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충선

20101012214455.jpg

1571~1642 金忠善

임진왜란 당시 활약한 항왜 출신의 장수. 일본 이름은 사야카(沙也可). 자는 선지(善之), 호는 모하당(慕夏堂).[1] 사성[2] 김해 김씨.[3]

1 조선인이 되다

본디 가토 기요마사의 좌선봉장을 맡았으나 조선에 들어온 이후 경상도병마절도사 박진에게 병력을 이끌고 귀순하였고, 이후 조선군으로서 주로 의병과 함께 활약했다. 다만 일본에 있을 때의 지위나 본명 등이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귀순 이유는 명확치 않으나 조선의 문명과 도덕을 흠모하였음은 분명하다. 일본 이름 사야카도 그의 본명인지 아니면 별명 같은 호칭인지 불분명하다고.

귀순 이후 사야카는 경상도 지역의 의병들과 함께 힘을 합쳐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고, 곽재우(郭再祐)와도 연합하기도 했다. 의병 및 조선군 장수로서 모두 78회의 전투를 치렀으며, 이때 전공을 세워 정3품 첨지 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손시로(孫時老)등 항복한 왜장(倭將)과 함께 의령(宜寧)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무관 3품(三品) 당상(堂上)에 올랐으며, 이어 사야카는 울산성 전투에 경상도 우병사 김응서(金景瑞) 휘하로 울산왜성에 농성 중이던 가토의 1군을 섬멸하는 공을 세웠고,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를 하사받기도 했다.이후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 어사 한준겸(韓浚謙)의 주청(奏請)으로 선조로부터 성명(姓名)이 하사되고 하인 정2품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진했다. 벼슬로 보건데 논란(아래 참조)에도 불구하고 인정할 만한 전공 자체는 있었으며, 조선 조정 역시 이것을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 항왜 출신에게 벼슬을 내려 대외적으로 항왜 집단에게 포상을 하고 치하하는 의미도 있었을 것이다.

학계에선 조선 내 조총이순신이 보급한 걸로 보지만 당시 김충선과 이순신 사이의 서신에서 김충선이 "이미 조총을 개발하여 훈련하고 있다."라고 한 기록이 있는 걸로 보아 개발과 양산 자체는 김충선이 한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일본에서도 조총 부대 지휘관 출신이기에 조총과의 인연이 참으로 깊었기 때문인지, 20세기 들어 모하당의 집을 수리하다가 담장 속에 감춰진 조총을 발견하기도 했다[4].

2 임진왜란 이후

남풍이 때때로 불제
고향을 생각하니
조상의 무덤은 평안한가
일곱 형제는 무사한가
구름을 보며 고향을 생각하는마음과
봄풀을 보고 솟아오르는 생각이
어느 때인들 없을소냐
아마도
세상에 흉한 팔자는
나뿐인가 하노라

선조로부터 성을 받았는데 성은 모래(沙)에서 나오는 금(金)에서 따와[5] 김해 김씨를 받았는데 가야 수로왕계인 김해 김씨와 구별하기 위해 '사성(賜性 : 하사받은 성) 김해 김씨'라 부른다. 김충선이 낙향 후 현재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友鹿里)에 사슴을 벗하여 살았기에 우록(友鹿) 김씨라고도 한다. 이 우록이란 지명은 김충선이 직접 지은 지명으로 이곳은 현재까지도 사성 김해 김씨들의 집성촌이 조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는 김충선의 사당인 녹동서원이 있는데, 뒷편 산 중턱에는 김충선의 묘가 있고 옆편에는 달성 한일우호관이 있으며 일본에서 일본인 관광객이 한 해 천 명 정도 온다고 한다 .

임진 왜란 이후 북방 경비를 위해 북방에서 근무하였으며, 이 공로로 정2품 상 정헌대부 벼슬을 받는다. 이괄의 난 때 이괄 군에 항왜들이 많이 가담했다가 토벌당했는데, 그 중 무예가 뛰어난 서아지(徐牙之)라는 항왜는 도저히 조선군이 잡을 수가 없었다. 그때 김충선이 서아지를 만나 잘못을 꾸짖은 후 목을 베었다고 한다. 그 공으로 땅을 받았으나 군대의 둔전으로 사용하라고 다시 반납했다. 그 후 병자호란쌍령 전투에도 참전하여 청나라군 500기를 죽였으며 조선 조정이 항복하자 통곡하였다고 한다. 1643년 외괴권관(外怪權管)으로 국경수비를 맡고 있던 중 청(淸)나라 칙사의 항의로 해직되어 대구(大邱) 녹리(鹿里)로 돌아왔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우록동에 은둔,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2008년 초까지만 해도 '일본에서 이름이 뭔지 알 수 없다'였던 내용이 2009년 들어 '존재 자체가 의심스럽다'며, '현재 사야카의 자손이라 자칭하는 일족이 살고 있다'는, 후손들이 보면 분개할 만한 내용으로 바뀌어 있었으나 과격한 표현이 완화되었다. 일제 강점기의 식민사관은 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의 기록을 마구잡이로 폄하했고, 일본 학자들은 김충선에 대해 조선에서 지어낸 가공의 인물로 생각하는 경향이 짙었다. 한마디로 학술적으로 수준이 매우 낮을 뿐더러 이미 70여년 전에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난 구닥다리 학설에 근거해서 작성되어 있다는 얘기다.

사실 이것은 일본 위키백과의 역사 문서들에서 늘 드러나는 고질적 문제점이다. 극도로 편향되고 학문적인 수준이 의심되는 자료, 논문들을 다분히 의도적으로 인용하고, 사료에서도 우익들의 입맛에 맞는 부분만 취사선택하거나 단어 한두개를 변조/날조해서 전체의 맥락을 왜곡하는 등 극히 악질적인 방법으로 위키백과를 뒤틀어놓고 있다. 실제 일본 사학계에서는 이와 정반대로, 전후에는 평화를 중시하는 분위기와 편향된 사관을 탈피하려는 자유로운 학술연구 때문에 사야가와 임진왜란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보했고, 특히 나카무라 히데타카 같은 학자는 <조선왕조실록>은 물론 <모화당문집>도 사실에 근거한 부분이 많다고 보면서 사야가를 실존인물로 학계에 널리 알려서 이미 사야카 실존은 수십년 전에 정설로 인정받은 지 오래다. 여기에 대중적인 인지도가 매우 높은 문호 시바 료타로가 사야가에 관한 수필을 쓴 것으로 인해 우록동에는 일본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을 정도.

즉, 사야가에 대한 위키백과의 폄하적 서술은 학술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이미 수십년 전에 폐기된 것으로, 정상적 일본사회의 여론과 전혀 다르다는 좋은 증거다.

후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 당시 혹심한 폭력은 없었지만 우록동에 일본 경찰들이 오거나 매국노, 비국민의 후손이라며 매도하는 등 후손들을 귀찮게 한 적이 많다고.

일본에도 가족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에 귀화한 뒤에도 일본에 남겨둔 가족을 그리워 하며 지은 시가 몇편 남아 있다. 하지만 그가 전향한 죄로 몰살당한 것인지 그의 후손을 자처하는 일족은 일본엔 없다고 한다굳이 주장할 이유도 없지 않나??. 그래서 현재 확인된 그의 후손은 조선에서 새로 가정을 꾸린 뒤 태어난 자식들과 그 자손들 뿐이다. 한때 한국의 후손들이 조선 사기장 자손들을 찾는 움직임과 더불어 일본에서 그의 후손을 찾으려 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고.

시조가 일본인이라 그런지 사성 김해 김씨는 조선 후기 족보 위조의 파도 속에서도 사칭당하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야 신난다

3 자료에 대한 논란

사야가의 일생에 관한 상세한 자료는 사야가 본인이 후일 집필했다고 알려진 <모하당문집>이 출처인데, 여기서는 사야가가 대병력을 이끌고 거의 상륙 직후에 귀순했다고 쓰여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어서 신빙성이 낮다는 주장이 있다.

1.사야가의 서신 내용 문제. 기록을 보면 일본인 무사인 사야가가 거의 조선인 유학자와 같은 모화사상에 근거하여 화려한 문체로 조선의 백성들을 절대 해치지 않겠다는 방을 내걸고, 박진에게 조선과 중국의 문물을 흠모하여 항복한다는 절절한 서신을 올려 귀순했다고 하는데, 일본인 무사들의 지식수준은 매우 떨어졌기에 승려들에게 이런 서류 업무를 대행시키는 실정이었을뿐더러 그 승려들도 조선, 중국식의 서식이나 문법과는 다소 거리가 먼 일본식 문장을 구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본인 무사가 조선 유학자 같은 사상을 갖고 있거나 조선식의 유려한 문장과 서식을 구사할 정도로 문장에 능통했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아주 낮은 이야기다.

2.병력에 대한 기술 문제. 3천에 가까운 대병력을 이끌고 귀순했다면 당연히 일본측에도 그에 따른 기록이 없을 리가 없고 전장의 상황에도 큰 영향을 끼쳤을 텐데, 그런 흔적은 어디에도 없다. 또한 그런 큰 병력을 이끌 수 있는 권한과 직위를 보유했다면 웬만한 다이묘급[6] 전선에서 이탈했다면 기록조차 남지 않을 리가 없다.

3.항왜의 발생 시점 문제. 문집에는 사야가는 전쟁 자체를 나쁘게 보아 상륙 직후에 항복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초기의 조선군은 항복하는 왜군을 마구 죽이곤 했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항복자의 신상 안전이 보장되지 않았고, 애초에 전격전에 가까운 쾌속 진군을 거듭하던 개전 초기의 일본군이 항복할 이유가 현실적으로 전무하다고 봐도 좋은 수준이기 때문. <실록>에서 사야가 등 항왜에 대한 논의는 명군의 참전으로 전황이 일본군에게 크게 불리해지고 일본군의 사상자가 속출하던 계사년(1593) 즈음에나 등장한다.

4.모화당문집의 신빙성 문제. 모화당문집은 본래 사야가가 쓴 기록이 분실되었는데 6대 후의 후손이 그것을 재발견하여 다시 간행했다라는, 몹시 수상한 단서가 붙어 있다. 실제로는 행장류 기록에 가깝다는 이야기인데, 행장은 후손들이 조상에 대한 숭모를 담아서 크게 미화하는 일이 잦은 기록이어서 이렇게 되면 신빙성에 한계가 생긴다.[7]

이런 문제들 때문에 모화당문집은 그 뼈대가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세부사항은 철저한 사료비판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야가의 실제 투항시점은 상륙 직후인 임진년이 아니라 상륙하고 나서 시간이 좀 흐르고 일본군이 불리해진 이후인 1593년으로 잡고, 실제 투항 동기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것이거나, 모종의 사정으로 인해 도요토미 정권이나 가토의 지배 하에서 생활할 수 없는 입장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견해가 많다.[8] 한국 여행기를 연재하던 도중 사야가에 관심을 갖고 집중적으로 파고든 문호 시바 료타로 같은 사람도 이런 설을 긍정하면서 '전국시대의 상식에 비추어 보면 항복한 무사가 어제까지의 아군에게 활을 쏘는 것은 별 이상한 일이 아니다. 사야가도 분명 그랬을 것이다.'라고 했을 정도. 또 귀화한 인원수도 모화당문집에서 주장하는 수천명 규모가 아니라, 홀홀단신이었거나 부하를 이끌고 항복했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소수의 부하만을 이끌고 항복한 것으로 본다. 물론 이런 연구들이 사야가의 전공과 존재감을 깎아내리는 건 아니다.

4 그의 정체는?

쇼와 덴노 연간의 표현대로 빌리자면 사상적 귀순자.[9] 노부나가 쪽 가신의 일족이 아닌가 하는 설도 있다. 오다 노부나가 사망 이후 히데요시가 정권을 잡으면서 노부나가의 가신들을 대부분 숙청시켜 반감을 많이 사고 있었다. 히데요시는 병사 직전에도 이들의 원한이 두려웠던지 남은 가족들의 안위를 도쿠가와에게 부탁했다고 한다.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긴 히데요시시바 료타로의 어느 에세이에서는 '사야가'라는 것은 이름이 아니고 일본어의 감탄사를 음차한 것이라는 설을 제시한 바 있는데, 그렇게 된다면 전혀 다른 사람일 수도 있다.

  • 스즈키 요시유키
《바다의 가야금》이라는 소설 때문에 사이카 마고이치란 설도 있지만 나이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적고[10] 그 휘하의 철포 용병집단인 사이카슈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김충선 자신이 자를 선지(善之)로 지었는데, 일본측의 기록에도 사이카슈(雑賀衆)에 스즈키 요시유키(鈴木 善之)(!)라는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에 항복한것 까지 확인되어 있다.[11] 《바다의 가야금》은 김충선=사이카 마고이치 설을 바탕으로 한 소설. 단 바다의 가야금에서는 나이문제 때문에 사이카 마고이치를 세습명으로 설정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이카 마고이치인 스즈키 시게히데의 아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했다. 사이카 마고이치가 세습명이라는 설도 있으니 크게 틀린 것은 아니다.
  • 오카모토 에치고
한편 네임드 항왜인 오카모토 에치고(岡本越後)가 김충선이라는 설도 있다. 키타지마 만지와 심수관이 제기한 설로 창작물 중에는 안병도의 '일본정벌기', 김경진과 같이 쓴 소설인 '격류'에서 이 설을 채용하였다. 다만 위에 나온 사이카 집단 설도 포함해서 사이카 집단의 일원이었던 오카모토가 조선에 와서 항복했다는 것으로 설명했다. 임진왜란(김경진)에서도 이 설정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오카모토 에치고는 울산성 전투 당시 조명연합군에 속해서 군대를 이끌고 울산성에 화의사자로까지 갔던 항왜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항왜 월후(越後)를 사신으로 울산성에 보냈다고 나오며 일본측 기록에는 8,000명을 이끄는 항왜 오카모토 에치고노카미가 항복을 요구하는 사절로 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좀 안습으로(…), 처음에는 당장 항복하라고 큰소리를 치다가 대화가 진행되자 일본을 버린 것을 후회하고 울면서 지금이라도 일본에 다시 귀순하고 싶다고 했다고 묘사되어 있다. 다만 일본측 기록은 적당히 걸러 봐야 할 필요가 있는데, 울산성 전투 당시 일본군의 안습한 상황을 볼 때 항복을 받아내러 간 사람이 대화 도중 지레 쫄아서(...) 다시 귀순하길 원하며 울었다는 것은 신빙성이 좀 떨어지기 때문. 진짜 이랬다면 기록덕후 조선 사람들이 안 깠을 리가 없다
  • 하라다 노부타네
일본에서는 하라다 노부타네(原田信種)라는 설도 있다. 카토 키요마사의 가신들을 조사해본 결과 하라다 노부타네가 조총과도 관련이 있는 보급 관련 직책으로 임진왜란에 참가해서 조선으로 간 후 생사불명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주장하는 것이다.
가토 기요마사의 영지는 원래 아소 가문이 다스리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땅을 빼앗겼고 가토를 따라 강제로 출전하게 되었는데 그 아소 가문의 가신이 아니었겠느냐는 설이다. 위에 나온 오카모토 에치고가 아소 가문 사람이라는 기록이 있어서 주목받는 설이다. 특히 일본의 기록에 오카모토 에치고노카미 외에 아소미야 에치고노카미(阿蘇宮越後守)라는 항왜도 기록되어 있고, 아소 일족이 타이코 검지에 대한 반발 등으로 반란을 일으키고 당주인 아소 코레미츠(阿蘇惟光)가 가신들이 반란을 일으킨 것에 책임을 지고 처형당했다는 기록을 볼 때에 오카모토 에치고노카미가 아소 일족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설이다. 실제 조선과 일본의 기록이 맞아 떨어지는 것이 많기 때문에 최소한 오카모토 에치고노카미는 아소 일족일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키타지마 만지는 아소일족의 아소미야 에치고노카미=오카모토 에치고노카미=김충선으로 추정했고, 심수관은 사야가라는 이름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사이카 일족 연계설도 언급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5 일본에서의 평가

일제 강점기에 김충선의 후손들은 심한 손가락질을 받았다고 한다. 1915년 일본인 연구자들의 모임인 '조선연구회'는 사야가 문집인 모하당문집을 다시 간행한다. 책머리에 가와미 히로타미는 "적혀 있는 글은 위서이며, 사야가 같은 매국노가 우리 동포라는 것이 유감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고 단정했다. 1924년 역사학자 세데하라 탄은 "사야가에 관한 확실한 자료는 없다"며 허구의 인물이라고 했다.

당시 조선총독부 연구원이었던 나카무라 에이코는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1차 자료인 조선왕조실록승정원 일기를 통해 1933년 청구학총에 논문 '모하당 김충선의 자료에 대해서'를 쓰면서 사야가가 실존했던 인물임을 증명하여 그 학설이 정당성을 얻고 있다.

해방 이후, 1965년 한일 국교 수립 후 일본 관광객들이 하나 둘 우록동을 찾으면서 1971년 시바 료타로가 쓴 《가도를 가다. 한국기행》속에 사야가와 우록리가 소개되면서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1999년에는 무려 1,500명이 찾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의 공영방송인 NHK에서 <출병에 대의 없다, 히데요시를 등진 사나이>(1992년 2월 30일 방송.)라는 다큐멘터리를 내보냈는가 하면, 아사히 신문에서 "양식있는 무사의 의로운 결단" 등의 제목으로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1988년 한국 중학교 3학년 도덕 교과서에도 나왔으며, 일본의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는 평화주의자, 인도주의자 등으로 묘사되어 실리기도 했다.

6 다른 매체에서의 등장

  • 데프콘 한일전쟁편에서 한국군이 북한 해군 특수부대를 동원해 노획한 해상자위대 이지스함 초카이를 이 이름으로 개명해 편입시켰다. 센스 있다.
  • 신봉승에 의하면 박정희 정권 때 경제통인 "쓰루"[12] 김학렬 경제기획원 부총리가 김충선의 후손이라고 한다. 역시 박정희 정권 때 내무장관을 지낸 김치열(金致烈)도 김충선의 후손이다. 카투니스트 칼카나마다비드 실바가 한국계라는 설을 반박하는 웹툰에서 "저런 거 다 따지면 작가의 시조 할아버지는 일본인인데 그럼 일본계 웹툰작가 칼카나마임?"이라고 한 것을 보면, 또한 우리나라에 귀화한 일본인이 시조라는 것과 작가의 성이 김씨인 것을 보면 칼카나마가 이 사람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보러가기)
  • 그 외 유명한 항왜 장수라면 여여문과 김성인(金誠仁:사여모.함박 김씨(咸博 金氏)의 시조)이 있다.
  • 일본인이었음에도 조선에 귀화해서 일본을 상대로 큰 공을 세웠다는 극적인 인생 때문에 사극의 등장인물로 등장할 법도 하지만, 아직까지 김충선을 주인공으로 한 사극은 없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도 단역으로 아주 잠깐 나오는 정도에 불과했다. 징비록(드라마)에선 가등청정의 부장으로 등장. 가족들과 생이별해 전쟁에 참전하는 것에 대해 회의감을 느끼는 모습을 보이는 등 조선에 귀순하는 과정이 처음으로 그려졌다. 모화당문집과 실록 등을 최대한 비교하면서 그의 사상이나 항복 동기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려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부분이지만[13] 제일 중요한 수천 명 규모 항복설을 여과 없이 수용하는 바람에 다소 우스꽝스러운 모양새가 됐다는 점은 아쉽다. 갑옷을 벗고 허겁지겁 도주하던 중 항복하려는 사야가를 보고 왜군의 추격으로 착각해 달아나는 이일을 쫓아가면서 조또마떼!를 외치는 장면 때문에 시청자들을 빵터지게 했다(...).
  • 서프라이즈에서 이런 인물이 있었다라고 소개하고 그의 귀순 과정과 조선군에 총포 제작,병과 육성 과정, 선조에게 성씨를 하사 받는 모습 그리고 이후 행적같은 그의 일대기에 대해서 방영한 적이 있다.
  • 웹툰 칼부림 2부 마지막 장면에서 뒷모습으로 등장했다. 차후 3부에서 나올 듯.
  1. 이 모하당 호는 김충선이 생전에 쓴 것이 아니라, 6대 후손 김한조가 모하당문집을 저술하면서 붙이게 된 것이다.
  2. 임금이 하사하는 성씨.
  3. 김해와 가까운 부산포를 통해 귀순했기 때문(...)이라는 뉘앙스로 실록에 적힌 게 있다.
  4. 다만 이 물건이 정말 김충선이 쓰던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5. 즉 사금(沙金)
  6. 3천명의 병력이면 영지로는 대략 10만석 이상의 규모다!
  7. 당시의 좋은 예가 김억추 행장이다. 자원 수급에 급급하던 조선 수군이 명량해협에 철쇄를 둘러쳤다는 황당한 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것이 민간에 퍼져 버렸다. 원균의 행장도 당시 상황을 모르는 사람들이 후손의 청을 받고 써 줘서 미화 투성이가 되어 버렸다.
  8. 사야가는 전술에 능통했으며 기술에 대한 지식도 매우 탁월했다. 이것 때문에 사야가가 상당히 유능하며 교양과 지식이 풍부한 고급 무사라는 점에는 거의 이견의 여지가 없다.
  9. 오오카 쇼헤이의 포로기에 보면 전적 전향 사회주의자인 동료가 필리핀 레이테에서 미군이 상륙하자마자 탈영해서 미군에게 투항하는 스토리가 나온다. 그를 일컬어 지칭하는 말.
  10. 사이카 마고이치=스즈키 시게히데 설이 완전히 불가능한건 아니다. 스즈키 시게히데의 생몰 연대 자체가 일단 추정치이고, 만약 스즈키 시게히데 설을 따를 경우 93살에 사망했다는게 되는데 전국 시대 일본 측에는 호죠 겐안이나 미요시 마사카츠처럼 반올림해서 1세기를 산 인물들이 좀 있으므로. 물론 가능성은 낮다.
  11. 출병 기록집에 출병했다는 기록은 있는데, 전사했다던가 돌아왔다던가 하는 기록은 없이 그냥 이름이 지워져 있다. 보통 조선에 항복한 인물들은 이렇게 처리
  12. 학(鶴, 두루미)의 훈독. 술을 워낙 좋아하는 사람이라 결국 병을 얻어 위 대부분을 잘라내서 몸이 학처럼 말랐다는데서 불리는 별명이었으며, 이름인 학렬(鶴烈)의 '학'을 훈독한 것이기도 하다.
  13. 후대의 조선인이 쓴 티가 역력한 문장을 구사하거나, 모화사상을 가진 것으로는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