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살아있는 화석
진짜로 살아 움직이는 화석... 이 아니라
살아있는 화석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인 현대 에어로타운 실러캔스.
Living fossil
일반적으로 화석으로만 남은 고대의 생물종과 흡사한 외견을 가지고 있으면서 현존하는 다른 근연 분류군이 존재하지 않는 생물종을 말한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서 처음 사용된 말이다. 꼭 원시적인 것만은 아니며 현존하는 생물들끼리는 원시적인지 논할 수 없다. 외관이 비슷하다고 내부 기관까지 반드시 같은것도 아니고, 과거의 모습에서 전혀 변함없이 같은 모습을 유지해온 것만은 아니지만 고대의 형태와 비슷하기 때문에 진화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다. 바다 밑바닥을 지느러미로 걸어다니는 실러캔스가 대표적인 예. 아득한 시간동안 멸종되지 않고 살아온걸 보면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독종(?)일지도.
다만 현재 과학계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단어인데다가 몇몇 학자들은 이 단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기도 한다. 우선 살아있는 화석의 기준이 애매하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실러캔스나 앵무조개처럼 수 억년 전의 화석종하고 비교되는 살아있는 화석이 있는가 하면 산양처럼 지질학적으로 최근에서야 나타난 생물종까지 살아있는 화석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따진다면 현재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생물종들까지 살아있는 화석으로 치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인간까지. 그리고 살아있는 화석의 예시로 소개되는 생물 대부분이 특정종을 지칭하지 않는 것도 문제인데, 고사리나 상어, 악어처럼 이미 지질시대부터 현재까지 종 분화가 활발하게 일어난 분류군을 두고 살아있는 화석이라 부르기에는 약간의 어폐가 있다.[1]
위의 내용을 종합하자면 결국 '살아있는 화석'이란 단어는 "외관상으로 화석종과 얼추 비슷한 현생종"이라는 의미 밖에 남지 않는다. 이런 걸 학계에서 어떻게 당당히 쓰겠어 때문에 현재 과학자들이 살아있는 화석이라는 단어를 쓰는 건 대중들에게 쉬운 이해를 주기 위해서 쓰는 것 뿐이지, 정확한 과학적 의미를 전달할려는 것이 아니니 주의하자.
최근에는 명확한 기준점을 잡아 잔존생물(Relict)라는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졌는데, 과거에는 넓게 분포하였거나 다양한 종이 있었지만 현재에는 다양성이 감소하고 서식 지역이 한정되어있는 생물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렇게 정의하면 공룡거미, 실러캔스, 투아타라처럼 과거에는 보편적인 집단이었지만 현재는 몇 안 남은 잔존물인 생물들은 잔존생물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바퀴벌레나 모기처럼 과거에는 물론 현재에도 보편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생물은 포함되지 않는다.
1.1 대표적인 예시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아래의 예시들은 대중들에게 흔히 알려진 예시들을 나열한 것이다. 이미 아래의 예시들 중 상당수가 해당 화석종들과 해부학적 차이가 상당히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대표적으로 실러캔스와 바퀴벌레. 특히 현대의 바퀴벌레는 석탄기가 아니라 백악기부터 나타났다. 석탄기에 나타난 건 바퀴벌레의 조상이며 모기도 의외로 늦게 쥐라기부터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