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북한/행정구역
- 이북 5도청 산하 행정구역은 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문서로
함부르크는 해당 문서로
북한의 광역행정구역 | |||||||
직할시 | 평양직할시 | ||||||
특별시 | 남포특별시 | 라선특별시 | |||||
특별구 | 신의주특별행정구 | 금강산국제관광특별구 | |||||
도 | 평안남도 | 평안북도 | 자강도 | ||||
함경남도 | 함경북도 | 양강도 | |||||
황해남도 | 황해북도 | 강원도 |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咸鏡北道 / Hamgyŏngbuk-do, North Hamgyŏng
1 개관
북한 동북부에 있는 도. 도청 소재지는 청진시,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327,362명이다. 서쪽으로 양강도와 함경남도에 맞닿아 있으며, 북쪽으로는 중국, 북동쪽으로는 라선특별시[1]와 맞닿아 있다.
면적은 15,980㎢로, 중국과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며 서쪽에 양강도와 함경남도를 이웃하고 있다. 도청을 청진시에 두고 3시(청진시·김책시·회령시), 12군(온성군·명천군·명간군·경흥군·경원군·부령군·무산군·경성군·길주군·명천군·연사군·어랑군)으로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는 당연히 함경도(과거엔 함길도). 함경도 가운데 경성, 함길도 시절의 길주를 포함하고 있다. 특별히 세종대왕 때에 개척한 여섯 고을(부령,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등)을 육진지방(六鎭地方)이라고 부른다. 이 곳의 방언을 특별히 육진 방언이라고도 나눈다.[2]
2 기후
기후면에서는 무산 등 내륙 고원지대, 회령-온성-경원 등 두만강 연변지방, 청진-경성 등 동해안 지대의 셋으로 나눌 수 있다.
내륙 고원지대와 두만강 연변지방은 위도도 높고 대부분이 산지인지라 대륙성 기후의 진수를 보여주니, 한마디로 겨울엔 엄청나게 춥지만 반대로 여름에는 엄청나게 덥다. 1월 평균 기온이 -13˚인데, 특히 중국과 러시아 접경 지역은 한겨울에 -20˚는 가볍게 찍으며, -40˚까지도 내려가는 날이 제법 있다.(...) 거기다 한반도의 최과우 지역이라 비도 더럽게 안 온다. 연 평균 강수량이 500mm 내외. 그래서인지 호우에 대한 대비가 허술하고 그 결과 2016년 두만강 유역 대홍수라는 대참사로 인하 큰 피해를 입었다.[3]
이에 비해 동해 연안 지대는 동해 연안으로 흐르는 한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여름이 서늘하고 안개가 많다. 안개는 봄과 여름, 특히 6~7월에 심하다. 이 기간 중에는 날이 흐리고 안개가 끼며 이슬비가 내리는 탓에 일조량이 적어 냉해의 원인이다. 다만 성진처럼 비교적 기후가 양호한 곳도 있다.
고위도에 있어 함경북도는 봄이 오는 시기도 늦다. 벚꽃을 예로 들면, 서울 일대 중부지방은 4월 10~15일경에 벚꽃이 피는 데 비해, 청진 이북지방은 5월 10일은 지나야 핀다.
그리고 북쪽이다 보니, 이 지역은 중부 지방보다 겨울에는 해가 더 짧고, 여름에는 해가 더 길다. 청진의 경우, 동지 무렵에는 서울보다 30분쯤 빠른 16시 50분경에 해가 지고, 하지 무렵에는 서울보다 25분쯤 빠른 4시 45분경에 해가 뜬다.[4] 이제는 16시 20분과 4시 15분.
3 여담
- 1960~1967년, 1977년~1985년 동안 청진시가 청진직할시로 나눴던 적이 있다. 또한 청진직할시가 있던 기간 동안 부령군, 무산군, 경성군도 청진직할시에 편입해, 함경북도가 남북으로 갈라졌다. #
- 국내에서 명태가 처음 잡힌 곳이 함경북도 명천군. 조선시대 명천에 사는 태씨라는 성을 가진 어부가 명태를 잡았는데 도대체 무슨 물고기인지 몰라서 고을 사또에게 갖다줬더니, 그 사또도 뭔 물고기인지 몰라서 "이곳이 명천이고 네 성이 태씨니까 한글자씩 따서 명태라고 하자."며 작명했다고 한다.
- 1966월드컵 당시 활약했던 북한 축구선수들 중 함북출신이 많다고 한다. 지금도 북한에서는 함북 출신의 축구선수들의 기량이 높아서 함북 축구단 성적이 좋다고.
그래봤자 포르투갈에게...[8] 함북 출신 여자축구 선수들도 기량이 높다.
- 경성군에는 온천이 많다.
한국의 노보리베츠
- 이순재가 함경북도 회령 출신이다.
- 여기의 산악지방 지하에서 최소 3~5개의 비밀 핵실험장을 파악했다. 2013년 2월 12일, 북한은 이곳에서 핵실험을 했다. 앞으로도 서방국가들의 주요 감시대상일 동네이다.
- 정강의 변 때 잡혀온 송나라의 휘종과 흠종, 황족 및 대소신료와 귀족들이 이곳의 회령 근방에서 귀양살이를 했다는 설이 있고, 휘종의 묘라는 것이 고령진역 근방에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하얼빈 근처 이란현에서 귀양살이를 했다는 것이 정설이다.[9]
- 한반도에서 서울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이다. 서울과 가장 가까이 있는 성진만 해도 직선거리가 거문도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며 북쪽 끝 온성은 이어도보다도 훨씬 멀리 떨어져있다.
- 함북도민들의 특징은 원래는 키가 컸다는 점이다. 일제강점기때만 해도 한반도를 지배했던 일본은 물론 전라도나 경상도, 심지어는 서울사람보다도 키가 컸다. 물론 주인을 잘못 만나면서 역전되었지만...
- 지리가 험하고 추운 곳이라 그런지 여기도 개마고원 못지 않은 오지다. 그래서 인구가 적고 개발도 상대적으로 덜 되어 있는 편이다. 그와 반대급부로 야생동물들이 많이 사는데 특히 남한에는 없는 야생 불곰이 개마고원과 이곳 함경북도의 산간 지방에 서식 중이라 한다.
통일 되면 불곰이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함경북도는 또 오지 신세를 못 면할 것 같다.
- 2016년 9월에 함경북도에 홍수가 발생해서 크나큰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북한 정부의 재정으로 감당하기 벅차서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하지만 홍수피해 후 얼마 있지 않아 5차 핵실험을 강행했기 때문에 국제여론은 싸늘한 상황. 한국정부 또한 북측에서 공식적인 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에서는 지원 요청 유무에 관계없이 인도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10월 7일 현재 스위스정부에서 한화규모로 약 40억원의 규모의 자금을 지원했다고 한다.
4 하위 행정구역
함경북도의 시, 군 | ||||||||
시 | 청진시 | 김책시 | 회령시 | |||||
군 | 경성군 | 길주군 | 명간군 | 명천군 | ||||
무산군 | 부령군 | 경원군 | 어랑군 | |||||
연사군 | 온성군 | 경흥군 | 화대군 | |||||
5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지도에서 우측이 광복 직후, 좌측이 현 북한에서 쓰는 행정구역. 이 지도는 2002년 기준인 지도이기 때문에 라진시과 선봉군이 같이 나오지만, 현재는 라선시로 통합했다.
그리고 저 크고 아름다운 무산군의 크기를 보라. 이는 광복 직후 행정구역 기준으로 가장 넓이가 큰 군이다.[10]
대략적인 변화를 나타내서 정확한 경계선이 아님에 유의. 실제로 화대군과 명천군이 명간군에 비해 너무 작게 나왔다.
함경북도의 행정구역 변화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도 | 번호 | 시 / 군 | 면적 | 참고 |
함경북도 | 1 | 청진시 | 275 | 함경북도 | A | 청진시 | 1,855 | |
함경북도 | 2 | 부령군 | 1,900 | [11] | ||||
라선특별시 | C | 라진시 | [12] | |||||
함경북도 | I | 부령군 | 790 | |||||
J | 무산군 | 1,300 | [13] | |||||
함경북도 | 3 | 성진시 | 함경북도 | B | 김책시 | 850 | ||
함경북도 | 4 | 학성군 | 941 | |||||
함경남도 | 단천시 | 2,170 | [14] | |||||
함경북도 | 5 | 나진시 | 137 | 라선특별시 | C | 라진시 | ||
함경북도 | 6 | 경흥군 | 1,139 | |||||
E | 선봉군 | [15] | ||||||
함경북도 | F | 은덕군 | 940 | |||||
함경북도 | 7 | 회령군 | 1,255 | 함경북도 | D | 회령시 | 1,750 | |
F | 은덕군 | 940 | [16] | |||||
함경북도 | 8 | 종성군 | 1,122 | 라선특별시 | C | 라진시 | [17] | |
함경북도 | D | 회령시 | 1,750 | [18] | ||||
F | 은덕군 | 940 | [19] | |||||
G | 새별군 | 910 | [20] | |||||
H | 온성군 | 720 | [21] | |||||
함경북도 | 9 | 경원군 | 857 | 함경북도 | F | 은덕군 | 940 | [22] |
G | 새별군 | 910 | ||||||
함경북도 | 10 | 온성군 | 430 | 함경북도 | [23] | |||
H | 온성군 | 720 | ||||||
함경북도 | 11 | 무산군 | 6,168 | 함경북도 | D | 회령시 | 1,750 | [24] |
J | 무산군 | 1,300 | ||||||
K | 연사군 | 1,210 | [25] | |||||
양강도 | 대홍단군 | 681 | [26] | |||||
백암군 | 2,294 | [27] | ||||||
삼지연군 | 1,326 | [28] | ||||||
함경북도 | 12 | 경성군 | 3,060 | 함경북도 | A | 청진시 | 1,855 | [29] |
L | 경성군 | 1,171 | ||||||
M | 어랑군 | 1,340 | [30] | |||||
함경북도 | 13 | 길주군 | 1,376 | 양강도 | 백암군 | 2,294 | [31] | |
함경북도 | O | 길주군 | 1,032 | |||||
Q | 화대군 | 480 | [32] | |||||
함경북도 | 14 | 명천군 | 2,080 | 함경북도 | N | 명간군 | 1,117 | [33] |
P | 명천군 | 600 | ||||||
Q | 화대군 | 480 | [34] |
- ↑ 1993년 라진-선봉직할시가 됐다가, 2001년 라진시로 격하하면서 도로 함경북도로 왔다가, 2000년대 중반 시점에서 라선특급시를 거쳐 평양과 동급인 라선직할시로 나뉘었다.(연도는 자료다마 다름) 이후 특별시와 직할시를 나누면서 2010년 라선특별시다. 참고로 원래는 남북한 모두 특별시>직할시(남한은 뒤에 광역시)였으나, 지금은 직할시(남한의 특별시)>특별시(남한의 광역시)>특급시(도 휘하. 남한의 통합창원시처럼)이다. 개성특급시가 좋은 예
- ↑ 단 부령군 남부와 경흥군 남부는 육진방언권이 아니다.
- ↑ 함경북도의 밥줄인 라선은 물론이거와 국경지역 도시들은 죄다 쓸려나갔다! 이로인해 세관과 교량이 무너지며 북중무역에 차질이 생겼다.
- ↑ 동지 무렵의 일출시각과 하지 무렵의 일몰시각은 서울과 큰 차이 없음. 계산은 여기를 참고함.
- ↑ 여진어로 일곱이란 뜻
- ↑ 여진어로 종(鐘)이란 뜻
- ↑ '오모호이'의 한문 음차인 오음회에서 '회'를 땄다.
- ↑ 최근 월드컵에서 5점차 이상의 대패한 팀으로는 1998년에 자메이카(VS아르헨티나 5-0), 대한민국(VS네덜란드 5-0), 2002년에 사우디아라비아(VS독일 8-0), 2006년에 세르비아몬테네그로(VS아르헨티나 6-0), 2010년에 북한(VS포르투갈 7-0), 2014년에 브라질(vs독일 7-1) 물론 이 중에서 최강팀은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브라질이 아니라..?). - ↑ 아무래도 함경북도 회령시와 당시 금나라 수도였던 상경 회령부의 한자가 같아서 후대 학자들이 혼동한 듯하다. 상경 회령부의 위치는 하얼빈의 아성이라는 곳이다.
- ↑ 이 군 하나 면적이 제주특별자치도 면적의 3배가 넘고 충청북도 면적의 80%에 육박한다.
- ↑ 부거면, 연천면, 청암면이 이동
- ↑ 관해면, 삼해면이 이동
- ↑ 서상면의 일부가 이동
- ↑ 학남면의 절반 정도가 이동
- ↑ 웅기읍, 풍해면, 노서면과 경흥면의 약 1/3이 이동.
- ↑ 용흥면의 동쪽 절반이 이동
- ↑ 화방면 유성동이 이동
- ↑ 남부 행영면과 남산면의 절반이 이동
- ↑ 화방면 화운동, 사탄동이 이동
- ↑ 용계면이 이동
- ↑ 종성면, 풍곡면, 남산면의 북쪽 절반이 이동
- ↑ 유덕면, 아산면이 이동
- ↑ 동북부 훈융면이 이동
- ↑ 동북부 풍계면이 이동
- ↑ 연사면 하나만 달랑 잘라서 만들었는데도 이 정도.
- ↑ 삼장면의 1/3만 잘라서 만든 군.
- ↑ 삼사면 단 하나로 만든 군. 삼사면 자체의 면적이 제주특별자치도보다 넓다.
- ↑ 삼장면의 나머지 2/3.
- ↑ 경성면의 북쪽 절반이 이동.
- ↑ 주남면, 주북면, 어랑면, 어대진읍이 이동
- ↑ 창사면의 일부분이 이동.
- ↑ 최남단 동해면이 이동. 이 때문에 길주군은 현재 내륙으로 들어갔다.
- ↑ 상우북면, 상우남면, 하우면, 서면, 동면이 이동
- ↑ 상가면, 하가면, 하고면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