에 해체처분되었다. 동형함으로 미하라(三原)와 모모토리(桃取)가 건조될 예정이었지만 전황 악화로 인해 백지화되었고, 종전 후 엉뚱하게도 키타카미와 호쇼가 공작함으로 개장되었는데 그냥 해외의 일본인들을 본국으로 실어나르는 수송선 역할만 하다가 스크랩 처리되었다.
5 평가
평소의 일본군 이미지와는 다르게 매우 쓸모있는 함선이었다. 이런 점에서 아카시는 혼자서 발휘할 수 있는 모든 능력을 사용하여 일본 해군을 지원했으며, 그 지원은 매우 유용했다. 그리고 이 점에서는 일본군이나 연합군이나 평가를 매우 후하게 쳐준다. 이는 미국이 우선격침대상으로 선정한 것도 있으며, 당장 아카시를 손실한 후에는 안그래도 부족한 일본군의 군함들이 수리를 받기 위해 본국을 들락거리고, 일부는 연료부족으로 본국에 주저앉기도 해서 안그래도 밀리는 상황에서 전력손실이 추가로 발생했다는 것만 봐도 아카시의 존재는 매우 컸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2차 대전 전을 기준으로 당시 해군력에서 세계 1, 2위를 차지하고 있던 미국, 영국이 그 함대를 지원하기 위해 각기 10척에 달하는 전용 공작함들을 보유하고 있었던 반면, 그 뒤를 따르는 세계 3위 해군력을 보유하던 일본이 처음부터 제대로 공작함으로 설계된 함선을 오직 한 척 보유했다는 사실은 일본군의 열악한 군수지원능력을 여실히 보여줬다. 진정한 대양해군이 되려면 원양항해능력을 가진 군함을 보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양작전을 펼치는 군함들에 연료, 물자, 정비소요를 현장에서 지원해서 이를 위해 귀환하지 않고 지속적인 원양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의 확립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이런 지원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으면 다수의 군함을 보유하여 구색을 맞추더라도 진정한 대양해군으로 평가받기 어렵다. 그런데 일본해군은 세계 3위의 해군력에 걸맞는 지원세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가령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의 주력함 보유 비율인 미5:영5:일3, 런던 해군 군축조약의 보조함 보유 비율인 미10:영10:일7을 공작함에 그대로 대입할 경우, 일본은 미국과 영국에 대비해 최소 6대의 공작함을 보유해야만 했다. 하지만... 그런거 없다.
아카시 1척이 연합함대의 평시 연간공수의 40%를 단함으로 처리 한 사실을 가지고 일본의 함선 유지보수 능력이 아카시의 1.5배밖에 되지 못 했다는 주장을 하고는 하는데 함선 유지보수능력의 상대값인 정비소요의 처리율을 가지고 하는 주장은 명백한 오류를 가진 논리이니 주의하자. 정비소요는 처리능력 만큼만 일어나는게 아니라 더 일어날수도(전시) 덜 일어날수도(평시) 있는 것이다. 그래도 한척에 너무 많은 수리를 도맡은게 아니냐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원래 군대라는 곳이 사용자 정비로는 수리가 불가능하나 창정비(해군이니 조선소)로 올리지는 못하는 수준의 고장은 군수지원부대의 순회정비가 오기를 기다렸다가 수리를 받는 시스템으로 돌아간다. 그러니 이동정비소인 아카시가 정비소요의 다수를 처리하는건 당연한 결과다.
물론 순수 공작함이 아카시만 존재[2]했다는 사실은 일본 해군이 함대결전사상에 연연해 보급이나 정비를 소홀히 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앞서 설명하였듯 일본해군은 공작함을 6척은 가져야 했던 규모였다. 다만 공작기기의 수량 부족이라는 문제 때문에 어쩔수 없었던 점도 있는데, 아카시에 실려있던 독일산 공작기기의 수는 일본 모항에도 없는 규모였기 때문에 동형함을 만들어봤자 채워넣을 기계가 없었던 안습한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 독일산 공작기기의 숫자가 제약이 있는 이상, 아카시와 같은 공작함을 6척으로 늘려봐야 공작기기를 1/6로 쪼개는 결과밖에 안 나오는 것이다. 그래도 일본 자국산 공작기계라도 채워넣어 6척 모두를 운용하는 게 1척만 돌리는 것 보다는 훨씬 상황이 좋기 때문에 이 부분은 일본군이 보급, 정비 문제에 아무 생각도 없었다고 봐도 무방할 듯하다. 물론 그 공작기계 만들 기술도 없었다고 하면 할말은 없다만[3]
다만 아카시나 마미야의 경우 1년 내내 돌아나니는 함정이며 내부에 있는 공작 기기나 냉동고 같은 시설들은 모두 함선 내의 연료로 돌리는만큼 막대한 연료가 들어가며 응급수리가 필요한 함선이 발생하면 심할경우 1일에 1번꼴로 연료를 보급해야 할만큼 연료소모가 심각하므로 공작함들이 조약에 대입하여 6척이 있어도 문제이다.
단례로 43년에 남태평양 해역군은 월평균 130만배럴(19만톤 가량)의 연료를 공급받았는데 이를 위해 15000톤급 유조선 17척을 운용하였으며 누메아와 툴라기,에스페란투산토에 115만톤의 저장시설이 있어서 유조선들이 저장시설에 그냥 연료를 내려놓고 돌아가면 되지만 연합함대의 거점이던 트럭은 건설 용지가 부족하여 20만 배럴의 저장능력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하여 유조선들의 일부가 항시 해상저장탱크로 있어야 하며 미군 잠수함들이 어뢰문제를 해결하고 활약을 하기 시작하던 시점이라 유조선의 지속적인 손실로 인한 막대한 연료소모를 감당할수 없으며 더 심각한 문제는 미 태평양함대의 거점인 진주만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전함을 수리할수 있는 대형 드라이독이 4개나 있었지만 트럭의 경우 너무 늦게 대규모 기지 개발에 들어갔으며 환초라는 점 때문에 대규모 건선거를 건설하기가 불가능하다는 태생적인 약점으로 인해 공작함들의 부담이 늘어나므로 결국 공작함들 대부분이 연료부족으로 인하여 제대로 기동할수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