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목록
20px 광주광역시의 급행좌석·간선버스 | |||||||||||||||||||||||
급행 | 간선 | 지선 | 마을 | ||||||||||||||||||||
급행좌석 | 급행간선 | ||||||||||||||||||||||
좌석02 | 순환01 | 수완03 | 매월06 | 진월07 | 첨단09 | ||||||||||||||||||
좌석02번은 시계외구간을 운행하며, 심야버스로도 운행합니다. |
현재 이차량은 14년식 NEW SUPER AERO CITY F/L EURO 6로 대차해서 송암72번에 운행중입니다.
1 노선 정보
여러 유저들 간의 합의를 거쳐 만든 '템플릿:버스노선'에서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도록 명시되어 있습니다.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는 것은 그렇게 하면 모바일에서 리사이징이 됐을 때 경로만 수십 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의가 있으시면 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에 토론을 열어주시기 바랍니다.
20px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진월07번 | |||||
기점 | 광주광역시 남구 송하동(송암공단) | 종점 |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살레시오고) |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50 | 막차 | 22:50 | ||
평일배차 | 6~7분 | 주말배차 | 7~9분 | ||
운수사명 | 세영운수 | 인가대수 | 28대[1] | ||
노선 | 송암공단 - 송원대학교 - 송하삼익아파트 - 백운광장 - KBC방송국 - 광주향교 - 충장치안센터 - (→ 대인시장[서] → 수창초교후문 →/← 금남로4가역 ← 광주일고 ←) - 유동사거리 - 광주역 - 전남대사거리(동) - 효동초교입구 - 전남대후문(남) - 오치한전 - 북부경찰서 - 고려고 - 서일초교 - 살레시오고 |
2 개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이용객 수(순수 이용객, 환승 이용객, 광역환승 이용객) 1위이자 노선망 효율(배차간격, 버스노선길이, 환승편의, 평균 운행시간, 승하차인원 등 종합평가) 공동 1위인 개념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6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엔 중앙로에서 금남로5가 쪽으로 좌회전할 수 없어 살레시오고 방향은 문화전당역을 경유했다.
4 특징
- 청소년과 어린이 수요가 많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학생/어린이 비율로는 전체 3위다. 여담으로 청소년 승객을 '전체 승객 중에 청소년 승객이 차지하는 비율' 말고 '순수 절대적인 청소년 승객수'로 계산하면 진월07이 1위다.
- 광주광역시의 남부와 북부를 잇는 역할을 한다.
- 동성고, 대성여고, 진월대주아파트, 대광여고 정류장 인근은 인근 학군 등으로 인하여 주택과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이다. 살레시오고 방향은 출근시간대에 이 네 곳을 통과한 뒤에는 항상 만원이 된다.
버스에 딱 탔을 때 뒷자리에 젊은 사람들만 많이 앉아있다면, 높은 확률로 광주역이나 전남대학교 통과 전까진 못 앉는다.퇴근 시간대에도 마찬가지로 빈자리를 찾기 힘들다. 아침에 남구에서 탔던 사람들이 모두 여기까지 와서 내린다. 물론 충장로 일대에서 많이 내리지만, 그만큼 다시 탄다.하지만 광주 버스 문흥18에 비하면
- 이 외에도 충장로와 금남로 인근 은행가와 중소점포로 가는 수요, 광주역 또는 인근 NC백화점으로 가는 수요, 전남대 수요 등 다양한 곳에서 수요가 나온다. 괜히 이용객 수 1위가 아닌 셈.
- 나주교통 소속 일부 노선들과 '광주대 - 대성사거리' 구간 및 광주역 구간이 겹친다. 그리고 진월07번보다 자주 보인다. 앉아가고 싶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단, 광주 시내에서 타면 환승할인이 안 되므로 주의. 과거 나주교통 노선은 성인 교통카드 기준 시내 기본 운임 1,050원이었으나 현재는 동일한 1,100원.
- 2015년 10월 현재 일부 버스에서 LED전광판을 달고 있는데, 이 노선은 전 버스들이 방향표시 LED전광판을 달고 있다.
- 2016년 1월 20일에 현대 블루시티를 도입한 것이 확인되었다.
5 연계 철도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하행 한정(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역(ITX-새마을, 무궁화호)
- ↑ 일반 차량 16대 + 저상버스 12대. 공휴일에는 24대로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