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듣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할 만한 이야기를 함으로써 물질적, 또는 정신적인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행위.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감성적인 주장을 하여 논지를 흐리는 경우나 범죄를 저지른 인물이 대중 매체에 등장하여 가족 이야기 같은 것을 하는 식으로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세탁하려 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TV프로 등에서 마법의 편집 같은 장치로 억지 감동을 유발하는 경우에 쓰인다. 보다시피 안 좋은 의미로 사용되며, 감정에 호소하는 오류와도 상당부분 겹친다.
이 물고기를 낚아서 팔면 감성팔이라 카더라
2 부정적인 이유
마케팅에서는 감성을 자극하는 것이 기본이다. 광고의 공식 중 하나가 3B, 즉 미인(Beauty), 동물(Beast), 아기(Baby)를 노출시키라는 것이다.
감성을 자극한다는 것은 무언가 대상을 포장하기 위한 의도가 다분하다는 것이다. 문제는 광고에만 쓰이지않는다는 것. 악덕 정치인 또는 기업, 나아가서는 물의를 일으킨 공인이나 다수 연예인들이 tv에 출연하여 눈물 질질 짜는 식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세탁하기 위해 사용하자 점차 사람들이 '감동적인' 그들의 이야기에 거부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것 말고도 몇몇 TV 프로그램 및 창작물에서 억지로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무리한 설정을 집어넣고, 편집하여 아예 인물의 캐릭터 자체를 바꾸거나 필요 이상으로 미화하는 것 역시 몇몇 사용자들에게 끊임없이 비판을 받았다. 특히 그들의 이미지가 '진실성'과는 거리가 먼 경우 사람들이 공감을 느낄리 만무하다. 한편 국내에서는 문제적이고 비판적인 영화에서도 감성팔이를 통해 관객들의 호응을 유도하기에 문제가 많다.
여기에 몰입한 관객들이 영화에 나온 내용이 전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고, '대중들은 비판적인 사고를 못한다'는 기만적인 행동이기도 하다. 국내의 영화인 부러진 화살이 이에 해당하는데, 실제 모티프가 된 판사 석궁 테러 사건은 한 쪽이 잘못되었다고만은 볼 수 없는 사건이다. 반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다룬 영화 빅 쇼트 등 해외의 문제적 영화들은 감성팔이를 최대한 배재하고 관객들의 비판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이렇든 억지스러운 감성 연출을 비꼬기 위해 나온 말이, '감성'에다 접미사 '~팔이'를 붙인 감성팔이다.
2.1 부작용
감성팔이의 가장 큰 해악은 바로 감성에만 치우친 나머지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한다는 것이다. 원래 의사결정에 감성이 큰 영향을 미치니만큼, 감성을 자극하는 방법 자체를 비난할 이유는 없다. 감성 자체가 메말랐다면 기부 운동이나 사회 운동은 예전에 죽어버렸을 테니까. 문제는 이것이 공적인 영역에 발을 담그는 경우다.
3 사용례
감성팔이의 예시는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령 법원에 호출되면 어김없이 휠체어를 끌고 나오는 높으신 분들이라거나, 선거철만 되면 시장바닥으로 걸어나가 눈물을 흘리는 정치인들을 볼 수 있다. 주로 강자는 악, 약자는 항상 선이라는 선입견을 이용한 것도 일종의 감성 팔이에 해당한다.
일본의 피해자 행세가 대표적인 예. 그들은 자신들이 세계대전 당시 극악한 무수한 범죄를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맞았다는 이유로 되려 피해자 행세를 하며 뻔뻔하게 "우리나라는 잘못 없다."라는 철면피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2014년 6월엔 못난 아비라 미안한 분도 계셨다. 일본엔 질세라 이분도 나오셨다. 당연히 높으신 분들은 법원을 걸어나오는 즉시 멀쩡하게 걸어나오고, 정치인들 중 선거 이후로도 지역구민에게 신경 쓰는 사람은 몇 안 된다.
정치계에서 감성팔이가 유독 비판받는 경우는 바로 시사 토론 중일 때다. 정치 토론 뿐만 아니라 어느정도 수준이 있는 토론에서는 다 해당된다. 어떤 주장에 대한 반론으로써 이성적인 주장 없이 감성만 잔뜩 불어넣으니 설득력이 없다. '우리 국민을 위해서~' 혹은 '우리 아이들이~'이런 말이 나오면 반대 쪽은 그 국민에서 나는 좀 빼 줘라, 혹은 우리 아이는 좀 빼달라 라고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런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감성팔이가 여전히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논리력이 상당한 정치권 인사들에게는 까이더라도 이를 SNS나 TV등 메스미디어를 통하여 노출을 시키면 10~20대의 감성적인 사람 혹은 TV나 신문 말고는 정보를 얻기 어려운 노년층이 여기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리처드 닉슨도 이런 감성팔이를 쓴 적이 있다. 1952년 고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던 닉슨은 자신의 당인 공화당에게조차 버림받을 정도로 정치적 위기에 몰려 있었다. 하지만 라디오에 30분 동안 출연해 '불법 정치자금 받은 건 맞는데 개인적으로 쓴 건 내 딸을 위한 체커스(Checkers)라는 개 하나 뿐이에요 ㅠㅠ'라고 감성팔이를 시전했고, 이게 통했다. 이때의 연이 '체커스 연설'이라 할 정도.
최근에는 유럽 난민 사태의 영향으로 국내의 불법체류자에 대한 기사가 쏟아져 나오는데, 한국에서 태어난 미등록 아동에 대한 사례[1]를 들며 불쌍하니 이들을 받아줘야 한다고 감성팔이를 시전한다. 그러나 이 아이들은 부모들의 장기체류 욕심[2] 때문에 한국이나 본국 대사관에 등록을 못해 피해를 보는 것이지 전쟁이나 박해를 피해서 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민과 동일시 할 수 없다.
3.1 연예계
감성팔이가 잘 쓰이는 곳은 대중 앞에 많이 드러나는 연예계다. 어느 분야건 할 것 없이 연예인은 팬들의 사랑으로 먹고 사는 직업이며, 이미지 관리를 위해 기부를 한다거나 몸매를 가꾸는 등 노력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런 만큼 자신의 집안 이야기 등을 꺼내서 억지감동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방법도 심심찮게 쓰인다.
문제는 감성이 흐르다 못해 넘쳐 역효과가 나올 때까지 감성팔이를 하는 프로그램이 많다는 것. 이전 강심장이나 무릎팍 도사, 스타킹처럼 강호동이 이런 쪽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강심장은 다른 사람이 어떤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도 종국에는 숙연한 분위기 만드는 사람이 이겼다. 실제로, 개그콘서트의 황현희 PD의 소비자 고발에서도 이런 억지감동스러운 클리셰에 대해서 풍자를 했을 정도다. 여기에 눈물까지 펑펑 흘리면 게임 끝. 그러니까 방송 흐름이 대체로 이렇다.
1. 간보기로 흥미있는 이야기가 나온다.
2. 정말 재미있는 사람이 좌중을 전부 웃겨 유력 후보가 된다.
3. 갑자기 한 사람이 가족사 등 슬픈 이야기를 꺼냄
4. 객석에서 아~ 하는 아쉬운 소리와 함께 눈물 클로즈업
5. 오늘의 강심장 선정
이런 식의 흐름이 다반사였다. 이 때문에 막판에 가서는 물의 일으킨 연예인 보고 강심장 가서 울기만 해봐라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다. 이후 강호동이 맡은 1박 2일, 맨발의 친구들 역시 억지감동을 일으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검색창에 '강호동 억지감동'이라고만 쳐도 기사가 수두룩하게 나오는 걸 보면 기존에도 여러 번 이런 이미지가 입에 오르내렸다는 걸 알 수 있다.
2011년부터는 힐링캠프 기쁘지 아니한가가 이 이미지 세탁(...) 프로그램으로 입방아에 올라 별명이 세탁캠프일 정도로 감성팔이의 부작용을 보여줬다. k pop star 시즌 4도 감성팔이를 한다고 비판받고 있다.
물론 아무리 감성팔이를 해도 안되는 연예인도 있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