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

RAI-logo.jpg
1983년부터 2000년까지 쓰인 로고.

Rai_Logo.png
2000년부터 지금까지 쓰이는 로고.

이탈리아어 : Radiotelevisione Italiana

1 개요

이탈리아공영방송이자 국가기간방송으로 유럽방송연맹(EBU)의 정회원이다. 참고로 아래에 적혀있다시피 메디아셋같은 민영방송들때문에 안습일거 같지만 그래도 수신료를 받고, 광고료도 메디아셋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한 수준으로 받아먹기 때문에[1] 규모는 커서 유럽 대륙에서 5번째로 큰 방송사로 손 꼽힌다.

1924년에 개국한 UIR이라는 라디오 방송으로 개국되었다. 전쟁 직후에 사업확장을 하면서 3개의 라디오 채널을 지니게 되었다. 이때부터 RAI[2]라는 약칭을 쓰기 시작했다. 1953년에 TV방송이 개국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7년에 상업광고를 개시했고[3], 1961년에 RAI-2TV를 개국했다. 하지만 무솔리니 시절보다 못하지만 정부에 종속되는 문제점은 여전해서 친정부적인 성향을 띄었다.

1960년대 후반 사회운동이 활성화되어가며 RAI의 지나친 친정부적 성향에 대한 반발감이 커지고 이후에도 사회개혁도 즉각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역 군소 방송국들(자유라디오 운동)이 대거 개국되면서 RAI의 입지는 축소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자유라디오 운동이 본격적으로 번져나가기 시작하면서 기존 기민당에 위협이 되자, 이탈리아 정치권은 이들 지역 군소방송에 대해 폐쇄조치를 내리는 한편, RAI 운영방식에 변화를 꾀하며, 네덜란드 NPO와 비슷하면서도 미묘하게 다른방식으로 RAI의 운영형태를 변화시켰고, 이에 따라 1977년 방송의 본격적인 컬러화와 함께 RAI1은 기민당(우파), RAI2는 사회당(중도파), 새로 개국한 RAI3는 공산당(좌파)이 지배하기로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에 따라 TV든 라디오든 채널에 따라 보도국을 나누고 독립적인 운영을 보장했다.(여기서 독립적이라는 건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는걸 뜻한다.)

이 조치로 뉴스 프로그램의 경쟁을 유도하고 채널간의 경쟁도 유발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정당에 의해 보도성향이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1977년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전파의 독점적 이용권리를 사실상 상실하였고, 그에 따라 지역방송이 우후죽순격으로 늘어나면서 RAI의 입지는 급속히 좁아졌다. 거기에다가 1980년대 사회당 주도로 베티노 크락시가 총리직에 등극하면서 이들 지역방송들에 대한 규제를 대대적으로 완화하여 전국적인 규모의 민영방송이 허가되었고, 베티노 크락시와 친분이 있었던 베를루스코니는 이를 이용해 급속도록 사업을 확장해나갔다. RAI의 광고량도 증가되긴 했지만 당시 총리였던 베티노 크락시는 민영방송 규제완화에 집중했고 그 이후 정권에서도 지속되며 결국 1990년 들어 마지막 남은 장치인 민영방송국에서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보도 프로그램을 방영할수없도록 직시한 법안이 폐지되면서 결국 베를루스코니의 메디아셋이 방송계의 1인자로 거듭났다.

이러한 상황속에서도 RAI는 기존 정치권을 대변하고, 동시에 시청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오락프로그램의 비중을 늘리다보니 공영방송임에도 민영방송과는 다를바 없다는 말이 나올정도로 급속도록 상업화 되었다. 1993년 2월 뉴스 앵커인 릴리 그루베르의 지도하에 보도국 기자들은 브루노 베스파 보도국장을 강제 퇴직하면서 정당의 개입이 줄어들어 RAI가 잠시나마 독립적인 존재가 될걸로 보였지만 상업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갔다. 한 편 이시기에 디지털 방송을 준비하기 시작하여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베를루스코니가 2기 집권기를 맞게되면서 RAI 이사장을 교체해 RAI는 다시 정권의 시녀나 다름없는 신세가 되고 말았고, 민영화 되기 직전에까지 가는 상황이 되었다. 그나마 2006년에 급소한 차이로 좌파가 집권하면서 방송의 개혁이 진행될거 같았지만, 기존 정치권의 반발가 더불어 2008년 조기총선에서 베를루스코니가 3기 집권에 성공하면서 다시 현실은 시궁창이 되었고 때마침 찾아온 경제위기로 광고수입도 급감했다. 2012년에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 전환을 실시하였다. 때 마침 베를루스코니가 이때 물러났지만 현재까지도 상황은 영 좋지않다. 그런 상황에서도 디지털 전환기념으로 채널을 신설한걸 보면 의외로 쌓아놓은게 꽤 되긴한 모양이지만... (뭐, 한국의 지상파 방송 마냥 케이블과 위성 채널을 운영한 경험이 있긴 하다.)

2 주요 프로그램

  • TG1(RAI1), TG2(RAI2), TG3(RAI3), TGR(RAI 라디오1) : 뉴스프로그램, 참고로 TV는 채널별로 보도성향이 달라서 대체적으로 TG1은 보수파, TG2는 중도파, TG3는 진보파를 대변한다.[4]
  • RAI1
    • Domenica in (1976-)
    • Affari tuoi(2003-)
    • L'eredità(2002-)
    • Reazione a Catena (2007-)
  • RAI2
    • Detto fatto (2012-)
    • Musica sul 2 (2011-)
    • Detto fatto (2013-)
    • Sabato Sprint (2004-)
    • La Domenica Sportiva(1953-)[5]
    • Appuntamento al Cinema(1983-)
    • Protestantesimo(1973-)
    • Sereno variabile(1977-)
  • RAI3
    • Agorà(2010-)
    • Report(1994-)
    • Amore criminale(2007-)
    • Un giorno in pretura(1988-)
  1. 전체 매출액의 39%가 광고료다. 수신료가 53% 정도.
  2. 당시에는 Radio Audizioni Italiane(이탈리아 무선방송)가 정식명칭이었고 약칭도 사실 이걸 줄인 것으로 CERN의 예처럼 정식명칭과 약칭이 따로 노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Radioaudizone라는 명칭은 과거 라디오 방송을 무선전신(radiofonia)와 구별하기 위해 쓰던 단어였다고 한다.
  3. 당시 RAI의 광고방식은 다소 특이했는데 일단 광고를 TV쇼 형식으로 제작했고, 이러한 TV쇼 형식의 광고를 4개씩 묷어(광고 한편당 2분 15초고, 광고메시지를 후반부 30초에 집중적으로 언급하는 식이었다. 대표적인 예) 일종의 TV프로그램으로 취급했다. 그러나 과도한 제작비용(예나 지금이나 애니메이션 제작은 인력집약적인 작업인지라 비용이 많이든다. 물론 애니메이션 형태로만 제작된건 아니었다.)과 한정된 광고량(당시 여러시간대에 TV 프로그램 형식으로 광고가 편성되어있긴 했지만, 하루에 방영할수 있었던 광고의 수량은 많지 않았다. 다만 광고효과는 상당히 뛰어나긴 했다.)으로 결국 1977년 컬러방송의 본격적인 시작과 함께 RAI에서 광고방식을 일반적인 블록광고 형식으로 바꾸며 사라졌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서 RAI에서 추억팔이 식으로 일부 시간대에 한해 부활했다.
  4. 성향뿐만 아니라 각 방송국마다 상징하는 도 다르다. 1983년 이래로 RAI1은 파랑, RAI2는 빨강, RAI3는 녹색이 상징색이다. 2000년이전 까지는 RAI1은 , RAI2는 정육면체, RAI3는 정사면체 같은 식으로 상징도형도 있었다! RAI가 일본방송이었으면 캐릭터 하나 뽑아낼 기세
  5. 원래는 RAI1에서 방영되던 프로그램이지만 1995년과 1998년에 채널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