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 | |||||||||||||||||||||||||||||||||||||||||||||||||||||||||||||||||||||||||||||||||||||||||||||||||||
찰현악기 | 바이올린 · 피들 · 일렉트릭 바이올린 · 비올라 · 첼로 · 콘트라베이스(더블베이스) · 옥토베이스 · 얼후 · 해금 · 아쟁 · 마두금 · 요우힉코 · 니켈하르파 · 아르페지오네 · 비올라 다 감바 · 파르데수스 데 비올 · 비올라 다 모레 · 바리톤(현악기) | ||||||||||||||||||||||||||||||||||||||||||||||||||||||||||||||||||||||||||||||||||||||||||||||||||
발현악기 | 시타르 · 티체스트 베이스 · 류트 · 기타 · 클래식 기타 · 일렉트릭 기타 · 베이스 기타 · 하프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우쿨렐레 · 밴조 · 야트가 · 단짜인 · 하프시코드 · 리라 · 금 · 쟁 · 슬 · 거문고 · 가야금 · 비파 · 고토 · 샤미센 · 사즈 · 치터 · 산신 · 우드 · 차랑고 | ||||||||||||||||||||||||||||||||||||||||||||||||||||||||||||||||||||||||||||||||||||||||||||||||||
타현악기 | 심발롬 · 양금 · 클라비코드 · 피아노 | ||||||||||||||||||||||||||||||||||||||||||||||||||||||||||||||||||||||||||||||||||||||||||||||||||
미분류 | 드렐라이어 |
정악아쟁과 산조아쟁. (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
한자: 牙箏
1 개요
한국의 전통 현악기의 하나. 활로 현을 마찰하여 음을 얻는 찰현악기의 일종이다. 본래 중국에서 당나라 때 등장한 악기로, 중국에서는 알쟁 (軋箏)이라고 한다. 유목민족이 즐겨 연주하던 찰현악기를 전통악기이던 쟁(箏)에 접목시켜 만들어낸 악기로 보인다. 고려시대 때 송나라로부터 전해졌다고 하는데, 그 전에도 이미 한반도에 소개되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때 이미 향악기로 정착된 반면, 중국에서는 점점 얼후 등 해금 계열 악기에 밀려 이제 동북지역을 제외하면 거의 쓰지 않는 악기가 되어 버렸다. 이것이 역관광
2 연주법
기본적인 제도는 가야금과 비슷하다. 가야금 비슷한 긴 몸통에 현을 7개 얹어 기러기발로 괴이고 현을 활대로 문질러 연주한다. 말하자면 형태는 가야금과 비슷한데 주법은 해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미 국악계에서는 이에 착안해 해금과 가야금로 합주를 시도하기도 했다.
연주할 때의 자세가 가야금과는 달리 오른쪽 끝을 무릎에 직접 얹지 않고 '초상'이라고 하는 받침에 얹어 무릎에 닿지 않게 두고 연주한다.[1] 전체적으로 제도나 현의 굵기 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체격이 좀 되는 남자가 하는 경우가 많다.
조율은 평조에서 仲-林-南-黃-太-仲-林, 계면조에서 林-南-無-黃-太-仲-林으로 조율한다. 가장 높은 음에서는 안족 왼쪽 줄을 왼손으로 눌러 한 음 정도 높은 음도 낼 수 있다. 가야금등과 달리 현이 팽팽하고 굵어 누를 때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식지 이하 소지까지의 손가락으로 아래를 받치고 엄지로 꾹 눌러주어야 한다.
3 소리
정악아쟁은 전체적으로 콘트라베이스같이 웅장하고 큰 소리로 국악 합주에서 최저음을 담당한다. 합주를 할 때 국악기는 대체로 중고음을 내는 편인데 이때 아쟁을 적절하게 편성해 주면 상당히 웅장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다만 연주에 사용하는 활대가 개나리나무를 표백하고 다듬은 나무 막대기가 전부고, 거기에 송진을 칠해 쓰기 때문에[2] 문지르는 소리가 다소 거친 것이 흠이다. 이 때문에 현대음악에서는 첼로나 콘트라베이스 활을 쓰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오히려 거친 음색을 고유의 멋으로 보아 다시 개나리 활을 쓰는 일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아쟁의 소리는 서양의 첼로와 비교했을 때 음색이 칼칼하고 차가운 편이다. 또 해금과 비교하면 더 굵고 웅장한 소리가 난다. 그래서 흔히 해금은 여성에, 아쟁은 남성에 비유되곤 한다.
이런 아쟁을 산조용으로 개량한 것이 산조아쟁이다. 이 산조아쟁은 1940년대 박상옥 선생이 아쟁을 민속음악 및 무용 반주용으로 개량한 것을 효시로 보고 있다. 산조아쟁은 정악아쟁 크기의 2/3정도밖에 되지 않고, 현도 가늘어 농현이나 추성 퇴성 같은 꾸밈음 사용이 자유롭다. 활은 개나리활대가 아니라 첼로에 쓰는 것과 비슷하게 생긴 말총 활을 쓴다. 음색은 웅장한 저음을 내는 정악아쟁과는 달리 좀 청승맞고 슬픈 소리를 낸다.
현대음악의 경우 다른 국악기 뿐 아니라 양악기와 협주하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는데, 독일 유학파인 작곡가 김남국이 애용하고 있다. 이 사람은 서양음악 작곡을 전공했음에도 아쟁 명인 윤윤석에게 개인적으로 배웠을 정도로 아쟁 덕후고, 심지어 유학가서 입학 시험 때도 남들이 피아노 같은 양악기를 연주할 때 혼자 아쟁을 연주했다고 한다. 2002년에 독일 유수의 현대음악제인 다름슈타트 하기국제현대음악제에도 자신이 직접 아쟁을 연주한 실내악 작품인 '화두'로 호평을 받았고, 여기에 삘꽂힌 지도 교수 한스 첸더가 자신의 음악극 <조지프 추장>에도 아쟁을 편성해 화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