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군


함경북도의 시, 군
청진시김책시회령시
경성군길주군명간군명천군
무산군부령군경원군어랑군
연사군온성군경흥군화대군
종성군학성군
함경북도의 하위행정구역 (이북5도위원회)
청진시성진시나진시
경성군명천군길주군학성군
부령군무산군회령군종성군
경흥군경원군온성군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鏡城郡 / Kyŏngsŏng County
京城郡 / Keijo

경성군
鏡城郡 / Kyŏngsŏng County
국가대한민국
광복 당시 면적3,060㎢
광역시도함경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2읍 4면
시간대UTC+9 [1]
81_big.jpg
경성읍성의 남문[2]

1 개관

함경북도의 군. 면적 1,171㎢. '함경도'의 '경'이 바로 이 경성이다.

여진족은 이곳을 우롱이(于籠耳), 목랑고(木郞古)라 했다. 목랑고는 여진어로 거울이란 뜻이로 이 명칭을 이어 鏡城이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1896년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리될 당시, 함경북도청 소재지였다. 1920년대에 일제가 경성에서 나남으로 도청을 이전했다가, 1940년 나남읍과 용성면이 청진부에 편입되면서 졸지에 도청소재지 타이틀을 청진에게 빼았겼다(...).

원래 면적은 3,060㎢로 광복 당시에는 함경북도 내 2위 면적콩라인의 큰 군이었다. (1위는 최종보스 무산군)

1952년 군면리 대폐합을 거치면서 크기로는 군 중에서만도 4위로 밀려났다. (1위 어랑군, 2위 무산군, 3위 연사군) 재미있는 점은 어랑군 전체가 원래 경성군 관할이었다는 사실.(...) 청진시로도 일부 땅이 넘어갔다.

2 자연지리

군의 중심지는 모조리 동쪽 해안에 붙어 있다.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군 동쪽의 10~15% 정도의 면적에 퍼져서 산다는 소리다. 그도 그럴 것이, 군의 서쪽에 있는 산들이라는 것들이... 일단 관모봉 (높이 2,541m : 한반도 2위)이 가장 큰 압박이고, 이 관모봉을 빼도 도정산(높이 2,199m), 입석산(높이 1,982m), 궤산봉(机山峰 : 높이 2,277m) 등등 높이가 2000m 가까이 되는 산만 서넛은 되니... 이외에도 여령(높이 1,728m), 남하석산(높이 1,742m), 백사봉(높이 1,479m) 등이 군의 서부에 떡하니 버티고 있다. 관모봉의 포스가 워낙 세서 이게 별로 높아 보이지 않을 수도 있는데, 상기된 봉우리들은 모조리 소백산보다 높은 봉우리들이다. 게다가 백사봉을 제외하면 대한민국에서 여령보다 높은 산은 한라산지리산뿐이다.

3 교통

그러다 보니 교통편도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좁은 도로를 제외하면 모조리 동쪽에 놓여 있다. 여령을 통과해서 무산군으로 가는 매우 좁아터진 도로를 제외하면 경성군에서 무산군, 연사군 방향으로 갈 수 있는 길은 전혀 없다. 그리고 그 좁아터진 도로도 어째 중간에 김일성의 별장이 가로막고 있어서 사실상 통제구역. 여하튼 전혀 도움이 안 되는 돼지다. 고로 이 군에서 무산군으로 가려면 청진시 - 부령군으로 돌아가거나, 어랑군에서 연사군을 거쳐 올라가는 비효율적인 짓을 해야한다. 여담으로 이 별장 인근에 박살난 관리소가 하나 있는데, 그게 경성 관리소. 별장 지으려고 정치범수용소를 폐쇄해 버리는 위엄이란... 병맛으로 병맛을 막다. 별장이 다크 히어로일부 자료에서는 아예 Palace라고 표기할 정도니 말 다 했다.

게다가 룡현역 인근에도 별장이 하나 더 있다. 위치는 관모리 인근. 참고로 관모리 중심부와 관모봉은 한자는 같은 걸 쓰지만 거리는 직선거리만 약 30km 떨어져 있다. 뭐 관모봉이 관모리 소속이긴 하지만.

4 여담

서울일제강점기 시절 명칭이었던 경성부(京城府)와는 관계없다. 다만 이 곳을 '북(北)경성'이라고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경성(京城)과 구분하기 위해서.

일제강점기 시절 주을의 산골에는 러시아 혁명을 피해 온 백계 러시아인들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5 인근 행정구역

연사무산청진
경성군동 해
어랑

함경북도 소속

6 교통편

철도평라선 룡현역 경성역 생기령역승암역 
대향선 룡현역 대향역 
도로7번 국도 온성군 - 청진시 - 승암노동자구 - 박충노동자구 - 생기령노동자구 - 경성읍 -
 용천노동자구 - 어랑군 - 부산광역시

7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 경성면(鏡城面)

면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일리동이며, 구덕동·남부동·남석동·독연동·박상동·박중동·박하동·봉남동·봉암동·부윤동·성남동·성북동·소동·수성동·승암동·아양동·어윤동·오상동·용천동·용포동·원향동·직두동·회향동을 관할한다.

  • 어대진읍(漁大津邑)

읍소재지는 송신동이며, 송흥동을 관할한다. 원래 이곳은 어랑면의 일부였으나 1940년에 어대진읍으로 승격되면서 분리되었다.

  • 주을읍(朱乙邑)

읍소재지는 온천동이며, 대향동·도암동·매향동·보상동·보암동·봉파동·상칠동·연향동·영강동·오류동·용교동·용산동·용천동·용현동·육향동·이암동·일향동·중칠동·중평동·중향동·직동·차향동·청암동·초향동·팔향동·하면동·화상동·화하동·회동을 관할한다. '주을'은 여진어로 '뜨거운 물'이란 뜻이며, 이름 그대로 온천 지대였다. 일제강점기 때 유명했던 주을온천이 있었던 곳으로, 원래 이름은 주을온면(朱乙溫面)이었으나 1940년에 읍으로 승격되면서 개칭되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 기준으로 전국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邑)이었다 (면적 772㎢).

  • 어랑면(漁郞面)

면소재지는 봉강동이며, 교향동·무계동·부산동·오상동·용강동·용양동·용천동·용평동·이암동·이엄동·장연동·지방동·하남동·하우동·호양동·화룡동을 관할한다.

  • 주남면(朱南面)

면소재지는 용전동이며, 광덕동·남평동·대문동·부평동·삼포동·삼향동·생룡동·선경동·소요동·수남동·신운동·오산동·용담동·용암동·이향동·일암동·자산동·칠향동·화우동을 관할한다. 원래는 주북면과 같이 주촌면(朱村面)이었으나 1914년에 분할되었다.

  • 주북면(朱北面)

면소재지는 용중동이며, 금곡동·남천동·남하동·두남동·득마동·부하동·상고동·시남동·암광동·영원동·용산동·용연동·용호동·운곡동·이룡동·접왕동·청송동·하고동·화곡동·화산동·회문동을 관할한다.

7.1 하위 행정구역

광복 당시에는 2읍(주을, 어대진) 4면(경성, 주북, 주남, 어랑)으로 이루어졌다. 북한 정권은 경성면 일리동에 있었던 군청을 주을읍으로 옮기면서 그곳을 경성읍이라 부르고 있다.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노동자구 (구 동/리) 순서.

  • 경성군에서 남은 행정구역
    • 주을읍
      • 경성읍 (주을온동, 광산동)
      • 용천노동자구 (영강동, 용천동, 이암동)
      • 생기령노동자구 (광산동)
      • 하온포노동자구 (주을동)
      • 관모리 (도암동, 보암동, 청암동)
      • 대향리 (대향동, 이암동)
      • 룡산리 (용산동)
      • 매향리 (매향동, 보상동, 회동)
      • 상온포리 (온포동)
      • 염분리 (염분동)
      • 온대진리 (집삼동, 초향동)
      • 일향리 (연향동, 일향동, 향남동)
      • 중평리 (오류동, 중평동)
      • 하면리 (하면동)
      • 화하리 (화하동)
    • 경성면
      • 박충노동자구 (박상동, 박충동, 소동)
      • 생기령노동자구 (직동)
      • 승암노동자구 (수성동, 승암동, 용포동, 읍내동)
      • 남석리 (남석동)
      • 독연리 (독연동, 성북동)
      • 오상리 (오상동)
      • 장평리 (남부동, 원향동, 용포동, 장평동)
    • 주북면
      • 매향리 (동이 통째로 넘어오지는 않았으며 마을 몇 개만 이관되었다)
  • 경성군에서 타 군으로 이관된 지역

8 하위 행정구역

1읍 5구 15리로 이루어져 있다.

경성군의 행정구역
 경성읍
노동자구 룡천구 박충구 생기령구승암구 하온포구 
 관모리 남석리 대향리 독연리 룡산리 매향리 상온포리염분리
 오상리 온대진리일향리 장평리 중평리 하면리 화하리 
  1. 북한 기준으로는 UTC+8:30
  2. 광복 당시 경성면 일리동, 북한 행정구역상 승암노동자구에 위치한다. 참고로 북한 행정구역상 경성읍은 광복 당시의 주을읍을 가리킨다. 한편 경성읍성은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직사각형으로 성을 쌓았다.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수정 로그가 손실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 나무위키로 포크를 해 오는 과정 중 수정 로그가 손실된 문서이며, 문서 재작성이 필요합니다. 나무위키의 문서는 CC 라이선스에 따라 저작자 정보를 표시해야 하지만, 이 문서는 포크 누락으로 인해 저작자 정보가 유실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분류:포크 누락 문서를 참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