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高齡化社會, Aging Society

aging3.jpg

고령화사회고령사회초고령사회

1 의미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의 7% 이상인 사회.

한발짝 더 발전해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 되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한다.

고령화사회는 국가를 침체 시키는 요인이다. 국가경제의 대표적인 지표중 하나인 GDP(국내총생산)는 한 국가에서 1년동안 새롭게 생산된 재화와 용역들의 부가가치를 합산한 것인데, 생산주체인 인구(사람)수 가 축소되거나 고령화로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아진다면 생산되는 재화와 용역의 부가가치도 감소되며 GDP 역시 하락한다.

고령화사회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출산율은 내려가고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진다는 점이다.

일본, 독일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이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도 2000년부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저출산의 경향이 지속되고,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가시화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거기다 중국은 아직 개도국인데도 불구하고 고령화 사회이다.[1]

2 원인

기본적이면서 대표적인 원인은 신혼 및 기혼자들의 출산기피나 눈높이에 안 맞는 현실로 인해 아이를 키우고 싶지않다는 가정이나 세대, 그리고 자식과 분리독립하여 살아가는 독거노인의 증가와 혼인 적령기에 해당하는 세대들이 경제적 사정이나 개인사정 등을 이유로 비혼 또는 만혼을 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비혼 및 만혼의 경우 주로 경제불황으로 인한 실업 및 실직률 증가, 재정난, 그리고 나만의 인생을 홀로이 즐기고 싶어하는 경우나 결혼할 생각없이 홀로 살겠다는 이들의 증가가 주 원인이다. 물론 이들은 자연순리상 시간이 지나면 노년으로 접어들게 되고 이들이 노년으로 접어들수록 고령화가 진행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앞서 말한 것처럼 아이없이 부부끼리 살아가고 싶다는 것도 원인에 포함된다. 부부들이야 좋을만도 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언젠가는 부부들도 노년으로 접어들기 때문에 당연히 이들도 미래에는 고령자 중 한 축에 자연히 포함된다. 이런 세대나 가정 등이 증가할수록 고령화사회에 빠르게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 또한 주된 원인인데, 수명만 늘어난 상태에서 평균 퇴직 연령 등은 거의 늘지 않은 것이 문제이다.

3 해결책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달리 저출산은 경제적 원인이 주가 아니다. 인식 문제, 미래에 대한 관점, 여성의 사회진출 등 다양한 문제가 원인이 되고 대개 경제가 잘 나가던 시절에 이미 시작됐기 때문에 한 가지를 해결한다고 쳐도 개선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소위 선진국들 대부분도 저출산이다) 따라서 는 중상류층에 대한 적극적인 출산 장려보다는 저소득층의 무계획적 출산을 방치 혹은 권장하고 여기에 보조금을 적극 지급하여 기본 양육은 국가가 책임진다는 자세로 가고 있으며, 그래도 부족한 노동력은 이민으로 충당하고 있다.

4 관련항목

  1. 다만 중국의 고령화는 국가 발전에 따른 출산율 감소보다는 자국 내 정책에 의한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