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관악기
목관악기플루트 · 피페 · 트라베르소 · 피콜로 · 오보에 · 코랑글레 · 오보에 다모레 · 두둑 · 클라리넷 · 피콜로클라리넷 · 베이스클라리넷 · 바순 · 콘트라바순 · 색소폰 · 리코더 · 백파이프 · 틴 휘슬 · 오카리나 · 대금 · 중금 · 태평소 · 소금· 피리 · 퉁소 · 단소 · 생황 ·
금관악기호른 · 트럼펫 · 트롬본 · 튜바 · 코넷 · 유포니움 · 오피클라이드마우스피스
Free Reed멜로디카 · 하모니카
타관악기오르간(파이프오르간)
기타카주
파일:Attachment/IMG 3570 - 2.jpg

大笒[1]. 다른 이름은 저 또는 젓대. 국악기로 한국의 대표적인 관악기이다. 삼국사기에서는 중금, 소금과 함께 '신라삼죽'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당시 대금곡만 324곡이 있었다고 했을 정도의 메이저 악기이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나오는 만파식적 역시 대금이었을 것이라고 한다. 정악대금과 산조대금 두 종류가 있다.

1 역사

고찰하자면 이른바 '횡적'으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2] 이른 시기의 사료로는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에서 발견된 뼈로 된 횡적(골제적)이지만, 이쪽은 실제 연주용으로 사용된 건 아니라고 추정된다. 삼국시대 고구려의 고분벽화라든지 사리기, 범종에 장식된 주악상에도 여러 횡적의 모습이 나온다. 하지만 현행 대금과 가장 비슷하게 생긴 유물은 경주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주시에서 출토된 옥으로 된 대금이다. 본격적으로 '대금'이라는 명칭이 나온 기록으로는 앞 문단에 소개한 삼국사기가 최초이다.

향삼죽[3] 또한 신라에서 기원하나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고기(古記)에 이르기를 '신문왕동해에 작은 산이 있어 그 형상이 거북이 머리같고, 그 산 위에 대나무가 있는데 낮에는 둘이 되고 밤에는 하나가 되었다. 임금이 이것을 베어 오게 하여 관악기를 만들게 하고 이름을 만파식적이라고 붙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 말은 믿을 것이 못된다.
삼죽의 음악은 7곡이 있으니 평조, 황종조, 이아조, 월조, 반섭조, 출조, 준조이다. 대금곡은 324곡, 중금곡은 245곡 소금곡은 298곡이 있었다.
-삼국사기 악지

이렇게 삼국사기에서는 대금이 신라에서 기원하였다고 하지만, 믿을만한 대목은 아니다. 신라의 대표적인 악기는 가야금(琴)밖에 없었기 때문이다.[4] 추정하기로는 거문고와 함께 고구려에서 전래되었다고 본다.[5]

이후 고려도경, 악학궤범 등에도 기록되며 활발히 사용되어 지금에 이르며, 20세기 초 대금산조가 발생하면서 한주환 등에 의해 제도가 약간 작은 산조대금이 개발되었다.

1.1 유물

파일:Attachment/Silla Jade Flute.png
통일신라 때의 제 대금. 현행 대금의 형상을 갖추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경주시에서 출토되었으며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취구가 옆으로 긴 현행 대금과 달리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청공 하나, 지공 여섯, 칠성공 하나를 갖추었다.

파일:Attachment/Jade Flute.jpg
맹사성의 유품인 제 대금. 조선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취구와 제1공은 일제시대 때 부러져서 백동으로 만들어 이었다. 옥은 약간 황색과 옥색이 도는 백옥계열의 돌인데, 대나무 마디를 3개 깎아 새겼다. 현행 대금보다 훨씬 짧고, 지공 여섯 개와 청공, 취구가 있으나 칠성공은 없다. 현행 대금이나 중금과는 음정이 맞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옥대금에 비하면 비교적 잘 만든 작품으로 비교적 고른 음정을 가지고 있다. 상징적인 악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제도

대나무로 만든다. 일반적으로는 여러 해 묵은 황죽으로 만든다(악학궤범에도 황죽으로 만든다고 되어있다). 최고급 재료로 치는 것은 쌍골죽[6]으로, 살이 두껍고 단단해 좋은 소리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원체 쌍골죽은 수가 많지 않은데다 대밭 주인이 기형이라고 일찌감치 베어버리는 일이 많아 귀하기도 귀하고 가격도 비싸다. 물론 단소 같이 연습용 대금은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다만, 플라스틱 대금은 소리가 썩 곱지 못하고 청을 붙이기 어려우며, 죽제보다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청가리개만 없으면 가볍다

평균 길이는 정악대금 기준 75cm. 크고 아름답다 한쪽 끝이 막혀 있고 막힌 쪽에 취구가 하나 뚫려 있다. 지공[7]은 총 여섯 개가 있고, 취구 반대편 끝자락에는 음을 조절하기 위해서 손으로 짚지 않는 '칠성공'을 판다. 칠성공은 악학궤범에 따르면 다섯 개 파는 것이 원칙이라 되어 있으나 요즘은 한 개나 두 개만 판다.

특이한 점은 취구와 지공 사이에 '청공'이라는 구멍이 하나 더 있다는 것. 두 번째 문단에서 소개한 신라 옥대금에도 청공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라 시대부터 이미 청공이 존재했다고 보인다. 이 청공에는 ''이라고 해서 갈대 속에서 채취한 얇은 막을 팽팽하게 붙여 놓는데, 고음을 불면 이 청이 진동하면서 대금 특유의 호쾌한 소리가 난다. 물론 청은 아주 얇아서 잘 찢어지기도 하거니와 청을 과도하게 울리면 청이 늘어지거나 닳아서 소리가 영 좋지 않아진다. 이런 경우를 청이 '곯는다'라고 부른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대금의 청공 위에는 금속으로 만든 청가리개를 씌운다. 청가리개로 청공을 얼마나 가리느냐에 따라서 청소리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청가리개를 많이 열어놓을수록 청소리가 커진다. 물론 청가리개로 가려도 워낙에 청이 얇아서 연주 중에 지 혼자 터질 때도 있다.(불다가 터지진 않는다 터지면 명인) 합주 중이나 공연 중에 터지면 안습. 연습할 때는 청 대신 테이프를 붙여 놓고 연습하기도 한다.[8]

중국적자(笛子, 병음: dízi)가 제도나 청을 붙이는 것 등에서 대금과 대단히 유사하다고 한다. 다만 적자는 대금과 달리 청소리의 비중이 그리 크지 않다고 한다.

2.1 문헌의 기록

고려사 악지에 따르면 대금은 구멍이 13개라고 되어 있다. 취구 1개, 청공 1개, 지공 6개로 치면 칠성공은 5개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cp0310002014 t.gif
악학궤범에는 총 길이가 2자 7치 7푼, 즉 86.48cm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칠성공 끝나는 부분부터 끝까지의 길이라든가 취구 앞쪽의 길이 등 발성에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빼면 악학궤범 대금이 현행보다 짧다. 즉 옛날 대금이 전체 길이는 길어도 오히려 지공 사이가 짧아 불기는 편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이런 이유로 현행 대금보다 지금은 듣보잡이 된 중금 혹은 산조대금이 현행 정악대금의 원류에 더 가깝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취구 1, 청공 1, 지공 5개에 칠성공 5개로 구멍의 개수는 고려사에 나온 것과 같다. 취구와 지공의 크기는 현행 대금보다 조금 작다. 특히 취구는 악학궤범 기준으로 지름 1.5cm 정도의 원형이었는데 요즘은 이보다 긴 타원형으로 두 배 가량 넓어졌다. 아마 흔드는 소리나 반음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 변한 듯하다.

칠성공의 개수가 5개에서 2개로 줄어든 이유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과거 쌍골죽이 대금의 재료로 주목받기 전에는 대금의 재료로 사용된 대나무의 두께가 일정치 않아 조율하기 어려운 탓에 칠성공을 많이 파야 했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9]

3 음정

정악대금의 경우 저취 전폐음이 㑣(Bflat)으로, 평취하면 8도 높은 배음이 나고 역취하면 평취보다 5도 높은 배음이 난다[10]. 음역은 탁임종(㑣)부터 중청황종(㶂)까지이지만, 당악이나 현대 음악을 연주할 때는 중청태주(㳲)음까지 내기도 한다.

3.1 음계와 조성

추가바람

4 주법

koreanet_photo%2F96-01-11%28%C0%CF%B9%DD%29.jpg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크고 아름답기 때문에 플루트 불듯이 불지는 못한다. 취구 쪽 끝을 왼쪽 어깨에 얹은 다음 악기를 땅과 수평이 되게 잡는다. 고개를 왼쪽으로 돌려 살짝 숙여 취구에 입술을 대고, 양팔은 땅과 수평이 되게 들고 왼손 식지/장지/명지로 각 1, 2, 3공, 오른손 식지/장지/명지로 각 4,5,6공을 짚는다.

1900년대 구한말 ~ 일제강점기 때 찍힌 대금 연주자들의 사진을 보면 고개를 돌리거나 악기를 어깨에 얹지 않고 그냥 앞을 보고서 왼손으로 악기의 왼쪽이나 취구 아래를 받치고 지공을 오른손으로만 짚으며 연주하는 사진이 많다. 요즘엔 잘 쓰이지 않는 연주법인데 무용이나 탈춤 반주음악을 연주할 때 단조로운 가락이 반복되는 경우 쓰던 방법으로 '3관청'이라고 한다.

4.1 운지

안공법은 다음과 같다.
●닫는다 ○연다 ⊙열어도 되고 닫아도 된다[11]
파일:Attachment/Daegeum .png

다만 이 운지는 '평균적'인 운지이다. 플라스틱 대금의 경우 이 운지가 100% 들어맞지만, 대나무 대금의 경우 제작자에 따라서 권안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12] 따라서 대금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먼저 플라스틱 대금으로 위 표를 참고하여 운지법을 익힌 다음, 죽제 대금을 사용하게 되면 음정을 시험해보면서 정확한 음을 내는 운지법을 찾아내는 것이 좋다.

4.2 힘든 악기?

연주법이 말이야 쉽지만 실제로 해 보면 고개도 아프고 팔도 많이 뻗어야 하고 지공 사이 역시 멀어서 손가락도 많이 벌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힘든 자세이다.아 단소도 어려운디 더 어려운 걸 하라굽쇼? 직접 해보면 고개가 왼쪽으로 90도 홱 돌아가고 손목도 90도로 굽혀야 하기 때문에 관절에 무리가 올 때도 있다. 초심자들은 목 근육에 염증이 생기거나 손목에 건초염(근막염)이 걸리기도 한다. 특히 체구가 작고, 손이 작거나 유연하지 못한 사람은 처음 배울 때 꽤 고생한다.선생님, 손가락이 안 닿아요선생님 손가락 찢어주세요 가끔 농담으로 '대금을 오래 불면 뼈가 비뚤어진다'느니 하는 말도 있는데... 불다 보면 진짜 같기도 하다.

게다가 단소와는 비교가 안 되게 소리를 내기가 힘들다.[13] 소리내기조차 힘든데 지공 간격은 넓어서 운지는커녕 제대로 짚지도 못 하고 자세도 힘드니 배우기 상당히 어려운 악기로 취급되는 일이 많다. 물론 중학생들도 정악대금을 배우고 부는 학생이 많으니 대금을 배울 때 손이나 체구가 작다고 고민할 필요는 없고, 일단 소리를 내고 운지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면 다른 국악기와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빠른 속도로 진도를 나갈 수 있는 악기이다. [14]

5 대금의 개량

취구와 지공 부분을 분리해서 갈아끼울 수 있는 분철식 대금, 플루트와 비슷하게 키를 붙여 반음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대금 등이 개발되어 있다.조은소리제작소에서 제작한 개량 대금

파일:Attachment/North korea daekum.jpg
북한에서도 개량 대금을 만들었는데, 청공을 없애 고음에서 부드러운 소리가 나게 하고 모든 지공에 플루트식으로 키를 부착해 조옮김을 쉽게 할 수 있는 대금이다. 플룻이랑 다를 바가 없는 것 같지만

5.1 산조대금

20세기 초 개발된 산조대금은 정악대금 보다 체제가 좀 더 작아서 정악대금 보다 음이 높으며, 운지나 자세도 힘이 덜 드는 편이다. 정악대금이 정악에만 쓰이는 반면 산조대금은 산조, 민요, 시나위, 민속무 반주, 창작국악에 쓰인다. 이런 민속악은 음을 흔들거나(요성), 밀고 떨어뜨리는 기교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취구가 정악대금 보다 더 크다. 산조대금의 음정인 만드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른데 크게 나누자면 전폐음이 C(6관청, 본청), C#(5관반청), Eb(5관청)인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음정표기는 오선보에서는 실음 그대로 표기하지만, 정간보에서는 정악대금을 따라 전폐음을 㑣으로 표기한다.

6 악곡

현악과 관악을 막론하고 대부분의 합주 음악에 편성된다. 관악 중심의 음악에서는 고음의 소리가 두드러지지만, 현악 중심의 음악에서는 저취와 평취로 불어 그리 튀지 않는다. 또 다른 국악기에 비해 음이 변하지 않아 합주할 때 조율음을 불어주기도 한다. 먼저 대금이 潢 음을 불어주면 그 뒤로 피리가 그 음에 潢을 맞추고 그에 따라 해금, 가야금, 거문고 등등이 음을 맞춘다.[15][16]

청울림에 의한 음 빛깔이 일품이라 독주 악기로도 애용된다. 대금 독주로 유명한 곡으로는 청성자진한잎(청성곡)과 유초신지곡상령산, 경풍년이 있다. 거문고의 풍부한 저음과 어울려 거문고와 병주도 많이 하는데 중광지곡상령산이나 하현도드리를 많이 연주한다.



청성자진한잎.



대금 독주 경풍년.



상령산풀이. 상령산의 잔가락을 풀어서 변주한 곡이다.



중광지곡상현도드리하현도드리를 거문고와 중주한 것. 대금의 부드러운 저취와 거문고의 풍부한 저음이 잘 어울리는 곡이다.

창작국악에서는 주로 대금 산조의 가락과 주법을 이용한 음악이 많다. 서편제 주제가 천년학 등이 유명하다. 다만 창작국악에서는 소금(악기)에 밀려서 선전하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



서편제 주제곡 천년학. 1분 20초부터 들으면 된다.
어째서 자동재생이야??
대금 산조에 대해서는 산조항목 참조.

7 명인들

역사상 유명한 대금 명인으로는 조선 시대의 맹사성박연이 있으며, 특히 고종 때의 정약대 역시 유명하다. 야사에 따르면 정약대는 매일 인왕산에 올라가 대금을 불었는데, 앞에 나막신 한 짝을 놓고 한 곡[17] 불 때마다 모래를 한 알씩 넣어서 신이 다 차면 내려왔다고 한다. 대금을 불다 보니 나막신에 담긴 모래더미에서 이 자라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온다.

조선 말기의 기록에는 대금정악의 명인으로 함제홍(咸濟弘, ?~?)이 보이고 있으며 그 아들인 함재영(咸在韺, ?~?)이 또한 피리와 대금의 명수였다고 전한다.[18] 이 외에 어영청(御營廳) 세악수(細樂手)로 있었던 정약대(鄭若大, ?~?)가 전해지는데, 정약대의 경우에는 10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인왕산에 올라가 도드리 가락을 연주하여 한 번에 모래알 하나씩, 그 모래알이 나막신을 다 채울 정도로 연습했다고 하며, 하루는 거기서 풀이 났단다.(어디까지나 전설이니 심각해지지는 말자.) 허나 이들의 계보는 현재 그 이후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확실히 그 계보가 현대까지 이어지는 바로는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아악수로 있었던 최학봉(崔鶴鳳,1856~?)있다. 그러나 여기까지는 녹음자료나 상세한 약력이 전해지는 바가 없고, 최학봉의 제자 김계선(金桂善, 1891~1943)이 스승보다 더욱 유명하다.

김계선은 호가 죽농(竹濃)으로 아악부 아악수로 일했으며, 청성곡, 평조회상, 상영산에 능통하여 독주 음반을 많이 남겼다. 연주 활동이 매우 많았고, 그 기량 또한 대단해서 오죽하면 별명이 '아악부의 김간판'이었다고. 그의 대금 정악을 듣다 보면 요즘 정악이 연상되질 않는다. 왜냐고? 요즘 정악은 느리고 박자 변화가 거의 없는데 비해 김계선은 붙임새를 사용하고 있다.(...) 더 대단한 것은 김계선은 관악기라고 생긴 것은 죄다 잘했다는 것. 동시대에 활동했던 함화진은 최소한 서양악을 배우기라도 했지 이 양반은 배우지도 않았다. 흠좀무. 심지어 성격도 좋아서 겸손하고 거리낌이 없었다고 하니 또한 대인배의 기질이 보인다.

김계선의 제자가 김성진(金星振, 1916~1996)이다. 김성진은 해방 이후 대금정악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스승과 달리 화려하진 않았지만, 유려하고 섬세한 기교파로 유명했다. 스승과 함께 김성진의 청성곡은 천하제일로 꼽히며 현재까지도 따라갈 것이 없는 것으로 유명. 아니 요즘의 청성곡 연주는 김성진의 청성곡을 따라 한다.(...) 이 사람은 대금 하나를 무려 50년 동안 불었는데 이왕직아악부 아악사양성소 재학 시절 선배가 만들어 준 것이라고 하며, 이 악기는 국악원 국악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툭하면 악기 바꾸기가 일수인 국악인들에게 큰 귀감이 되는 사례.

이 외에 생존해 있는 대금 정악의 명인으로는 보유자 김응서와 조창훈이 유명하다.

한편, 1900년대부터는 민속 악기로서 대금이 개발되었고, 민속악의 한 장르로 '산조'가 개척됨에 따라 대금 산조의 명인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대금산조의 명인으로는 구한말의 강태홍, 박종기부터 일제~해방 직후까지의 한주환, 김광식, 편재준, 인간문화재 시대의 강백천, 김동식, 이생강, 김동표, 서용석, 원장현 등이 있다.

상세한 것은 추가바람

8 동음이의어

代金: 물건값으로 치르는 돈.
大金: 타악기로 분류되는 국악기. 과 거의 똑같이 생겼지만 민속악에서 쓰는 징보다는 조금 작다. 이나 대금이나 그게 그거 종묘제례악에서 정대업을 연주할 때 편성된다.

  1. 어째서인지 笒자는 확장한자로 분류된다. 지원되는 한자중국어 글꼴은 더더욱 적어서, 지원이 되지 않아 글자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눈물을 머금고 琴(거문고 금, 고금을 뜻하는 글자) 또는 芩(풀 이름 금), 岑(봉우리 잠)을 대신 써야 한다. 笒자는 요즘 다들 금이라고 읽지만 원래 음은 '함' (속찬 대 함)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아직도 대금을 '대함'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2. 참고로 한자로 가로 부는 악기는 적(笛; 횡적, 장적...), 세로 부는 악기는 소(簫;단소, 퉁소...)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3. 대금, 중금, 소금(악기)
  4. 삼국사기 악지의 다른 기록을 보면 신라의 고유 무용과 노래의 반주음악 편성법이 보이는데, 가야금(琴)만 편성될 뿐 관악기(笛)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일본에 전하는 삼국시대 악기를 보아도 적(笛)은 고구려악과 백제악에만 있지 신라악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5. 한국 예술총람, 이혜구 <한국사> 신라편;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에서 재인용
  6. 대나무 마디에 양쪽으로 곁가지가 두 개씩 나 골이 쌍으로 파인 일종의 기형 대나무.
  7. 손가락으로 짚는 구멍
  8. 다른 테이프 대신 굳이 청테이프를 쓰는 이유는 신축성이 있어 실제 청같이 팽팽하게 붙이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9. 조성래, <대금정악>, 한소리출판사, 1992
  10. 물론 운지가 미묘하게 달라진다
  11. 권안(權按)이라고 한다. 운지를 편하게 하기 위해 닫아도 음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공을 짚어 운지를 편하게 하기 위한 것.
  12. 예를 들어, 악기에 따라 林음에서 제1공을 막지 않을 경우 음정이 불확실해지기도 한다.
  13. 플루트와 마찬가지로 고음보다는 저음을 내기가 더 힘든데, 저음은 악기의 끝까지 숨을 내쉬어 주어야 하고 숨의 양도 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14. 여담이지만 손가락이 길거나 손이 크다고 지공을 잘 짚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손가락이 긴 사람도 손이 유연하지 못하면 일 년 내내 지공 짚는 연습만 할 수도 있고, 손가락이 짧아도 손가락과 손목 관절이 유연한 사람은 연습만 열심히 하면 금방 지공을 짚을 수 있다. 물론 그 열심히가 보통 열심히 하면 안 되는 게 문제
  15. 고려도경 악률조(樂律條)에도 비슷한 설명이 있다: "또한 관악기〔簫管〕가 있어 길이가 2척 남짓 되는데, 그것을 호금(胡琹)이라 불렀다. 몸을 구부려 먼저 불면 여러 가지 악기들이 이어서 소리를 낸다"(又有簫管 長二尺餘 謂之胡琹 俯身先吹 以起衆聲)
  16. 실제 연주회에서는 潢음을 불지만 대부분의 서적에는 潢이 아닌 㑣을 불어서 음정을 맞춘다고 되어 있다.
  17. 어느 곡인지 명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나 출처에 따라 이 곡이 영산회상이라고도 하고 수연장지곡이라고도 한다. 그만큼 이 두 곡이 대금 연습곡으로 중요하다는 이야기.
  18. 함제홍의 집안은 그 아버지 함윤옥(咸潤玉 , 咸允玉)이 장악원(掌樂院)의 악사(樂師)였으며, 함제홍의 둘째 아들인 함재운(咸在韻 , 1854~1916) 역시 아버지, 형과 더불어 장악원 악사로 일했다. 특히 함재운의 경우에는 아악사장까지 역임한 바 있다. 함재운의 아들이 함화진(咸華鎭, 1884~1948)으로 제5대 아악사장이었다. 현재 국립국악원 정악단으로 이어지고 있는 아악부의 명성은 함화진에 의해서 그 기틀이 다져진 바 크며, 그 자신이 정악뿐 아니라 서양악도 배웠던 만큼 이론에도 밝았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다만 그게 일제가 주도한 이왕직 체제에서 진행된 것이다 보니 함화진의 친일 논란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는 건 흑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