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px
좌석02는 역사가 짧아 승객 이용객수 정보가 없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대비해 광주광역시에서 교통 데이터자료 연구 용역을 새로 입찰할 계획이라고 하니 몇 년 뒤(...)에 통계 자료가 나오면 추가바람.
1 노선 정보
20px 광주광역시 급행좌석버스 좌석02번 |
기점 | 광주광역시 동구 월남동(월남공영차고지) | 종점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우정사업정보센터 후문)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6:00[1] |
막차 | 22:15[2] | 막차 | 22:10[3] |
평일배차 | 12~19분 | 주말배차 | 16~20분 |
운수사명 | 10개 회사 공동 배차[4] | 인가대수 | 16대 (공휴일 14대) |
노선 | 월남공영차고지 - 학동시장 - 조선대학교(장미원.병원입구) - 서남동주민센터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대인시장(서) - 광주역 - 전남대사거리(서) - 유스퀘어 - 광주광역시청 - 한국국토정보공사 - 농협운천지점 - 5.18자유공원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공항역 - 광주송정역 - 도산역 - 상선 - 동곡 - 전력거래소입구 - 빛가람동주민센터 - 우정사업정보센터 → 한빛1교 → 전력로 → 혁신로 → 우정사업정보센터 → 이후 역순 |
2 개요
2006년 개편으로 사라진 이후 9년 만에 부활한 시내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02번' 자체는 예전에도 쓰인 적이 있는데,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2단계 개통하기 전에 임시 노선으로 운행했다가 2007년 2월 8일에 폐선된 상무02가 그것이다. 보러가기 좌석02번도 이 노선을 어느 정도 따라가는 형태.
- 광주송정역의 호남고속선 KTX 개통에 따른 교통대책 마련, KTX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된 광주역과 교통 결절지인 유스퀘어를 경유하여 환승수요를 끌기 위해 2015년 6월 3일에 신설되었다. 노선 선형을 놓고 보면 국립아시아문화전당까지 가는 구간에서 상당히 돌아가는 선형을 띄는데 이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주민들의 요구로 일부 광주의 주요 지점을 경유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본디 개통과 함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경유할 예정이었으나 광신고속 1160번이 반대급부로 전남대학교, 문흥지구 경유를 요구하면서 갈등이 있었다. 그에 따른 협상문제로 빛가람도시 연장은 10월로 연기. 그 이전까지는 20분 간격으로 10개 회사에서 1대씩 출고한 신차로 운행할 계획이다.
- 2015년 8월 27일에 22대로 증차되면서 운행횟수도 늘어났다. (평일 174회, 공휴일 148회)
- 2015년 11월 28일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드디어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한편 동시에 연장 요구가 있었던 광신고속 1160번은 노선 연장이 반려되었다고 한다. 연장 구간 내 정류장은 동곡, 문화예술위원회(상행)/한전KDN(하행), 호수공원(상행)/빛가람주민센터(하행), 우정사업정보센터, 정류장명이 정해지지 않은 임시 정류장 네 곳이다. 노선이 연장된 만큼 운행횟수 역시 평일 157회, 공휴일 115회로 줄어들었다.
- 2016년 2월 21일부터 조선대학교 내부를 미경유하고 조선대입구에서 노선을 돌리는 것으로 바뀌면서, 동시에 노선 시점이 월남공영차고지로 변경된다. 이는 승무원들의 휴식공간 및 가스 충전 문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02번이 떠난 조선대 캠퍼스 경유는 2월 28일부터 419번이 대체한다.
4 특징
- 투입된 차량만으로도 나름대로 기념비적(?)인 노선으로, 각 회사가 2대에서 4대씩 현대 유니시티를 출고했다. 이는 시내좌석 노선에 에어로 LD, BH115E를 투입한 뒤 12년 만의 고급차량 투입이다. 대신 요금은 1,800원으로 일반 요금인 1,400원에 비해 비싸다.[5] 나주시 빛가람동으로 연장되면서 시계외요금을 받게 되면 최대 2,150원 (기본요금 +400원) 까지 징수된다.[6]
- 빛가람동으로 연장되기 전까지는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던 상태로, 아침 출근 및 등교 시간 한정으로 가끔씩 가축수송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과거엔 조선대학교 해오름관까지 운행했으나 현재는 장미정원에서 돌아 월남동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419번이 조선대학교 해오름관까지 운행한다. 환승수요를 끌기 위해 신설되었단 것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돌아가는 노선인데다가, 정류장이 최근들어 많아졌고 특히 운행하는 노선에 상습정체구간임에도 버스전용차로도 거의 없어 사실상 일반버스와 표정속도에는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 게다가 1000번이 일반버스 요금을 받으면서 더 좋은 차량으로 모셔다주니 문제. 현재도 출퇴근 시간이 아니면 대부분 공기수송이다. 월남동으로 노선이 바뀐 후에 02번을 운전하시는 기사에 의하면 출근과 등교시간때 입석 금지임에도 불구하고 월남동행에서만 75명을 태웠다고 한다. 좌석이 41개임을 감안하면 34명이 입석으로 탔다는 셈. 하지만 혁신도시행은 그저 안습.
- 금~토요일에는 심야버스를 운행한다. 양방향 모두 광주송정역에서 23시 16분과 0시 20분에 출발한다. 단, 혁신도시 방향으로 23시 16분에 출발하는 차량은 심야버스 분이 아닌 정규노선 분이다.
- 신설 초기에는 시내구간만 운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잔여 좌석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는 나주시 연장을 대비한 것인데, 연장 경로 가운데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된 49번 지방도 중 일부가 입석금지가 적용되는 구간이기 때문이다. 승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잔여좌석이 차감되고,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그하면 잔여좌석이 오른다. 문제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의 요금이 단일요금제라 환승할 게 아니면 하차단말기에 찍지 않고 그냥 내리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잔여좌석 정보가 틀린 경우가 많다. 물론 아직까지는 공기수송 수준인데다 대부분 노선이 시내권이다 보니 잔여좌석을 보고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어차피 앞문 승하차라 내리는 사람이 있으면 타는 거다.
- 교통카드 태그 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좌석버스 구조상 앞문으로 승하차가 이뤄지기 때문에 하차단말기도 앞문에 설치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곳에 승하차단말기가 설치돼 있어 내릴 때도 승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는 승객이 가끔 있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다르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승차단말기로 하차태그가 불가능하며, 마찬가지로 하차단말기로 승차요금 지불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내릴 때 승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할 경우 승차요금이 추가로 과금된다는 것이다. 물론 동일한 교통카드를 대면 "이미 처리된 카드입니다." 라며 추가요금이 부과되진 않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승차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내릴 때 승차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지 않도록 하자. 하차단말기는 맨 앞좌석 오른쪽에 설치돼 있으며, 승객의 혼동을 막기 위해 일부 버스에는 하차단말기에 "하차단말기" 라는 문구를 붙여놓았다.
- 좌석버스이니 만큼 각 좌석마다 안전벨트가 설치돼 있다. 입석금지 구간인 49번 지방도에선 입석금지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도 착용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착용하지 않는다. 일단 좌석버스 자체가 광주에선 생소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아 안전벨트 착용하는 승객은 없다. 비록 긴 구간은 아니지만, 안전을 위하여 좌석버스를 탔다면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하자. (동곡 ~ 전력거래소입구 구간에는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다.)
- 광주송정역에서부터 혁신도시까지 가는 1160번이 시내 일반요금을 받고 있어 (시계외요금이 적용되어 1,400원대) 혁신도시까지 연장되어도 공기수송으로 다닐 것으로 보인다. (2006년 개편 초기의 나주 160번과 송정196번의 관계.) 좌석버스보다 배차간격이 긴 이유도 있으며, 좀 더 저렴하게 혁신도시를 가고 싶으면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 새로 연장된 구간에서 나주혁신도시 내부에 조성된 아파트단지 (LH, 대광로제비앙, 영무예다음 등) 를 지나가지 않는 취약점이 있다. 애초에 02번의 혁신도시 구간 원안부터 중앙로에서 우정사업정보센터 회차였던만큼, 아파트 주민들은 한전KDN 부근까지 나와서 02번으로 환승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도 광천터미널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서 자동차가 없으면 이거 타는 수밖에는 없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터미널까지 가기 불편하다.
- 예비차량이 없기 때문에 평일에는 차량 고장/사고시 대체 차량 투입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감차운행을 해야 한다.
- 일부 좌석버스에 T와이파이가 설치돼 있으나 와이브로 네트워크 특성상 광주광역시를 벗어난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니 참고할 것. (나주혁신도시 구간에선 전혀 이용할 수 없다.)
- 일부 좌석버스가 아트버스(1620호, 2950호)로 운행 중이다.
- 2015년 10월 현재 모든 차량이 전면LED를 장착해서 운행 중이다.
- 좌석버스 답게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중 좌석이 가장 안락하고 편하다. 물론 우등고속만큼은 아니지만, 일반 고속버스처럼 좌석을 눕힐 수 있으며, 요금이 비싸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쾌적하다. 또한 대전 BRT처럼 독서등이 설치돼 있다.
5 시외 요금표
- 문화예술위원회(혁신로 방면), 한전KND(월남동 방면) = 성인 : 2,050원, 청소년, 어린이 : 1,600원, 1,100원
- 호수공원(혁신로 방면), 빛가람동주민센터(월남동방면) ~ 우정사업정보센터 = 성인 : 2,100, 청소년, 어린이 : 1,650원, 1,150원
- 한빛1교 = 성인 : 2,150원, 청소년, 어린이 : 1,650원, 1,150원
- 전력로 ~ 혁신로 = 성인 : 2,200원, 청소년, 어린이 : 1,700원, 1,200원
6 연계 철도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소태역[7], 학동·증심사입구역[8], 문화전당역[9], 금남로4가역[10], 김대중컨벤션센터역, 공항역, 송정공원역, 광주송정역, 도산역
- 일반 철도역 : 광주송정역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광주역 (ITX-새마을, 무궁화호)
- ↑ 도산동 출발분과 혁신도시 출발분이 있다.
- ↑ 금~토요일에는 22시 56분에 심야버스가 추가로 운행된다.
- ↑ 금~토요일에는 22시 46분(금요일), 22시 52분(토요일), 23시 56분에 심야버스가 추가 운행된다.
- ↑ 대창운수만 3대를 투입했으며, 나머지 9개 회사는 1 ~ 2대씩 투입.
- ↑ 현금 기준. 교통카드 금액은 450원 비싼 1,700원. 교통카드로 일반버스에서 좌석02로 환승할 경우 일반은 450원, 청소년은 380원, 어린이는 180원이 추가로 결제되며, 광역환승 시 1,150원이 추가로 결제된다.
- ↑ 본래 동곡 승강장을 지나면 시외요금이 붙는 게 정상이지만, 간혹 기사님이 시외요금을 설정하지 않아 1,700원으로 광주에서 혁신도시까지 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혁신도시에서 광주방향은 교통카드 단말기가 처음부터 시외요금으로 설정돼 있어 1,900원 ~ 2,200원으로 부과되니 때에 따라 요금이 더 많이 부과된다고 오해하지 말자. 본래 시계외로 진출할 경우 시외요금이 부과되는 게 정상이다.
- ↑ 지원2동주민센터 승강장에서 하차
- ↑ 삼익세라믹 승강장에서 하차
-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승강장에서 하차
- ↑ 예술의거리입구 승강장에서 하차. 단, 나주혁신도시행 버스에 한하여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