管樂靈山會相
영산회상의 세 종류 중 하나로, 관악 편성으로 연주되는 영산회상이다. 관악영산회상이 현악 영산회상(중광지곡)과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고 확실한 비교가 이루어져 있지는 않지만, 대체로 중광이 원곡이고 관악 영산회상은 중광의 선율을 추출해서 변주한 것으로 보는 편이다. 아명은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 올바름을 만방에 드러내는 곡)이다. 일반적으로 부를 때는 아명인 '표정만방'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곡의 구성은 중광의 9곡에서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구성된다.
합주의 정석은 삼현육각으로 피리 둘, 대금 하나, 해금 하나, , 좌고(북) 하나, 장구 하나의 6명 편성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만파정식같은 관악 합주 편성으로 피리(향피리), 대금, 소금, 해금, 아쟁 등을 복수 편성하고 장구, 좌고와 박을 갖추어 연주한다.[1] 피리는 연주할 때 여덟 개 지공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하나씩 치켜 잡는 특이한 방법을 사용한다.
조성은 무역평조로 無-黃-夾-仲-林의 음계이다. 협종(夾) 음이 나와 특이한 인상을 주는 곡이다.
세 가지 영산회상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곡으로 꼽힌다. 특히 상령산과 중령산은 불규칙적인 장구 장단에 맞춰 대금과 피리가 번갈아 가면서 연주하는 형식이기 때문에[2] 고도로 연습을 해서 대금 주자와 피리 주자가 일심동체가 되지 않으면 연주하기 힘들다. 중령산에서는 박속(속도)가 느려지기도 하고 빨라지기도 하면서 두세 정간이 한 박에 흘러가 버리는 경우도 허다해서 상당히 어렵다. 그래도 세령산 이후로는 편해지는 편이지만, 다른 정악곡과는 달리 대금과 피리와 해금의 선율이 다 따로 노는 음악이라 이게 또 상당히 헤깔리는 부분이다. 또 음역 자체가 고음인 것도 힘든 것에 한몫을 하는 듯. 특히 대금 가락은 제1공, 제2공, 제3공만 사용해서 潢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원가락과 비교해 보았을 때 대금은 㳲 이상의 음을 낼 수 없기 때문에[3] 㶂과 (氵浹)으로 진행될 부분을 음역을 내려 변주한 부분도 흔히 보인다.
하지만 그런 만큼 화려하면서 장중한 곡이기도 하다. 한 구멍씩 치켜 잡아 불어 대는 피리와 역취로 일관하는 대금의 청소리가 무척 시원한 곡. 그래서 끝 곡인 군악을 제외하면 무용 반주 음악에 쓰이며, 특히 상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은 궁중 정재의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또 악기들의 가락이 서로 따로 놀기 때문에 서양의 화성과는 다른 국악의 화음을 감상할 수 있는 재미있는 음악이다.
다섯 번째 곡인 상현도드리의 처음 두 장단만 바꾸어서 상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까지 계주하는 것을 '함령지곡(咸寧之曲)'이라는 아명으로 부른다.[4] 또 상령산만을 따로 떼어 연주할 때는 이것을 '향당교주(鄕唐交奏)'[5]라고 부른다. 둘다 무용(정재)의 반주 음악으로 쓰이고, 특히 함령지곡은 전통 결혼식 때 쓰이기도 했다.
- ↑ ?해금 이나 ?아쟁 등의 ?찰현악기 는 전통적인 국악기의 분류상 ?관악기 에 포함된다. 관악기 항목 참조
- ↑ 이를 연음 형식이라고 한다. ?중학교 나 ?고등학교 에서 배운 기억이 나는 분도 있을 듯. ?수제천 등에서도 사용되는 형식이다
- ↑ 물론 비청을 사용하면 㳲도 연주는 가능하다. 단 정악에서는 쓰지 않는다
- ↑ 상현도드리부터 군악까지 다 계주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타령까지만 연주할 때도 있고 상현도드리 한 곡만 연주할 때도 있고 상현도드리 전반+염불도드리 후만+타령 으로 연주하는 약식 버전도 있다.
- ↑ 원래 향당교주는 국악기에서 향악기와 당악기가 함께 연주를 한다는 뜻이지만 지금은 관악 영산회상의 상령산만을 연주할 때 부르는 명칭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