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라선 | 관리 주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소속 : 청진철도총국 | |||||
평 양 방면 룡 현 | ← | 경 성 | → | 라 진 방면 생기령 |
鏡城驛 / Kyŏngsŏng Station
광복 당시 이름은 주을역(朱乙驛)이었고 행정구역도 경성군 주을읍이었다.
경성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1398년에 이 일대에 태조 이성계가 이름을 붙이기를 이 지역에 거울같이 맑은 감호와 읍성이 있다고 해서였다. 다만 점령은 1368년부터 시작된 고려 시대의 쌍성총관부 수복과 함께였다.
경성군은 일제강점기 시대에는 3,060㎢로 무산군에 이어서 함경북도 전체에서 면적 2위. 무산군이 워낙 무식하게 커서 그렇지 경성군도 면적으로 내놓으면 쉽사리 꿀리지 않는 무식하게 큰 면적을 자랑하고 있었다. 도청 소재지였던 경성군 나남읍이 1940년에 청진시에 편입되기 전까지는 이 경성군이 도청 소재지였다. 애초에 함경도라는 말 자체가 함흥과 경성에서 따 온 것이니... 재미있는 것은 군청의 위치인데, 경성면이었다. 경성군 소속의 읍이 주을읍과 어대진읍으로 두 개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일제 시대뿐만 아니라 남한에서 1979년까지는 군청 소재지라 할지라도 인구가 2만 이하인 곳은 읍으로 승격시키지 않았다.
그러다가 1952년 군면리 대폐합을 거치면서 남부의 40%가 어랑군으로 잘려나가고 동북부의 1/4 정도가 청진시에 편입되면서 가운데 1/3 정도만 남게 되었다. 이 때 군청도 경성면 승암리에서 주을읍 온천리로 옮기면서 경성읍이 이 역 근처로 이전했고, 이러면서 역 이름도 자연스럽게 주을역에서 경성역으로 이름이 바뀐 것. 1941년판 조선철도시각표를 보면 경성역과 주을역이 같이 있는데, 경성역이라고 표기된 곳이 바로 현재의 승암역이다. 명천역과 비슷한 과정으로 역명 바꾸기를 한 셈이다.
시가지도 엄청나게 넓어서 거의 3㎢에 달하는 큰 읍이다. 이 많은 인구가 산자락에서는 광물을 캐고 주을온천 하류에서는 농작물을 생산하는 것이다. 지금도 경성군이 가지는 입지는 탄탄하다고 봐도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 발전된 지방 중심지의 상징인 노동자구도 다섯 개나 된다.
역의 시설은 1면 6선으로 그리 크지는 않지만, 짤막한 인입선이 여러 군데에 있다. 어차피 차량점검 등은 30km만 더 가면 나오는 청진청년역에서 진행되니 그리 큰 문제는 아니고, 딱히 공장이 있는 것도 아니니 순수하게 수요만으로 이 정도 크기의 역이 되었다는 뜻이다. 이걸 감안하면 그래도 큰 역인 셈. 다른 역에는 거의 없는 지붕까지 설치되어 있다.
평양역 기점 685.5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