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함/가상의 구축함

1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구축함

해당 항목 참조

2 홈월드 시리즈의 구축함

본격적인 주력함 클래스 전투 함선으로 강력한 화력과 몸빵을 가지고 있다.
한 척의 구축함이 5척 정도의 대함 호위함을 상대할 수 있을 정도..
하지만 순양전함에게는 얄짤 없으니 호위함급 사냥에 집중하자.(물론 순양전함 레이드에는 반드시 끼어야 하지만..)

쿠샨

타이단

솜타우

히가라

베이거

1의 시점에선 쿠샨의 경우 이온 캐논이 포탑형이라 대응능력이 좋고, 타이단은 전방에만 향해 있지만, 일단 데미지가 들어가기 시작하면 타이단이 좀 더 좋다. 또한 타이단은 포신이 2개라 함포 화력이 더 좋은 편.

2의 경우, 히가라측 구축함은 상부에 3개의 건터렛과 하부에 1개의 건터렛 그리고 함수에 미사일 발사관 한쌍 있고 베이거측 구축함은 상하부에 1개씩의 건터렛 그리고 베이거 성격마냥 삐딱하게 기울어진 돌출부에 미사일 방사관이 4개 있다. 구축함 특유의 옆구리 보이기 사격 자세 덕에 초반 화력은 베이거측이 좋고 후반에는 엇비슷해 진다.
구축함 클래스부터 엔진 모듈이 생기니 모듈을 박살내고 능욕하거나 조교당하는 경우를 주의하자.

4번째 캠페인인 사령부 파괴에서 왼쪽 하단의 자원채취 장소에 한 대가 있으니, 반 죽여놓고 돚거하면 초반부터 구축함 한 대를 가지고 캠페인을 이끌어나갈 수 있다.

3 맥워리어4의 구축함

미션에만 등장. 상당히 거대하며, 무장도 선더볼트 미사일 등 고화력의 무기를 갖추고 있다. 해당 미션에 등장하는 아군 함선은 상대가 안 되는 초계함인데다, 플레이어가 지켜야 하는 상황. 다행히 물이 많은 맵이라 강력한 레이저 병기들을 과열 걱정 없이 쓸 수 있으니 신나게 퍼부어주자.

4 워크래프트의 구축함

워크래프트2에서 처음 등장. 기본 전투함이며, 호드는 트롤 구축함을, 얼라이언스는 엘프 구축함을 사용한다. 성능은 두 세력이 같으나, 정작 구축함이라면서 기본 전투함이라 그런지 잠수함을 잡지는 못한다(강제 공격 능력이 없으므로,...) 하지만 유일무이한 방공 능력이 있는 전함이라, 아군 잠수함을 노리는 적 제플린이나 플라잉 머신을 구축하는 데는 유용하다. 드래곤이나 그리폰을 이기기는 힘들지만... (하지만 기본 공격력이 높은 구축함이 1:1 전투에서는 100퍼 이긴다.)
이후 워크래프트3에는 등장하지 않다가, 프로즌 쓰론에서 미션에 한해 등장하였다. 모든 종족마다 구축함이 존재하며, 잠수함이 없어진 현재 다행히 잠수함에게 굴욕당할 일은 없다. 주 기능은 여전히 대공이 가능한 기본 전함. 성능 역시 비슷비슷하지만, 세력마다 외형 차이는 크다.

드레노어의 전쟁군주에서 오랜만에 등장한다. 조선소에서 건조하는 함급 중 하나로, 워크래프트 2와는 달리 잠수함 위협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임무 목표로 나오는 적함이 구축함일 경우에는 전함으로 대응가능하다. 다만 적 함선이 전함인데 구축함을 보낸다고 임무 실패율이 특히 더 오른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5 함대 컬렉션의 구축함 칸무스

함대 컬렉션/구축함 항목 참고.

6 데프콘 시리즈의 김구급 구축함

KDX-3급으로 한중전쟁 때는 건조 중이었지만 이후 발발한 한일전쟁에 참전하게 된다. 작중 통일한국 해군 최초이자 유일한[1] 위상배열레이더 구축함으로 네덜란드제 APAR 레이더[2]를 탑재하고 있다. 원래 미국으로부터 이지스 레이더를 도입하려 했지만 퇴짜를 맞자 에이파 레이더를 선택한다.
KD-1 광개토대왕급의 선체를 베이스로 VLS를 장착하고 SM-2을 적재해 방공능력을 향상시켰다. 탑재헬기는 슈퍼 링스. 김구급에 속하는 함정으로는 네임쉽 김구함과 2번함 신채호함이 있다.
본함급의 작중 행적을 보면 김구함은 2부 한일전쟁에서 호위임무를 맡아 호송선단을 호위했다가 해자대의 하푼 세례를 얻어맞고 리타이어 당한다. 그리고 신채호함은 항모 이순신함을 홀로 호위한다. 이후 3부 한미전쟁에서 신채호함은 한일전쟁에서는 살아남았지만 한미전쟁 동해해전에서 미 해군에게 탈탈 털려 끝을 보았다.

7 EVE 온라인

항목 참조. 여기서는 디스트로이어로 등장한다.

8 베가 컨플릭트

본격 구축함을 가장한 공성포 겸 구축전차. 좁은 포각, 느린 속도, 긴 사거리와 유리몸 때문에 다른 구축함처럼 호위로 굴려먹을 생각을 했다간 피보기 십상이다. 그러나 속도 일원화 패치, Mk 패치, 구축함 상향패치 이후 전함과 더불어 PvP, PvE 양쪽 더불어 전함과 투톱을 달리는중. 특히 긴 사거리로 접근하기도 전에 녹여버리는 화력이 일품.
  1. 해자에게서 뜯은 공고급 호위함 초카이를 개명한 김충선함도 있지만, 나포 과정에서 장비 일부가 파손돼 복구 못했다.
  2. 독일의 작센급과 네덜란드의 드 제벤 브로벤시엔급에 탑재된 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