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autica/자원과 수집요소


SUB NAUTICA
자원과 수집요소탈것제작
지형생물공략

1 개요

생존 게임 Subnautica에 등장하는 각종 자원과 수집요소에 관해 정리한 문서.

2 자원(Raw Materials)

자원은 각종 아이템과 기지, 탈것을 만드는데 필수 불가결하다. 이 게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자원의 종류는 크게 '광맥', '금속', '광물', 그 외 '기타'등등으로 나눌 수 있다. 참고로 자원은 한 번 습득하면 재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티타늄이나 석영 같이 흔히 구할 수 있는 자원이라도 후반부엔 정말 먼 바다까지 나가야 주워올 수 있다. 티타늄이 함유된 '고철'은 좀 돌아다니면 금방 수집 가능하지만 구리 파밍을 위해 석회암을 깨다보면 어느새 초원 평야는 물론 수중제도 주변 절벽까지 가서 뒤지는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다만 파밍이 안 되어있다면 조금 다른 의미로 뒤질지도 모르니 주의.

PRAWN 업데이트로 대형 자원이 생성되었으며, 금속과 광물이 해당된다. 이 대형 자원은 오직 프런 슈트의 드릴팔로만 부술 수 있고, 다 부수면 총 6개의 자원이 드랍된다.

2.1 광맥(Harvesting Node)

광맥은 지도 곳곳에 배치된 돌덩어리를 의미한다. 광맥에 접근해 부수면 금속이 주로 나오며 이따금 광물이 나오기도 한다. 참고로 어떤 광물이든 나이프, 스캐너, 조명등,빌더 한방이면(맨손으로는 3방) 다 깨부술 수 있다. 대단해요 주인공!

명칭내용물지역
석회암(Limestone)티타늄, 구리,납안전한 여울, 켈프 숲, 초원평야,심해암초 제도
사암(Sandstone)은, 금켈프 숲, 초원 평야, 동굴
셰일(Shale)금, 리튬젤리버섯 동굴, 호랑이식물 동굴,쿠시 존,버섯숲,용암동굴
현무암(Basalt)금, 다이아몬드버섯 숲, 쿠시 존, 동굴, 용암 분출구, 대 산호, 블러드 켈프 숲
흑요석(Obsidian)다이아몬드용암지역

실제 게임 내 광맥은 다 사암과 똑같이 생겼다. 다른 점은 크기와 색깔 뿐. 셰일과 현무암,흑요석은 사암에 비해 조금 더 크기가 크고, 그 중 현무암/흑요석은 누런 색(?!)을 띄고 있다. 현무암이야 생성 환경에 따라서는 하얗게 나오기도 하지만 닥치고 비정질 검은색 유리로 산출되는 흑요석은 대체... 그냥 게임상 밸런스와 찾기에 용이하기 위한 것이라 넘어가주자.

흑요석은 수심 1100~1500m에 존재하는 용암지역(Inactive Lava Zone)에 있으며 오로지 다이아몬드만 나온다.

2.2 금속

금속은 지도 곳곳에 널린 돌덩어리를 깨 습득할 수 있다. 몇몇 금속은 광물처럼 바닥에서 습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좀 희귀도가 높은 금속을 획득하면 효과음도 들리니, 그럴때마다 수확의 기쁨을 몸소 체험해보자. 금, 다이아몬드,우라니나이트 결정 등이 해당.

아이콘명칭채광채집습득 장소비고
50px티타늄
Titanium
O석회암, 해저면(고철,파편)고철을 분해해서 4개 생성
청사진 입수 후 해당 파편을 다시 스캔하면 2개씩 입수 가능
50px구리 광석
Copper Ore
OX석회암
Silver disc icon.png 광석
Silver Ore
OX사암
50px리튬
Lithium
OO셰일, 해저면뱀버섯 기둥에도 있음
Gold record icon.png
Gold
OX사암, 셰일, 현무암사암은 드랍률 낮지만 나머지는 비교적 높음
50px산화알루미늄 결정체
Aluminum Oxide Crystal
XO해저면
우라니나이트 결정
Uraninite Crystal
XO수심 200m대의 해저면녹색 결정.석영에 녹색칠한 모양이며 무광택
50px수은 광석
Mercury Ore
XO해저면

Lead
OX석회암머시너리 업데이트로 석회암 파밍으로 변경
  • 티타늄(Titanium) : Ti. Basic building material. (인게임에서 마우스를 올리면 뜨는 설명)

모든 제작의 알파이자 오메가. 가장 많이 쓰이는 금속이며 보이는 대로 긁어 모아야 한다. 석회암을 부수면 얻을 수 있고, 지도 곳곳에 떨어져 있는 오로라 호의 고철(Metal Salvage)을 주워다가 패브리케이터로 재구성해도 개당 4개씩 획득한다. H2.O 업데이트로 청사진 입수한 파편을 또 스캔해서 완료해도 2개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후반까지 소모량이 많아서 꾸준히 긁어모으지 않으면 희귀 금속 잔뜩 파밍해놓고 정작 만들 걸 못 만드는 참사가 벌어진다.

  • 구리 광석(Copper Ore) : Essential wiring material.

두번째로 자주 쓰이는 금속. 처음 주웠을 때 생존 확률이 상승했다고 HUD에 뜰 정도로 유용하게 쓰이는 자원이며 주로 전기를 쓰는 제품과 건전지 제작에 들어간다. 충전기 설계도 입수 전까지 각종 도구들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탈것들을 돌릴 때 상당히 소모가 심한 자원. 석회암을 부수면 얻을 수 있다. 중후반 이후로는 주로 신호기 제작에 소모하게 된다.

  • 광석(Silver Ore) : Ag. Conductive element and microbicide.

사암을 부수면 얻을 수 있다. 컴퓨터칩, 회로 키트를 만드는 데 쓰인다. 사암이 적어도 수심 50미터 이상 들어가야 나오기에 초반에는 얻기가 상당히 힘들지만 그만큼 탐험목표가 되곤 하는 금속. 나중에 시모스 업그레이드 및 스캐너실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토나오게 많이 필요해진다.

  • 리튬(Lithium) : Li. Applications and high-strength alloys.

셰일을 부숴서 얻을 수 있다. 바닥에 널부러져 있기도 하며, 버섯나무 줄기에 붙어있기도 하다. 보라색 석영처럼 생겼고 밤에 더 잘 보이는 것도 비슷하다. 플라스틸 괴(Plasteel Ingot)을 만드는 데 쓰인다. 버섯 숲과 쿠시 존에 가면 짱돌마냥 여기저기 널렸다. Machinery 업데이트로 잠수함들의 수압 내성 모듈 업그레이드에 엄청나게 소모된다.[1]

  • (Gold) : Au. Valuable conductive properties.

고급 회로 키트와 스캐너 룸의 드론, 송전기, 탈것 모듈을 만드는 데 쓰이는 고급 광물. 석회암을 제외한 나머지 사암, 셰일, 현무암을 부수면 얻을 수 있다.사암을 빼면 드랍률이 높고 분포지역이 무척 넓은데다[2] 소모량도 적어 체감상 티타늄보다도 흔하다고 느낄 것이다.

  • 산화 알루미늄 결정(Aluminum Oxide Crystal) : Al2O3. Valuable thermo-conductivity and electro-conductance.

금속이지만 광맥을 깰 필요없이 광물처럼 그냥 바닥에 널부러져 있으며, 인벤토리상에는 탁한 붉은색을 띄고 있는데 필드상에서는 하얗지만 석영보다 더 작고 결정 수가 적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MK2, MK3짜리 사이클롭스 및 탈것 수압 모듈의 재료가 되므로 어느 정도는 모아놓자. 대산호에 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

  • 우라니나이트 결정(Uraninite Crystal) : A highly radioactive and interesting mineral.

현무암 대신 이제 석영처럼 특정 지역에서 땅이나 절벽에 붙어서 드랍된다. 3개를 모아서 우라늄으로 바꿀 수 있으며 빛나지 않는 초록색 석영처럼 생겼다. 블러드 켈프 숲, 대산호, 심해 암초 지역, 쿠시 존 등지에서 볼 수 있고 (PRAWN 업데이트 이후) 획득시 가이거 계수기가 지직거리는 고유의 효과음이 출력된다.

  • 수은 광석(Mercury Ore) : HgS. Cinnabar. Heat in O2 to acquire refined mercury.

황화수은(HgS)결정, Habitat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아직 구현되지 않은 나노섬유를 만드는데 쓰인다. 광물처럼 그냥 땅에 널부러져 있으며, 산화알루미늄과 똑같이 생겼지만 약간 탁한 남색을 띄고 있다. 우려먹기

  • (Lead) - Pb. Insulates against radiation.:

분명 분해가 불가능한 원소로 이루어진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구리 3개 + 은 1개로 합성되어 만들어졌으나[3], 2016년 5월 Machinery 업데이트로 이제 제대로 석회암에서 드랍되게 바뀌었다. 덕분에 방사능 보호의를 아주 빠르게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방사능 보호의와 원자로 및 연료봉의 재료.

2.3 광물

광물은 그냥 지도 곳곳에 덩그러니 놓여 있다. 위에서도 나왔듯이 한번 습득한 광물은 두번 다시 리젠되지 않는다.

광물들은 밤에 빛나서 찾기 쉽다. 다만 H2.O 업데이트로 밝기가 약해져서 좀 더 접근해야 잘 보이게 되었다.

명칭채광채집습득 장소비고
소금 결정(Salt Deposit)O해저면, 자색솔방울(Purple Pinecore)담수기 가동시 습득
밤에 아주 약하게 빛남
석영(Quartz)XO해저면밤에 잘 보임
다이아몬드(Diamond)OO현무암, 흑요암, 해저면밤에 잘 보임
자철석(Magnetite)XO마운틴 섬에서 많이 찾을 수 있다.밤에 보임
황(Sulphur)XO용암 지대에서만 구할 수 있다.빛나지 않음
남정석(Kyanite)OO용암지대에서만 스폰

마그네슘을 만들거나 보존식이나 청정수, 구급킷 만들 때 필요한 세정제를 만들 때 들어간다. 본래는 많이 보였으나, Alterra Science 업데이트 뒤로는 조금 더 찾기 어려워졌다. 그러나 석영과 달리 전 구간에서 발견되기에 지금도 한번 마음먹으면 가득 모아올 수 있다. 이따금 다른 광물은 없고 소금 결정만 잔뜩 있는 사막지형도 곳곳에 있다.[4] 대 산호 동굴이나 버섯 숲 지역에 가면 자색솔방울(Purple Pinecone)을 부술 시 소금 결정을 준다. 이것도 채광으로 봐야할지는 조금 애매모호하여 △를 주었다. Shocking 업데이트 이후 전기만 있다면 담수기에서 무제한으로 소금을 얻을 수 있다. Farming 업데이트로 약하게나마 빛나서 밤에 빛 없이 찾기가 불가능하지는 않게 되었다.

바닷물에 소금기가 있을 텐데 소금결정을 어떻게 바로 얻을 수 있는지 궁금하면 지는 거다

광물 중 가장 자주 쓰인다. 유리를 만드는 데 쓰이는데 생각보다 소모가 많아 후반부엔 점점 구하기 어려워진다. 어두운 곳에서 밝게 빛나니 본격적으로 습득하려면 밤을 노리는 게 좋다. 이는 리튬과 다이아몬드도 마찬가지. Shocking 업데이트로 추가된 블러드 켈프 숲에서 대량으로 긁어모을 수 있다. 단, 이쪽은 위험 생물이 많은데다 동굴지형이여서 길을 잃기 쉬우므로 대산호 지역으로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대산호도 깊은 데서는 헤메기 딱 좋은 건 함정 우리 모두 신호기를 만듭시다

지도에도 놓여 있지만 현무암이나 심해 용암지대의 흑요석을 부숴도 얻을 수 있다. 조금 이상한 점이 있다면, 현무암은 플레이어 손바닥보다 조금 더 큰 정도인데 길죽한 다이아몬드가 어떻게 튀어나오는지 의문이다. 아직은 강화 나이프와 레이저 절단기 제작에밖에 안 쓰인다. 현실과는 다르게[5] 대산호 지역에서 너무나도 쉽게 구할 수 있다. 고철보다 쓸데없는 다이아몬드 석영과 달리 결정이 길고 퍼져있지 않아서 쉽게 구분 가능하다.

  • 자철석(Magnetite)

Habitat 업데이트로 추가된 희귀 자원으로, 얼핏 보면 초미니 자주색 혹성처럼 생겼으며 중간중간 청록색 점이 박혀 있다. 또 석영이나 다이아몬드만큼은 아니어도 밤에 빛나기 때문에 야간채집도 어렵지 않다. 젤리버섯 동굴 내부의 젤리버섯 줄기 근처[6], 쿠시 존의 화산지대, 마운틴 섬 북동쪽의 수중 산맥 지대에서 흔히 보이며 열 발전기, 씨모스 어뢰 발사 모듈의 재료로 쓰인다.

  • 황(Sulphur)

PRAWN 업데이트로 추가된 프런 수트의 점프젯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자원이다. 다른 곳에서는 발견이 안되며 오직 수심 1000m 아래의 심해지역 용암지대에서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씨모스로는 구함이 불가하며 더럽게 비싼 MK-3 수압강화 모듈을 단 프런 수트나 그보다 더 비싼 울트라 사이클롭스 강화모듈을 장착한 싸이클롭스를 몰고가야 한다. 용암 지대의 입구는 블러드 켈프 지역이나 대산호 지역에서 로스트 리버로 들어간 후 블러드 켈프쪽 입구를 등진 기준으로 거대생물의 유해 좌측으로 깊이 들어가서 나오는 괴상한 알을 품은 나무를 지나가면 나온다. 매우 깊은 지대이므로 음식과 물 수치를 주의하며 들어가야한다. 간신히 황 구한 후 나오다가 굶어죽으면 모니터 부수고싶어질 것이다생김새는 석영, 리튬, 우라니나이트와 유사하나 석영보다는 작고 리튬보다는 큰 노란색 결정이다.

  • 남정석[7](Kyanite)

Dangerous Creatures 업데이트로 추가.이것도 황처럼 오직 용암지대에서만 구할 수 있다.상대적으로 얕은 비활성 지대에서는 프런수트 드릴팔로만 부수는 거대 덩어리로만 스폰되지만 더 깊은 활성 용암지대에서는 손으로도 줍는 일반 결정으로도 널려 있다.현대에 남정석이 도자기 원료, 절연체, 내화재 등에 쓰이는 것처럼 서브노티카의 남정석도 프런 수트 열발전 모듈에 쓰이고, 습득시 아이콘도 파랑색이다.오오 고증 오오 점프젯 업그레이드에도 들어간다.

2.4 기타

채집 시 명칭제작 시 명칭맨손 습득무기로 습득습득 장소비고
산성버섯(Acid Mushroom)OX해저면공격 시 연쇄적으로 폭발하니 주의
일반 산호 조각(Common Coral Sample)XO일반산호와 산호대롱에서 채집 가능
크래시피시 분말(Crashfish Powder)X크래시피시식물크래시피시가 나간 빈 자리에 드랍
크립덩굴 조각(Creepvine Sample)XO크립덩굴먹을 수 있고, 6개 보유시 잠수릴을 만들수 있음.
2×2의 크기
원반산호 조각(Table Coral Sample)XO각종 원반산호산호의 색은 무관
쿠시 조각(Koosh Sample)-XO쿠시덤불먹거나 심을 수 있음
스토커 이빨(Stalker Tooth)X해저면스토커가 고철을 주울 때 확률적으로 드랍
크립덩굴 씨앗(Creepvine Seed Cluster)-OX크립덩굴윤활유와 실리콘의 재료
2×2의 크기
나무버섯 조각(Tree Mushroom Piece)균류 샘플(Fungal sample)XO나무버섯생체 반응로의 재료로 사용됨
혈유(Blood Oil)-O-X-블러드덩쿨블러드덩쿨 뿌리에서 얻을 수 있음
2×2의 크기
심해버섯(Deep Shroom)OX블러드 켈프, 씨 트리더의 길깊은 수심에 존재
신호(Signal)-O-X-추락지역오로라 호 근처에 있는 보급품상자에서 얻을 수 있음
  • 산성버섯(Acid Mushroom)

건전지 제작에 필수적인 아이템. 얕은 바다라면 천지에 널렸지만 깊은 곳에선 전혀 뜨지 않는다. 원래는 먹을 수 있었으나[8] 먹을 수 없게 되었다. 애초에 산성인데 왜 먹어 여담으로 충돌 시 터지는 데미지가 상당하여 프로펄전 캐논으로 던지면 호신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9] 밤중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은은하게 자주색 빛을 낸다.

  • 일반 산호 조각(Common Coral Sample)

양질의 식수를 조달하는데 필수적인 아이템. 산호대롱이나 녹회색 산호 껍데기를 칼로 부숴서 얻을수 있다.[10] 메디킷 페브리케이터 추가 이후로 수집할 양이 많이 줄어든 재료.

  • 크래시피시 분말(Crashfish Powder)

크래시피시식물에서 크래시피시를 유인해 빼낸 다음 둥지를 루팅하면 얻을 수 있다.[11] 용접기와 플레어를 만드는데 쓰인다.

  • 크립덩굴 조각(Creepvine Sample)

크립덩굴을 잘라 얻을 수 있으며 먹을 수 있다. 사용처는 섬유덩어리와 잠수 릴 제작용. 먹을 수 있지만 곧바로 먹지 않고 내버려두면 썩어서 먹기 힘들어진다. 조합용이 아니라면 곧바로 먹자. 최대 감소치는 허기, 수분 둘다 -25. Farming 업데이트로 2×2로 크기가 4배로 늘어났다. 웃긴건 섬유로 조합하면 다시 1×1로 줄어든다(..).

  • 원반산호 조각(Table Coral Sample)

얕은 바다 곳곳에 널린, 벽에 붙은 영지버섯처럼 생긴 원반산호를 칼로 깨 얻을 수 있다. 여러 색상이 있지만 용도별 차이는 없으며 인벤토리에선 전부 적갈색으로 변한다. 최근 업데이트로 산호 1개체당 4조각 드랍이 1개체 당 1조각 드랍으로 변경되었다.

  • 쿠시 조각(Koosh Sample)

쿠시덤불을 칼로 잘라 얻을 수 있다. 쿠시 존만 찾으면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 먹거나 심을 수 있다.

  • 스토커 이빨(Stalker Tooth)

스토커가 금속 파편을 주울 때 확률적으로 드랍한다. 스토커를 죽여서 얻는 것은 불가능. 고철을 스토커 주변에 떨어뜨린 뒤 안 떨어지면 다시 고철을 훔쳐서(..) 떨어뜨리는 걸 반복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수확할 수 있다. 운이 좋다면 켈프 숲에서 고철을 주울 때 옆에 수두룩 떨어져 있는 걸 주울 수 있다. 스캐너 룸, 관측실, 사이클롭스 등에 소모되는 강화 유리 제작에 사용된다.

  • 크립덩굴 씨앗(Creepvine Seed Cluster)

큰 크립덩굴에 붙어있는 노란 씨방을 채취해 얻을 수 있다. 줄기와 달리 맨손으로도 얻을 수 있다. 윤활유와 실리콘의 재료. Farming 업데이트로 2×2로 크기가 4배로 늘어났다.

  • 균류 샘플(Fungal Sample)

버섯 숲의 나무버섯을 잠수함으로 들이박은 뒤 칼로 잘라 얻을 수 있다. 위의 산호 2가지와 달리 훨씬 큰 걸 반영한 듯하다. 주로 생체반응로의 연료로 쓰인다. 장작

  • 혈유(Blood Oil)

블러드덩쿨에서 얻을 수 있는 시뻘건 기름. 얼핏 보면 붉은 종양처럼 생겼으며 뿌리나 줄기에 붙어 있다. 벤젠의 재료가 된다.

  • 심해버섯(Deep Shroom)

블러드 켈프 바닥에 자생하는 산성버섯의 아종. 획득하면 염산과 씨모스 모듈 제작에 필요한 폴리아닐린(Polyaniline) 제작법을 얻는다.

  • 신호(Signal)

각 지역에 특정장소를 표시하는 아이템이다. 각 장소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주로 별볼일 없는 게 대부분이니 기대하진 말자. 동굴 찾아 2천미터를 달려갔는데 정작 깊이는 5미터프로운 업데이트로 플레이어 외의 구명포드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도 획득할 수 있으며 도달시 버려진 PDA를 주로 얻을 수 있다.

이름장소
동굴 입구젤리버섯 동굴 입구
거대 돌기둥초원 평야 지역
지열여러 지역
거대한 쿠시쿠시 존 지역
거대한 산호대산호 지역
땅덩어리(Land mass)플로터 섬
펄스 신호 진원지마운틴 섬
구명 포드들다양한 바이옴에 분포

3 파편(Fragments)

모델링이 없는 파편은 채색하지 않은 냉장고금고처럼 생겼다. H2.O Update로 더 이상 인벤토리에 파편을 넣을 수 없고, 대신 스캐너로 일정 갯수 이상 스캔해야 청사진을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청사진을 입수하고 나서도 해당 파편을 더 스캔할 수 있으며, 완료시 티타늄 2개를 입수하기에 이론상 블러드 켈프 숲 등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티타늄을 적게나마 입수할 수 있게 되었다.

밑의 목록을 보다시피, Farming Update 이후로 스캔할 청사진이 대폭 늘어나 초반 탐색이 더 느려졌으므로 주의. 정말 별별 물건을 일일히 스캔해야 한다.

PRAWN Update 후 바이옴 필드에 존재했던 일부 파편들이 잔해 안으로 들어갔다. 원하는 파편을 포함한 잔해를 찾지 못하면 테크를 올리지 못하고 또 일부는 용접된 문 뒤에만 숨어있는 경우도 있어 초반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뭔 놈의 패치를 할 때마다 죄다 초반 난이도가 상승하니 원...이래서야 섭린이들이 처음에 어떻게 시작하라고 자꾸 진입장벽이 높아져간다.

명칭입수 장소비고청사진 입수 필요 갯수
이동식 차량 제작기켈프 숲 잔해, 초원 평야 잔해잔해 및 그 주변에서만 스폰됨. 모델링 있음3
씨모스오로라 호, 초원 평야모델링 있음3
전력 송신기버섯 숲필드에 존재1
작업대블러드 켈프 숲 잔해, 마운틴 섬 잔해3
정지 소총수중 제도 잔해모델링 있음2
프로펄전 캐논버섯 숲 잔해, 오로라 호모델링 있음2
지형 변환기2016년 8월 프런 업데이트 후 삭제4
유전자 주입기대산호아직 제작은 불가능. 파편만 있다.4
탈것 강화 콘솔마운틴 섬, 사막 지역, 대산호 잔해모델링 있음3
사이클롭스 선체강화 모듈대산호사이클롭스에 설치한 페브리케이터에서만 제작가능3
원자로씨 트리더의 길모델링 있음4
문 풀마운틴 섬 잔해, 대산호 잔해, 블러드 켈프 잔해대산호 잔해에 많이 분포4
열 발전기대산호, 사막 잔해모델링 있음4
생체반응로초원 평야 잔해모델링 있음2
담수기심해 암초 지역필드에도 존재2
벤치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1
의자 1,2,3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 오로라 호앉을 수 있다.1
책상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장식용.1
사이클롭스 함교사막 지역, 버섯 숲, 마운틴 섬3개 종류를 모두 모으면 사이클롭스를 만들 수 있다.운전대 부분이 보인다.3
사이클롭스 선체오로라 호 주변, 버섯 숲모델링 있음3
사이클롭스 엔진오로라 호 내부 및 주변, 마운틴 섬, 쿠시 존, 수중 제도 잔해사이클롭스의 파편.원기둥 모양이다.3
실내 식물 재배기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1
실외 식물 재배기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1
야간 작업등(Floodlight)잔해, 오로라 호1
조명등버려진 기지1
LED등쿠시 존 잔해, 플로터 섬 버려진 기지1
관측실버려진 기지1
사진 액자잔해1
화분, 화분2잔해, 버려진 기지1
선반 화분잔해1
씨글라이드안전한 여울, 켈프 숲2
스캐너 룸블러드 켈프 숲 잔해, 모래 언덕, 플로터 섬플로터 섬은 지상에 불규칙하게 분포4
건전지 충전기초원 평야2
파워 셀 충전기버섯 숲, 심해 암초 지대2
좁은 침대오로라 호 거주구역1인용 침대1
침대 1,2잔해,오로라호 거주구역1
프런 슈트오로라 호 내부 프런 베이(PRAWN Bay), 잔해프런 베이에 있는 파손된 수트들을 스캔하는 것이 가장 쉽고 편함4
다목적 방플로터 섬, 젤리버섯 동굴두 지역에 버려진 해저기지의 다목적 방을 스캔,모델링 없는 파편도 있음2
외계생물 격납고쿠시 존, 블러드 켈프 잔해다목적 방 파편처럼 제 모습을 갖추고 있지 않음2
프런 슈트 그래플링 암대산호 잔해-2
프런 슈트 드릴 암초원 평야 잔해두 잔해에 있으나 상대적으로 쉬운 곳은 17번포드 옆의 거대잔해.획득지점 도달에 용접기 필요.[12]2
프런 슈트 프로펄전 캐논씨 트리더의 길 잔해일반 프로펄전보다 더 크고 무거운 오브젝트를 옮길 수 있음2
스틸슈트모래사막 잔해, 마운틴 섬 잔해잔해는 잔해가 있는 버섯숲 경계를 헤메다 보면 보임2
강화 잠수복마운틴 섬, 모래 언덕모래언덕은 버섯숲과 모래언덕의 경계지대에 스틸수트 파편과 같이 있음.2

4 음식

양분을 지속적으로 섭취해주지 않는다면 당연히 양분수치가 0이 되었을때 죽는다. 어차피 마지막으로 들어갔던 기지로 리스폰되니 초반엔 안먹어도 크게 문제는... 당연히 양분이 적어서 죽어도 기지에서 나온 이후 습득한 아이템은 모두 소멸되는데다가, 하드코어모드에선 캐삭빵을 당하게 되므로 0순위로 물과 음식을 비축해 두자.

팁이라면, 양분의 1순위는 조리된/염장된 레지널드가 최고봉이며, 물은 담수기에서 얻는 물이 가장 많은 수분수치를 준다. 탐험이나 어딘가 멀리갈때는 이 두가지를 몇개만 챙겨가도 타고간 씨모스의 스토리지 모듈 꽉 채울 때까지 양분/수분 걱정이 없다. PRAWN 업데이트를 거치면서 식물들이 너프를 당했고,몇개만 먹어도 "경고:혈액손실 감지(Warning:blood loss detected)"라는 메시지와 함꼐 양분/수분이 20씩이나 감소하기 때문에 적당히 먹어가며 조절해야 한다. 또 식물은 또한 2x2의 막대한 자리차지를 하므로, 들고다니기엔 부적합하다.

아래는 조리된 생선 기준, 시간에 따른 부패변화다.

  • Starts after(살짝 식은): ~2-3 min.
  • Decomposing(썩기 시작한): ~2-3 min.
  • Ripe(시큼한): ~13-18 min.
  • Rotting(썩은): ~27-33 min.

식물도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나면 부패가 시작되지만, 그 시간이 제각각인데다 부패시간을 생각하고서 가지고 다닐만치 휴대성이 용이하지 못하기때문에 생략한다.

4.1 생선

어느 생선이 조리가 가능한지, 혹은 모양이나 출몰지역 등을 보고싶다면 생물 문서를 참고.

이 문단은 제작 문서를 참고하였다.

참고로 사이클롭스나 씨모스에 치인 물고기들은 기절한 게 아니라 죽어서(Dead) 열기 칼로 지져도 조리되지 않는다.

명칭양분수분
날 것요리보존날 것요리보존
블래더피시(Bladderfish)91616-44-2
부메랑(Boomerang)122121-33-2
아이아이(Eyeye)101818010-2
개리피시(Garryfish)71313-35-2
홀피시(Holefish)122121-53-2
훕피시(Hoopfish)72323-13-2
호버피시(Hoverfish)132323-93-2
오큘러스(Oculus)123030-62-2
피퍼(Peeper)183232-75-2
레지널드(Reginald)254444-104-2
스페이드피시(Spadefish)132323-63-2
스파인피시(Spinefish)72323-13-2
라바 부메랑(Lava Boomerang)122021-33-2
라바 아이아이(Lava Eyeye)1018180-2-2

4.2 식물

식물들은 장점과 단점이 명확하다.

  • 조리할 필요가 없다. 조리를 하지 않아도 양분과 수분을 제법 채워준다. 물론 조리할 수도 없다.
  • 한번 심어놓으면 편하게 굉장히 많이 수확할 수 있다. 물고기 뒤를 쫓아서 열심히 모을필요 없이, 식물재배기와 시간만 있다면 얼마든지 무수히 양산이 가능하다.
  • 들고다니기 힘들다. 대부분의 지상식물들은 2x2의 자리를 차지하며, 시간이 지나면 크립덩굴 줄기처럼 상하기 시작한다. 게다가 그렇게 자리차지와 빠른 소비를 요구하는데 비해서 하나하나의 양/수분을 채워주는 양은 그다지 크지 않다. 조리된 생선들과 마찬가지로, 오래지날수록 채워지는 수치는 점차 줄어든다. [13]

즉, 기지 한켠에 심어두고 다녀와서 먹고 하기에 안성맞춤인데다, 대부분 관리만 잘해주면 고갈될 일 없이 무한하게 양식이 가능하다.

명칭양분수분비고
알뿌리나무 표본(Bulbo Tree Sample)310플로터 섬에 널려있으며, 채취할땐 칼로 쓱쓱 긁어주면 된다.
크립덩굴 줄기(Creepvine Sample)31회복수치를 딱 봐도 음식으로 쓰기엔 부적절하다. 하지만 켈프 숲에서만 발견되는 데다 구급킷이나 섬유 덩어리 등의 조합 용도로 사용되는 재료며, 씨앗은 윤활유를 만드는 데 사용되므로 때문에 조합 재료 확보를 위해 농사를 짓는 이유가 크다. 되도록 씨앗을 심어서 키우는 걸 권장한다.
현수과(Hanging Fruit)53재배식물계의 최고봉이었으나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후 양분수치가 너프됐다.
포자주머니(Spore Sac)54업데이트 이후 잘 보이지 않는다. 심을 수는 있으나, 회복수치가 적기때문에 효율은 적다.
쿠시 조각(Koosh Sample)310쿠시덤불을 칼로 베면 채집할 수 있다. 당연히 기지 밖에서 재배해야 한다.
얼룩멜론(Marblemelon)2215재배식물중에서 개별적으로 가장 많은 수치를 회복시켜준다. [14]
단마(Chinese Potato)153알뿌리계열처럼 땅에서 열매가 자란다. 제법 많은 양분을 회복시켜준다. 16년 8월 프런 업데이트에 현수과가 너프당하면서 얼룩멜론보다 재배가 간편한[15] 장점으로 추천받는 재배식물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Subnautica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탈것 수압모듈에 MK3까지 5개(MK2에 2개 MK3에 3개소모), 사이클롭스 수압모듈 업그레이드에만 플라스틸 괴가 10개나 소모된다.
  2. 젤리버섯 동굴, 대산호, 켈프 숲, 초원 평야, 심해 암초 지역 등.
  3. 후에 업데이트로 건전지 2개로 합성하도록 변경되었다.
  4. 그리고 보통 이런 곳엔 스페이드피시가 자생한다.
  5. 사실 지구에서도 자연상태의 다이아몬드는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는 그다지 귀하거나 드문 광석은 아니다. 단지 한 인간의 독점때문에 지금의 가치를 지닌 것 뿐. 다이아몬드문서 참조.
  6. Crash Sequence 업데이트 이후로 뱀버섯 줄기 근처의 바닥에 썩어넘칠만큼 흔하게 보인다.
  7. 藍晶石.색깔이 진남색이라 붙여진 이름이며 화학식은 Al2SiO5.연마하면 준보석으로도 쓸 수 있다.
  8. 배고픔을 +2 채워주는 효과였다.
  9. 씨모스 잘못 운전해서 버섯에 부딪히면 씨모스가 바로 파괴된다.
  10. 다만 현재 산호 껍데기가 칼로 부서지지 않는 오류가 있다.
  11. 식물 파괴시 얻을 수 없다.
  12. 입구가 두 군데 있는데, 하얀 옆면에 뚫린 구멍에는 가구들과 PDA만 입수 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한다.다른 쪽은 포드쪽으로 가다 보면 앞쪽에 뚫린 구멍이 중간~위쪽에 있는데 헤엄쳐 들어가서 문 콘솔을 수리하고 들어가면 드릴들이 반겨준다.
  13. 때문에 이 문서에는 상하거나 숙성된 후의 수치는 기입하지 않는다
  14. 그러나 재배가 조금 까다로운데, 멜론을 칼로 베면 씨앗이 4개 나온다. 멜론 그대로 심으면 증식할줄 알았던.. 씨앗을 심으면 하나하나가 자라서 2x2짜리 튼실한 어른멜론이 되어있다. 먹을땐 직접 손으로 뽑아서 인벤토리에서 섭취해주면 된다. 화분에 4개 심어서 3개 먹고 남은 하나 부셔서 씨앗 4개 얻어 다시 심으면 된다. 얼룩멜론을 얻었다면 더 이상의 배고픔과 목마름은 없다
  15. 멜론은 뽑아서 심어도 1개밖에 수확 못하고 따라서 바로 못먹기에(하나 있는거 바로 먹으면 지속파밍이 안되니까) 칼로 베서 씨앗을 4개 수확해서 다시 파밍해야 하나 단마는 하나 심으면 뿌리가 최소 대여섯개 나고 하나 남기면 다시 알뿌리가 자란다.모르고 마지막것도 뽑았더라도 쿨하게 그자리에 다시 심으면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