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루아벌레


Grylloblattodea

1 개요

곤충강 귀뚜라미붙이목의 곤충, 살아있는 화석으로 알려져 있다. 눈 위에서 돌아다닌다 하여 Ice bug, Ice crawler라고 불리기도 한다.[1]
지중성 곤충이나 거미 채집을 하다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혹시 발견했다면 연구소에 기증하던가 놓아주자.

짐작할 수 있듯이 갈루아[2]라는 사람이 발견해서 갈루아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는데...[3] 이는 일본명(ガロアムシ)을 그대로 따온 것이기 때문에 요새는 갈루아벌레대신 "귀뚜라미붙이"라는 한글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렇게되면 전혀 관계없는 귀뚜라미와 연계되버려서 더 혼란이온다.

2 외부적 특징

이 곤충은 몸 길이가 15~30mm 정도이며 가늘고 긴 편이고 노랑갈색이거나 회색을 띤다. 날개가 없고, 극지방이나 야외에 사는 종은 눈이 있으며 동굴이나 지하에 서식하는 종은 겹눈은 퇴화하였거나 없으며 홑눈도 없다. 촉각은 실 모양이고 20~50마디로 되어 있다. 구기는 저작형이고 다리는 다른 곤충들과 비슷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부절은 5마디이다. 꼬리털은 길며 8~9마디이다. 암컷의 경우 칼 모양의 산란관을 갖는다. 신진대사가 느려 성충이 되기까지 몇년씩 걸리기도 한다.

3 생태

땅 속이나 바위 또는 통나무 아래에서 서식하며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활발하다. 사체 등의 유기물을 먹고 살며 암컷은 검은 색의 알을 이끼류나 땅 속에 산란한다. 국내에서는 대부분이 동굴에서 사나, 일부 종은 이끼에서도 서식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세계에서 북미와 캐나다 서부, 시베리아동북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극지에 서식하는 종은 눈위를 걸어다니며 유기물을 찾아먹는다고.

현재까지 갈루아벌레목 갈루아벌레과에 총 5속이 확인되었으며 국내에는 4속 9종 이상이 기록되어 있다.

갈루아벌레목 3속 중 하나인 Namkungia는 국내의 동굴생물학자인 故 남궁준 선생(1920 - 2013)이 발견하여 붙인 것이다.

계통상 바퀴목과 가깝다. 친척인 종은 뒷굽귀뚜라미붙이 즉 사마귀대벌레.

4 기타

귀뚜라미붙이를 연구하는 국내 학자는 전무하며 남궁준 선생이 발견한 종이 꽤 있다. 관련 전문 개인블로거로는 갈로아가 있다. 거의 독자적으로 국내의 갈루아벌레에 대해 연구해왔다.[4]

일본의 갈루아벌레 학자로는 '이시이 가쓰히코'가 있으며 이 학자도 거의 독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5]

300px
쥐라기까지 번성했으나 이후 대륙이동으로 인한 서식지 고립과 딱정벌레목과의 생존 경쟁에서 패한 것 등 여러 가지 이후로 대부분이 멸종하고 일부만이 동굴이나 이끼에서 서식하고 있다. 실제로 쥐라기 때 살았던 갈루아벌레는 날개도 있었다! 누구세요? 강도래닮았다 그 증거로 국내에서도 갈루아벌레화석이 발견된 전적이 있으며 특히 2012년 트라이아스기 초기 아미산층 명천동에서 날개맥 화석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상하게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종류가 제일 많은데 그 명단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귀뚜라미붙이 왕국 대한민국 지구온난화서식지의 파괴로 인해 사라져가는 종류가 몇있다.

  • 고수귀뚜라미붙이=고수갈로와벌레 (Galloisiana kosuensis Namkung, 1974)
  • 백두귀뚜라미붙이=백두갈로와벌레 (Galloisiana sinensis Wang, 1987)
  • 묘향귀뚜라미붙이=묘향갈로와벌레 (Galloisiana sofiae Szeptycki, 1987)
  • 오대산귀뚜라미붙이=오대산갈로아벌레 (Galloisiana odaesanensis Kim & Lee, 2007)
  • 노동귀뚜라미붙이=노동갈로아벌레 (Grylloblatta nodongensis Kim & Choi, 2012)[6]
  • 예봉귀뚜라미붙이=예봉갈로아벌레 (Galloisiana yebongsanensis)
  • 비룡귀뚜라미붙이=비룡갈로와벌레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 동대귀뚜라미붙이=동대갈로와벌레 (Namkungia magnus Namkung, 1986) 세계에서 제일 큰 갈로와벌레다.
  • Grylloblattina djakonovi djakonovi Bei-Bienko, 1951[7]
  1. 이동 그래서 손 위에 올려놓으면 쪄죽는다(..) 갈루아벌레 말고도 겨울에 눈 위에서 돌아다나니는 곤충은 많다. 각다귀의 일종인 '눈각다귀', 나방의 일종인 '겨울가지나방' 등
  2. 이동 프랑스 사람이었다고 한다. 이 사람이 일본에서 처음 이 벌레를 발견했다고.
  3. 이동 발음에따라 갈루아벌레, 갈로아벌레, 갈로와벌레등 다양하게불린다.
  4. 이동 갈루아벌레뿐만 아니라 개미, 흰개미같은 곤충도 연구했다.
  5. 이동 곤충학자 표트르 나스크레키가 그의 저서에서 '나는 미친 듯이 땅을 팠는데도 결국 귀뚜라미붙이를 한 마리도 찾지 못하였다.(물론 가쓰히코 씨는 그동안 수십 마리를 찾아냈다.)'라고 언급했다 오오.
  6. 이동 동아시아의 Galloisiana속이 아닌 북미의 Grylloblatta속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등록자의 실수로 본다.
  7. 이동 백두대간에서 기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