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식물
갈대 | ||||
Reed | 이명 : Phragmites communis | |||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 | ||||
분류 | ||||
계 | 식물계 | |||
문 | 속씨식물문(Angiospermae) | |||
강 | 외떡잎식물강(Monocots) | |||
목 | 벼목(Poales) | |||
과 | 벼과(Poaceae) - 물대아과(Arundinoideae) | |||
속 | 갈대속(Arundineae) | |||
종 | 갈대 |
습한 모래땅에 사는 여러해살이풀로, 흔히 가을의 풀밭이라 하면 이것을 연상하곤 한다. 강변이나 호수변에 많이 심어져있다. 하지만 본래 기수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로 염분에 강하다.
쑥과 마찬가지로 척박한 땅에서 자라나는 식물의 대명사로, 쑥대밭[1]이라는 단어의 기원이기도 하다. 또한 여자의 마음을 빗대어 말하기도 하는데, 바람 부는 날에 유난히 잘 흔들리기 때문. 여자어도 그렇고 여자 관련은 왜 이렇게 알 수가 없는 것 천지일까 여담으로, 파스칼은 인간을 '생각하는 갈대'라고 정의하였다.
의외로 쓰임이 있는 식물로, 섬유나 풀 사료, 펜 용도로 쓰인다.
미나리와 함께 대표적인 수질정화 식물이기도 하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친환경적인 폐수정화를 위해 정화사업에 쓰는데 상기했다시피 염분에 강한 관계로 해안에 심기도 했다. 일본의 경우는 지금도 각 현에서 생활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친환경적 하천사업을 벌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순천만의 갈대밭이 유명한데, 이 경우는 수질정화사업을 위해 심은 것이 아니라 어쩌다보니 자생적으로 자라 오염을 낮추는 경우(...). 소규모 하천에도 갈대밭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의 수질이 눈으로도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대금 연주자들에게도 친숙한 식물인데, 대금의 청 부분이 갈대의 속껍질로 만들기 때문. 물론 풋 사과들은 이것보다는 청테이프가 더 많이 친숙하다는 것이 함정
잘 흔들리는 것에 안 어울리게(...) 꽃말로는 신의, 믿음, 지혜 등이 있다.
해외에서 화석으로 처음 나온 것은 미국 남부에서 발굴된 것으로 신생대 고제3기 말엽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갈대가 처음으로 화석으로 등장한 것은 신생대 3기 때 제주도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하지만[2] 국내 발견 시점이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늦게 퍼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