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기후 구분 | |||||||
열대 기후 | 건조 기후 | 온대 기후 | 냉대 기후 | 한대 기후 | 고산 기후 |
건조기후 | |
Bw | Bs |
사막 기후 | 스텝 기후 |
1 개요
B기후.
중학교 사회 시간이나 고등학교 세계지리 시간에 배운대로라면 연 강수량 500mm 미만을 기준으로 하고, 이를 다시 강수량 250mm 이상의 스텝(BS)과 250mm 미만인 사막(BW)으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이렇게 단순한 기준을 적용하면 베르호얀스크처럼 지나치게 추워서 증발량이 적은 지역의 경우도 건조기후가 되는 아스트랄한 상황이 발생한다. 그리고 #영문_위키백과_자료를 보면 알겠지만 지중해성 기후라고 배우고 가르치는 카사블랑카는 강수량이 500mm가 안 된다! 물론 수능 세계지리에서는 카사블랑카처럼 점이지대인 곳을 찍어놓고 어느 기후인지 알아내도록 하는 문제는 출제하지 않는다 이게 다 서경 100도라는 천조국의 기막힌 기준 때문이다.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선 건조한계 공식을 활용하는데 건조한계 공식은 다음과 같다. [1]
1. 20×(연평균기온+14) (강수가 여름철에 집중될경우)
2. 20×(연평균기온+7) (어느 한쪽에 집중되지 않을경우)
3. 20×연평균기온 (강수가 겨울철에 집중될경우)
위의 값보다 적은 경우 건조기후로 보며, 위의 값의 반보다도 적으면 사막기후, 반보다는 크지만 위의 값보단 작을경우 스텝기후이다.
주로 열대우림과 온대기후의 사이의 위도 10 ~ 30도 가량의 아열대 고압대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곳에서는 대기가 하강하면서 상승한 온도로 인해 맑고 건조한 기후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며, 자전축이 23. 5도 기울어 있는 지구의 특성상 이 지역이 적도보다도 더 직접적으로 햇빛을 받기 때문이기도 하다(이 지역을 북회귀선, 남회귀선 지역이라고 한다). 바다와 육지의 위치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그 외 요인으로는 한류(대륙 서부의 해안가의 경우), 지역풍, 지나치게 큰 대륙 크기(대륙 중심부)[2], 높은 산맥으로 인한 습기의 차단 등이 있다.[3]
흔히 가지는 이미지에 비해 생각보다 온도가 높지 않은 편이다. 대기가 워낙 건조해 일교차는 매우 크기 때문. 밤에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심심치 않는지라 동사(凍死)가 이 지역의 주요 사인이기도 하다. 단 건조한 지역의 특성상 기온이 높은 경우 어느 지역과도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기온이 치솟는 곳이기도 하다.
쾨펜의 기후 구분상 맨 끝자리 'h'와 'k'를 구분하는 기준은 어디까지나 연평균기온이다. 연평균기온이 18도 이하이면 끝자리가 k, 연평균기온이 18도 이상이면 끝자리가 h이다. [4]
약간의 초원이 형성되어 있는 스텝지역에 비해 사막의 경우 사막에 적응하도록 진화한 소수의 식물을 제외하고는 식생대가 거의 발달하지 못하는데, 이는 사막지역은 강수량 자체가 적기도 하지만 강수현상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10년 동안 단 한차례도 비가 오지 않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10여분만에 몇 년 분에 해당하는 폭우가 쏟아지기도 한다고. 사막에서 사망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이렇게 기습적으로 내린 폭우 때문에 익사한 사람들이라고 하며, 미국에서 가장 건조한 도시인 라스베이거스도 이러한 기습적인 폭풍우에 당한 적이 있으니 무시할 점이 아닌 셈이다.
2 세부 분류
- ↑ 7차 교육과정 지학사 세계지리 교과서엔 이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 ↑ 바다의 습기가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중앙부에 사막이 형성된다. 고생대의 대멸종에 판게아 형성으로 대륙 중심부가 사막화 된 것이 일조했다는 설도 있다.
- ↑ 대표적으로 히말라야 산맥 뒤편 티베트 고원, 카라코람 산맥 내부 산간 지역, 뉴질랜드의 서던 알프스 산맥 동쪽 캔터베리 평원이다. 이는 푄현상과도 연관있음.
- ↑ 이점을 불편하게 여긴 미국의 지리학자 트레워다가 연중 영하로 내려가는 달(최한월)이 1달 이상이면 kalt, 하나도 없으면 heiß로 바꾸어 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