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음성기호

맥주의 한 종류인 IPA(India Pale Ale)에 대해서는 맥주/종류#s-3.3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생긴 의견 충돌로 이 문서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수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이 토론 에서 의견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 토론하고 있는 부분을 토론 합의 없이 수정 시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습니다.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1 개요

kuk̚.t͡ɕ͈e.ɯm.sʰʌŋ.ɡi.ho, aɪ.pʰi.eɪ

(국제음성기호, IPA)

nɐ.mu.wi.kʰi. jʌ.ɾʌ.bu.ȵi. kɐ.k͈u.ʌ. nɐ.ɡɐ.nɯn. t͡ɕi.ɕʰi.ɡɯj. nɐ.mu.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전 세계 언어의 다종다양한 소리를 두루 포괄할 수 있도록 국제음성학회에서 창안한, 소리를 문자로 표기하는 일관된 방식으로서의 기호 체계(혹은 그 기호).[1] 사실 이 기호 체계를 처음 제정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바로 영어의 대모음추이(The Great Vowel Shift) 때문이다. 영어 교사이자 프랑스어 교사였던 폴 파시(Paul Édouard Passy)[2]가 이런 혼란스러운 영어의 철자-발음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1888년에 발표한 이후로 여러 번 개정을 거쳤다. 대부분의 경우 언어학, 즉 음성학에서 쓰이며, 우리 주위에서는 주로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3] 이 외에도 정확한 발음 구사가 요구되는 가수배우들도 쓰는 경우가 있다.

롱맨, 옥스퍼드 등 영국 영영사전에서 쓰이는 IPA는 현행 표준 방식이며, 한국 영한사전에서 쓰이는 IPA는 구식 혹은 비표준이다.

가장 기본적인 기호들은 분절음을 나타내는 기호들이며, 이 외에도 미묘한 발음차를 구별하거나 성조 등의 초분절요소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하는 보조기호들도 있다.[4]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는 음성학, 음운론이다.

2 한계

역설적이게도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변이음들을 완벽하게 표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반인들은 차라리 여러 문자와 언어별 발음을 익혀서 문자별 표기법으로 발음을 어림잡는 것이 더 받아들이기 쉬울 수 있다. 그게 되면 이미 일반인이 아닐 듯

  • 기호라는 것 자체가 갖는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말소리의 연속적인 값(예: 개구도, 성대의 긴장 정도, 기식이 유지되는 시간 등등)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단지 '있다/없다'나 대략적인 값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가'는 자음에 기식이 30ms 정도 들어가 있고, 일본어의 'か'는 70ms 정도, '카'는 100ms 정도이다. 가카 그리고 발음할 때의 성대의 긴장 정도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국제음성기호는 이런 미세한 연속적인 값들은 표시해 주지는 못하고 단지 기식이 있다/없다 정도로만 구분해 준다.[5]
  • 모든 언어의 모든 변이음을 다 완벽하게 구분해서 표기하려면 엄청난 수의 기호가 필요한데 그 정도의 기호를 다 갖추어서 사용하게 되면 일상적인 용도는 물론이고 학술적인 용도에서도 실용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6] 그래도 IPA에서 사용하는 기호들은 특정한 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변이음들은 충분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다.

3 현재 사용중인 기호

※ '유니코드'는 해당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16진수 코드 값을 뜻한다.
여기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3.1 자음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101무성 양순 파열음p0070
102유성 양순 파열음b0062
103무성 치(치경) 파열음t0074
104유성 치(치경) 파열음d0064
105무성 권설 파열음ʈ0288
106유성 권설 파열음ɖ0256
107무성 경구개 파열음c0063
108유성 경구개 파열음ɟ025F
109무성 연구개 파열음k006B
110유성 연구개 파열음ɡ0261
111무성 구개수 파열음q0071
112유성 구개수 파열음ɢ0262
113성문 파열음ʔ0294
114유성 양순 비음m006D
115유성 순치 비음ɱ0271
116유성 치(치경) 비음n006E
117유성 권설 비음ɳ0273
118유성 경구개 비음ɲ0272
119유성 연구개 비음ŋ014B
120유성 구개수 비음ɴ0274
121유성 양순 전동음ʙ0299
122유성 치(치경) 전동음r0072
123유성 구개수 전동음ʀ0280
124유성 치(치경) 탄음ɾ027E
125유성 권설 탄음ɽ027D
126무성 양순 마찰음ɸ0278
127유성 양순 마찰음β03B2
128무성 순치 마찰음f0066
129유성 순치 마찰음v0076
130무성 치 마찰음θ03B8
131유성 치 마찰음ð00F0
132무성 치경 마찰음s0073
133유성 치경 마찰음z007A
134무성 후치경 마찰음ʃ0283
135유성 후치경 마찰음ʒ0292
136무성 권설 마찰음ʂ0282
137유성 권설 마찰음ʐ0290
138무성 경구개 마찰음ç00E7
139유성 경구개 마찰음ʝ029D
140무성 연구개 마찰음x0078
141유성 연구개 마찰음ɣ0263
142무성 구개수 마찰음χ03C7
143유성 구개수 마찰음ʁ0281
144무성 후두 마찰음ħ0127
145유성 후두 마찰음(접근음)ʕ0295
146무성 성문 마찰음h0068
147유성 성문 마찰음ɦ0266
148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ɬ026C
149유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ɮ026E
150유성 순치 접근음ʋ028B
151유성 치(치경) 접근음ɹ0279
152유성 권설 접근음ɻ027B
153유성 경구개 접근음j006A
154유성 연구개 접근음ɰ0270
155유성 치(치경) 설측 접근음l006C
156유성 권설 설측 접근음ɭ026D
157유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ʎ028E
158유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ʟ029F
159무성 양순 내파음ƥ01A5
160유성 양순 내파음ɓ0253
162유성 치(치경) 내파음ɗ0257
164유성 경구개 내파음ʄ0284
166유성 연구개 내파음ɠ0260
168유성 구개수 내파음ʛ029B
169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ʍ028D
170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w0077
171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ɥ0265
172유성 후두개 마찰음ʜ029C
173후두개 파열음ʡ02A1
174유성 후두개 마찰음(접근음)ʢ02A2
175무성 후치경(연구개) 마찰음ɧ0267
176양순 흡착음ʘ0298
177치 흡착음ǀ01C0
178치경 흡착음!01C3
179경구개 치경 흡착음ǂ01C2
180치경 설측 흡착음ǁ01C1
181유성 치경 설측 탄음ɺ027A
182무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ɕ0255
183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ʑ0291
184유성 순치 탄음2C71
209연구개 치(치경) 설측 접근음ɫ026B
210유성 연구개 파열음ɡ0067
211[7]무성 치경 파찰음ʦ02A6
212[8]유성 치경 파찰음ʣ02A3
213[9]무성 후치경 파찰음ʧ02A7
214[10]유성 후치경 파찰음ʤ02A4
215[11]무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ʨ02A8
216[12]유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ʥ02A5
217무성 치 마찰음 을 수반하는 개방ᶿ1DBF
218중단 중설모음을 수반하는 개방1D4A
292무성 연구개 마찰음을 수반하는 개방ˣ02E3

※ 211번부터 216번까지의 파찰음은 원래 독립된 번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는 두 음성이 결합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3.2 모음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301전설 비원순 고모음i0069
302전설 비원순 중고모음e0065
303전설 비원순 중저모음ɛ025B
304전설 비원순 저모음a0061
305후설 비원순 저모음ɑ0251
306후설 원순 중저모음ɔ0254
307후설 원순 중고모음o006F
308후설 원순 고모음u0075
309전설 원순 고모음y0079
310전설 원순 중고모음ø00F8
311전설 원순 중저모음œ0153
312전설 원순 저모음ɶ0276
313후설 원순 저모음ɒ0252
314후설 비원순 중저모음ʌ028C
315후설 비원순 중고모음ɤ0264
316후설 비원순 고모음ɯ026F
317중설 비원순 고모음ɨ0268
318중설 원순 고모음ʉ0289
319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ɪ026A
320근전설 원순 근고모음ʏ028F
321근후설 원순 근고모음ʊ028A
322중단 중설모음ə0259
323중설 원순 중고모음ɵ0275
324중설 근저모음ɐ0250
325전설 비원순 근저모음æ00E6
326중설 비원순 중저모음ɜ025C
327[13]치조 접근 수반 중단 중설모음ɚ025A
395중설 원순 중저모음ɞ025E
397중설 비원순 중고모음ɘ0258

3.3 보조기호, 초분절기호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401방출음ʼ02BC
402A무성음̥0325
402B무성음̊030A
403유성음̬032C
404유기음ʰ02B0
405무기음˭0324
406creaky voicḛ0330
407설순음̼033C
408치음̪032A
409설첨음̺033A
410설단음̻033B
411원순화̹0339
412비원순화̜031C
413전설화̟031F
414후설화̠0320
415중설화̈0308
416중단 중설화̽033D
417설근 전진̘0318
418설근 후퇴̙0319
419치경 접근음화˞02DE
420원순화ʷ02B7
421경구개화ʲ02B2
422연구개화ˠ02E0
423후두음화ˤ02E4
424비음화̃0303
425비음 방출207F
426설측음 방출ˡ02E1
427불파음화̚031A
428연구개화, 후두음화̴0334
429상승조̝031D/02D4
430하강조̞031E/02D5
431음절문자화 ̩0329
432비음절문자화̯032F
433파찰음화, 이중조음͡0361

3.4 초분절요소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501제1강세ˈ02C8
502제2강세ˌ02CC
503장음ː02D0
504반장음ˑ02D1
505초단음̆0306
506음절 구분점.002E
507작은 그룹(foot)|007C
508큰 그룹(억양)2016
509연음203F
510전체적 상승2197
511전체적 하강2198

3.5 성조 기호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512아주 높고 평탄한 음̋030B
513높고 평탄한 음́0301
514평탄한 음̄0304
515낮고 평탄한 음̀0300
516아주 낮고 평탄한 음̏030F
517저음부2193
518고음부2191
519아주 높고 평탄한 음˥02E5
520높고 평탄한 음˦02E6
521평탄한 음˧02F7
522낮고 평탄한 음˨02E8
523아주 낮고 평탄한 음˩02E9
524상승곡선̌030C
525하강곡선̂0302
526높은 상승곡선----
527낮은 상승곡선--
528상승하강곡선--
529상승곡선˩˥--
530하강곡선˥˩--
531높은 상승곡선˦˥--
532낮은 상승곡선˩˨--
533상승하강곡선˧˦˧----

3.6 괄호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901음성표기의 시작[005B
902음성표기의 끝]005D
903음소표기의 시작과 끝/002F
904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시작(0028
905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끝)0029
906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시작((0028+0028
907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끝))0029+0029
908운율표기의 시작{007B
909운율표기의 끝}007D

3.7 폐지된 기호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폐지 내역
161무성 치(치경) 내파음ƭ01AD1993년에 폐지
163무성 경구개 내파음ƈ01881993년에 폐지
165무성 연구개 내파음ƙ01991993년에 폐지
167무성 구개수 내파음ʠ02A01993년에 폐지
201치 흡착음ʇ02871989년에 177번으로 대체
202후치경 흡착음ʗ02971989년에 178번으로 대체
203치경 설측 흡착음ʖ02961989년에 180번으로 대체
204경구개화 무성 치경 마찰음ʆ02861989년에 폐지
205경구개화 유성 치경 마찰음ʓ02931989년에 폐지
206ɼ027C1989년에 폐지
207ˢ02E21989년에 폐지
208경구개화 tƫ01AB1989년에 폐지
290유성 치경 파찰음ƻ01BB1976년에 폐지
291연구개 흡착음ʞ029E조음이 불가능하다는 게 밝혀져 1970년에 폐지
293성절 비음ƞ019E1976년에 폐지
396중설 원순 근저모음ʚ029A1996년에 395번으로 대체
398근후설 원순 근고모음ɷ02771989년에 321번으로 대체
399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ɩ02691989년에 319번으로 대체
489치경 접근음화̢03221989년에 419번으로 대체
492약한 유기음ʻ02BB1979년에 폐지
493경구개화,중설화̇03071979년에 폐지
494후설화의 변종˗02D71989년에 414번 또는 418번으로 대체
495전설화의 변종˖02D61989년에 413번 또는 417번으로 대체
497고모음화의 변종,마찰음̣03231989년에 429번으로 대체
498경구개화̡03211989년에 421번으로 대체
499원순화̫032B1989년에 420번으로 대체
596하강상승조ˇ02C7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4번 참조
597상승하강조ˆ02C6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5번 참조
598낮은 하강조ˎ02CE1989년에 폐지
599낮은 상승조ˏ02CF1989년에 폐지

3.8 IPA 미공인 기호

번호명칭기호유니코드
219유성 권설 내파음
294무성 치(치경) 설측 파찰음ƛ019B
295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λ03BB
296유성 후치경 마찰음ž017E
297무성 후치경 마찰음š0161
298유성 후치경 파찰음ǰ01F0
299무성 후치경 파찰음č010D
394ı0131
490개방·파열
491쉼표,002C
496전설 원순 고모음화,경구개화ʸ02B8
595긴 하강조,전설화,경구개화̑0311
참고: 296, 297, 298, 299번은 특히 미국 언어학자들이 관습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호다.
  1. IPA Handbook.
  2. 프랑스 베르사유 출신
  3. 그런데 표제어 옆에 실제 음성을 표기하는 데 국제음성기호와는 다른 자기 나름대로의 기호를 지정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특히 영어 사전. 그런데 이건 한국에서 가장 많이 발행되는 외국어 사전이라서 그런 것도 있다). 유성 치경 마찰음(영어의 r 발음. 알파벳 r을 상하반전으로 뒤짚는다)을 유성 치경 탄음 기호(스페인어, 러시아어 등의 r)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 이건 그나마 양호한 경우고, 아예 '한글'로 적어 놓은 것도 적지 않다한글만능론. 이는 외국어를 배울 때 음성학을 얼마나 경시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4. 보조기호들의 상당수가 1990년대 이후에 만들어졌다.
  5. 따라서 기식의 유무가 아닌 상대적 차이와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ㄱ/ㅋ의 구분을, 국제음성기호는 그렇게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표시해 주지 못한다. 국제음성기호가 표시해 주는 것은 어디까지나 근삿값.
  6. 이 정도의 정확성이 필요하다면 차라리 음파의 그래프(graph)를 보는 편이 낫다.
  7. 103+132
  8. 104+133
  9. 103+134
  10. 104+135
  11. 103+182
  12. 104+183
  13. 32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