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대기후

亞寒帶氣候, 冷帶氣候
Continental/Microthermal Climate

세계의 기후 구분
열대 기후건조 기후온대 기후냉대 기후한대 기후고산 기후

1 개요

말 그대로 추운 편인 기후. 아한대기후라고도 부르며 온대기후한대기후(Arctic Climate)의 중간에 해당하는 기후. 다만 온대기후의 의미를 확장하면 아열대기후, 온대기후(좁은 의미)와 함께 넓은 의미의 온대기후에 포함된다.

극지방(남극, 북극)에 가깝지만 그렇다고 너무 극에 가깝진 않은 지역[1] 정도, 즉 중위도에서 고위도로 넘어가는 점이 지역에서 주로 잘 나타나는 기후이다. 기준은 최한월 평균기온 -3℃ (또는 0℃로 보는 경우도 있다) 이하, 최난월 평균기온은 10℃ 이상.

640px-Koppen_World_Map_Dfa_Dwa_Dsa_Dfb_Dwb_Dsb.png
습윤 대륙성 기후(넓은 의미)의 분포도
동아시아쪽으로 갈수록 상당히 내려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640px-Koppen_World_Map_Dfc_Dwc_Dsc_Dfd_Dwd_Dsd.png
아극 기후의 분포도

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Df.png

냉대습윤기후

640px-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Dw.png

냉대동계건조기후

다만 수륙분포에 따라 다르다. 멕시코 만류지중해[2]의 영향을 받는 유럽에서는 북위 55도까지는 가야지 냉대기후가 나타나지만[3] , 동쪽으로 갈 수록 점점 위도가 낮아져서 동아시아쯤으로 오면 북위 37도서부터 냉대기후를 볼 수가 있다. 북아메리카는 좀 덜하지만 이런 점에서는 비슷하다.[4] 때문에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한반도 역시 상당부분 이 기후를 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D로 표시된다. 춥고 매서운 겨울이 비교적 길고, 평균기온이 섭씨 10도 이상인 달이 3달 이하인 게 이 기후의 특징이다. 그리고 연교차도 매우 큰 편이다. 하지만 평균기온 10℃ 이상인 달이 적어도 1달 이상 존재하는 점이 한대기후[5]와의 차이점이다. 냉대기후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계절을 갖고 있거나 사계절의 구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온대기후에 포함되는 것도 이것 때문인듯 러시아의 베르호얀스크, 오이먀콘, 야쿠츠크 같은 곳이 한대기후가 아닌 냉대기후로 분류되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 다만 한반도와 중국 북부지역이 속한 Dwa 기후의 경우 다른 냉대기후권에 비해 겨울이 상대적으로 짧다.

2 해당 국가와 지역

당연하게도, 고위도에 큰 대륙이 없는 남반구에는 냉대 기후가 거의 없다. 기껏해야 칠레 남부 정도.

3 하위 기후

가끔 습윤 대륙성 기후와 아극 기후로 나누기도 한다. 습윤 대륙성 기후는 일반적으로 겨울이 온대보다는 춥지만 사계절이 확실히 존재하는 기후로 한반도 상당수 지역도 여기에 포함되나, 여름이 비교적 짧고 시원하거나[12] 아니면 겨울이 극단적으로 추운 아극 기후는 정말로 극한지대. 아극 기후 지역에는 사하 공화국 같은 지역이 포함된다.[13]

영어위키백과의 습윤 대륙성 기후 문서

영어위키백과의 아극 기후 문서
  1. 하지만 남반구의 경우, 해당 위도는 대부분이 연교차가 거의 없어 겨울이 춥고 여름이 있을 턱이 없는 대양이고 바다 건너편의 남극대륙은 그냥 냉대기후도 아닌 한대기후라 남반구에서는 냉대기후가 없다. 남미대륙 남쪽 끝의 이곳의 경우 냉대기후가 아니라 온대기후이다.
  2. 유럽에서 북위 42도까지는 아열대기후를 띈다. 자세한 건 지중해흑해 문서를 참조할 것
  3. 멕시코 난류가 정통으로 통과하는 노르웨이 서부 해안이나 아이슬란드 등지는 북위 65도인데도 온대기후를 띈다.
  4. 해당 지역들은 모두 오대호 연안이다.
  5. 한대기후는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기온이 10℃ 미만이고 가장 추운 달의 평균기온이 -3℃ 미만인, 즉 1년 내내 겨울인 기후이다. 남극, 북극 등에서 기후가 바로 한대기후에 해당한다. 밑의 예시가 들어간 사하 공화국같은 경우도 틱시는 한대기후에 속한다.
  6. 해안에서는 북위 69도 이북부터 냉대기후를 띈다.
  7. 강수량이 일정하고 연교차는 비교적 적은 Dfa, Dfb기후를 주로 보이며 겨울~봄에도 습하므로 차가 늪에 빠지는 병맛스런 일도 자주 일어난다(...)
  8. 주로 Dwa나 Dwb. 참고로 서울을 포함한 한국 중부는 여름이 습하고 더우면서 겨울이 춥고 건조한 Dwa 기후의 전형쯤에 해당한다.여름엔 팔열지옥, 겨울엔 팔한지옥
  9.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한반도 남부온대기후에 속한다.
  10. 정확히 말하면 중앙유럽은 온대 해양성 기후에서 냉대기후로 넘어가는 중간지점에 속한다.
  11.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의 경우 2000년대 이후, 2010년대에도 냉대기후로 분류되지만,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 그냥 온대기후로 바뀔 수도 있다.
  12. 주로 러시아의 유럽에 가까운 지역 북쪽과 스칸디나비아 북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시베리아 동부라도 비교적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마가단이나 추코트카 역시 이 기후에 속한다
  13. 이곳의 경우 7, 8월은 한국 못지않게 엄청 덥지만 9월부터 영하로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