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의 한 종류인 IPA(India Pale Ale)에 대해서는 맥주/종류#s-3.3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생긴 의견 충돌로 이 문서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수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이 토론 에서 의견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 토론하고 있는 부분을 토론 합의 없이 수정 시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습니다.목차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1 개요
kuk̚.t͡ɕ͈e.ɯm.sʰʌŋ.ɡi.ho, aɪ.pʰi.eɪ(국제음성기호, IPA)
nɐ.mu.wi.kʰi. jʌ.ɾʌ.bu.ȵi. kɐ.k͈u.ʌ. nɐ.ɡɐ.nɯn. t͡ɕi.ɕʰi.ɡɯj. nɐ.mu.(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전 세계 언어의 다종다양한 소리를 두루 포괄할 수 있도록 국제음성학회에서 창안한, 소리를 문자로 표기하는 일관된 방식으로서의 기호 체계(혹은 그 기호).[1] 사실 이 기호 체계를 처음 제정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바로 영어의 대모음추이(The Great Vowel Shift) 때문이다. 영어 교사이자 프랑스어 교사였던 폴 파시(Paul Édouard Passy)[2]가 이런 혼란스러운 영어의 철자-발음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1888년에 발표한 이후로 여러 번 개정을 거쳤다. 대부분의 경우 언어학, 즉 음성학에서 쓰이며, 우리 주위에서는 주로 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3] 이 외에도 정확한 발음 구사가 요구되는 가수나 배우들도 쓰는 경우가 있다.
롱맨, 옥스퍼드 등 영국 영영사전에서 쓰이는 IPA는 현행 표준 방식이며, 한국 영한사전에서 쓰이는 IPA는 구식 혹은 비표준이다.
가장 기본적인 기호들은 분절음을 나타내는 기호들이며, 이 외에도 미묘한 발음차를 구별하거나 성조 등의 초분절요소를 표기하는 데에 사용하는 보조기호들도 있다.[4]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는 음성학, 음운론이다.
2 한계
역설적이게도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많은 변이음들을 완벽하게 표기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일반인들은 차라리 여러 문자와 언어별 발음을 익혀서 문자별 표기법으로 발음을 어림잡는 것이 더 받아들이기 쉬울 수 있다. 그게 되면 이미 일반인이 아닐 듯
- 기호라는 것 자체가 갖는 본질적인 특성 때문에 말소리의 연속적인 값(예: 개구도, 성대의 긴장 정도, 기식이 유지되는 시간 등등)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단지 '있다/없다'나 대략적인 값만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가'는 자음에 기식이 30ms 정도 들어가 있고, 일본어의 'か'는 70ms 정도, '카'는 100ms 정도이다.
가카그리고 발음할 때의 성대의 긴장 정도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국제음성기호는 이런 미세한 연속적인 값들은 표시해 주지는 못하고 단지 기식이 있다/없다 정도로만 구분해 준다.[5]
- 모든 언어의 모든 변이음을 다 완벽하게 구분해서 표기하려면 엄청난 수의 기호가 필요한데 그 정도의 기호를 다 갖추어서 사용하게 되면 일상적인 용도는 물론이고 학술적인 용도에서도 실용성이 없어지기 때문이다.[6] 그래도 IPA에서 사용하는 기호들은 특정한 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변이음들은 충분히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자세하다.
3 현재 사용중인 기호
※ '유니코드'는 해당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16진수 코드 값을 뜻한다.
여기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3.1 자음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101 | 무성 양순 파열음 | p | 0070 |
102 | 유성 양순 파열음 | b | 0062 |
103 | 무성 치(치경) 파열음 | t | 0074 |
104 | 유성 치(치경) 파열음 | d | 0064 |
105 | 무성 권설 파열음 | ʈ | 0288 |
106 | 유성 권설 파열음 | ɖ | 0256 |
107 | 무성 경구개 파열음 | c | 0063 |
108 | 유성 경구개 파열음 | ɟ | 025F |
109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k | 006B |
110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ɡ | 0261 |
111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q | 0071 |
112 | 유성 구개수 파열음 | ɢ | 0262 |
113 | 성문 파열음 | ʔ | 0294 |
114 | 유성 양순 비음 | m | 006D |
115 | 유성 순치 비음 | ɱ | 0271 |
116 | 유성 치(치경) 비음 | n | 006E |
117 | 유성 권설 비음 | ɳ | 0273 |
118 | 유성 경구개 비음 | ɲ | 0272 |
119 | 유성 연구개 비음 | ŋ | 014B |
120 | 유성 구개수 비음 | ɴ | 0274 |
121 | 유성 양순 전동음 | ʙ | 0299 |
122 | 유성 치(치경) 전동음 | r | 0072 |
123 | 유성 구개수 전동음 | ʀ | 0280 |
124 | 유성 치(치경) 탄음 | ɾ | 027E |
125 | 유성 권설 탄음 | ɽ | 027D |
126 | 무성 양순 마찰음 | ɸ | 0278 |
127 | 유성 양순 마찰음 | β | 03B2 |
128 | 무성 순치 마찰음 | f | 0066 |
129 | 유성 순치 마찰음 | v | 0076 |
130 | 무성 치 마찰음 | θ | 03B8 |
131 | 유성 치 마찰음 | ð | 00F0 |
132 | 무성 치경 마찰음 | s | 0073 |
133 | 유성 치경 마찰음 | z | 007A |
134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ʃ | 0283 |
135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ʒ | 0292 |
136 | 무성 권설 마찰음 | ʂ | 0282 |
137 | 유성 권설 마찰음 | ʐ | 0290 |
138 | 무성 경구개 마찰음 | ç | 00E7 |
139 | 유성 경구개 마찰음 | ʝ | 029D |
140 | 무성 연구개 마찰음 | x | 0078 |
141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ɣ | 0263 |
142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χ | 03C7 |
143 | 유성 구개수 마찰음 | ʁ | 0281 |
144 | 무성 후두 마찰음 | ħ | 0127 |
145 | 유성 후두 마찰음(접근음) | ʕ | 0295 |
146 | 무성 성문 마찰음 | h | 0068 |
147 | 유성 성문 마찰음 | ɦ | 0266 |
148 | 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ɬ | 026C |
149 | 유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ɮ | 026E |
150 | 유성 순치 접근음 | ʋ | 028B |
151 | 유성 치(치경) 접근음 | ɹ | 0279 |
152 | 유성 권설 접근음 | ɻ | 027B |
153 | 유성 경구개 접근음 | j | 006A |
154 | 유성 연구개 접근음 | ɰ | 0270 |
155 | 유성 치(치경) 설측 접근음 | l | 006C |
156 | 유성 권설 설측 접근음 | ɭ | 026D |
157 | 유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ʎ | 028E |
158 | 유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 ʟ | 029F |
159 | 무성 양순 내파음 | ƥ | 01A5 |
160 | 유성 양순 내파음 | ɓ | 0253 |
162 | 유성 치(치경) 내파음 | ɗ | 0257 |
164 | 유성 경구개 내파음 | ʄ | 0284 |
166 | 유성 연구개 내파음 | ɠ | 0260 |
168 | 유성 구개수 내파음 | ʛ | 029B |
169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ʍ | 028D |
170 |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w | 0077 |
171 |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ɥ | 0265 |
172 | 유성 후두개 마찰음 | ʜ | 029C |
173 | 후두개 파열음 | ʡ | 02A1 |
174 | 유성 후두개 마찰음(접근음) | ʢ | 02A2 |
175 | 무성 후치경(연구개) 마찰음 | ɧ | 0267 |
176 | 양순 흡착음 | ʘ | 0298 |
177 | 치 흡착음 | ǀ | 01C0 |
178 | 치경 흡착음 | ! | 01C3 |
179 | 경구개 치경 흡착음 | ǂ | 01C2 |
180 | 치경 설측 흡착음 | ǁ | 01C1 |
181 | 유성 치경 설측 탄음 | ɺ | 027A |
182 | 무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 ɕ | 0255 |
183 | 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 ʑ | 0291 |
184 | 유성 순치 탄음 | ⱱ | 2C71 |
209 | 연구개 치(치경) 설측 접근음 | ɫ | 026B |
210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ɡ | 0067 |
211[7] | 무성 치경 파찰음 | ʦ | 02A6 |
212[8] | 유성 치경 파찰음 | ʣ | 02A3 |
213[9]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ʧ | 02A7 |
214[10]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ʤ | 02A4 |
215[11] | 무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 | ʨ | 02A8 |
216[12] | 유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 | ʥ | 02A5 |
217 | 무성 치 마찰음 을 수반하는 개방 | ᶿ | 1DBF |
218 | 중단 중설모음을 수반하는 개방 | ᵊ | 1D4A |
292 | 무성 연구개 마찰음을 수반하는 개방 | ˣ | 02E3 |
※ 211번부터 216번까지의 파찰음은 원래 독립된 번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는 두 음성이 결합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3.2 모음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301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i | 0069 |
302 |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 e | 0065 |
303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ɛ | 025B |
304 | 전설 비원순 저모음 | a | 0061 |
305 | 후설 비원순 저모음 | ɑ | 0251 |
306 | 후설 원순 중저모음 | ɔ | 0254 |
307 | 후설 원순 중고모음 | o | 006F |
308 | 후설 원순 고모음 | u | 0075 |
309 | 전설 원순 고모음 | y | 0079 |
310 | 전설 원순 중고모음 | ø | 00F8 |
311 | 전설 원순 중저모음 | œ | 0153 |
312 | 전설 원순 저모음 | ɶ | 0276 |
313 | 후설 원순 저모음 | ɒ | 0252 |
314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 ʌ | 028C |
315 | 후설 비원순 중고모음 | ɤ | 0264 |
316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ɯ | 026F |
317 | 중설 비원순 고모음 | ɨ | 0268 |
318 | 중설 원순 고모음 | ʉ | 0289 |
319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ɪ | 026A |
320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 ʏ | 028F |
321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ʊ | 028A |
322 | 중단 중설모음 | ə | 0259 |
323 | 중설 원순 중고모음 | ɵ | 0275 |
324 | 중설 근저모음 | ɐ | 0250 |
325 | 전설 비원순 근저모음 | æ | 00E6 |
326 |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 ɜ | 025C |
327[13] | 치조 접근 수반 중단 중설모음 | ɚ | 025A |
395 | 중설 원순 중저모음 | ɞ | 025E |
397 | 중설 비원순 중고모음 | ɘ | 0258 |
3.3 보조기호, 초분절기호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401 | 방출음 | ʼ | 02BC |
402A | 무성음 | ̥ | 0325 |
402B | 무성음 | ̊ | 030A |
403 | 유성음 | ̬ | 032C |
404 | 유기음 | ʰ | 02B0 |
405 | 무기음 | ˭ | 0324 |
406 | creaky voice | ̰ | 0330 |
407 | 설순음 | ̼ | 033C |
408 | 치음 | ̪ | 032A |
409 | 설첨음 | ̺ | 033A |
410 | 설단음 | ̻ | 033B |
411 | 원순화 | ̹ | 0339 |
412 | 비원순화 | ̜ | 031C |
413 | 전설화 | ̟ | 031F |
414 | 후설화 | ̠ | 0320 |
415 | 중설화 | ̈ | 0308 |
416 | 중단 중설화 | ̽ | 033D |
417 | 설근 전진 | ̘ | 0318 |
418 | 설근 후퇴 | ̙ | 0319 |
419 | 치경 접근음화 | ˞ | 02DE |
420 | 원순화 | ʷ | 02B7 |
421 | 경구개화 | ʲ | 02B2 |
422 | 연구개화 | ˠ | 02E0 |
423 | 후두음화 | ˤ | 02E4 |
424 | 비음화 | ̃ | 0303 |
425 | 비음 방출 | ⁿ | 207F |
426 | 설측음 방출 | ˡ | 02E1 |
427 | 불파음화 | ̚ | 031A |
428 | 연구개화, 후두음화 | ̴ | 0334 |
429 | 상승조 | ̝ | 031D/02D4 |
430 | 하강조 | ̞ | 031E/02D5 |
431 | 음절문자화 | ̩ | 0329 |
432 | 비음절문자화 | ̯ | 032F |
433 | 파찰음화, 이중조음 | ͡ | 0361 |
3.4 초분절요소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501 | 제1강세 | ˈ | 02C8 |
502 | 제2강세 | ˌ | 02CC |
503 | 장음 | ː | 02D0 |
504 | 반장음 | ˑ | 02D1 |
505 | 초단음 | ̆ | 0306 |
506 | 음절 구분점 | . | 002E |
507 | 작은 그룹(foot) | | | 007C |
508 | 큰 그룹(억양) | ‖ | 2016 |
509 | 연음 | ‿ | 203F |
510 | 전체적 상승 | ↗ | 2197 |
511 | 전체적 하강 | ↘ | 2198 |
3.5 성조 기호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512 | 아주 높고 평탄한 음 | ̋ | 030B |
513 | 높고 평탄한 음 | ́ | 0301 |
514 | 평탄한 음 | ̄ | 0304 |
515 | 낮고 평탄한 음 | ̀ | 0300 |
516 | 아주 낮고 평탄한 음 | ̏ | 030F |
517 | 저음부 | ↓ | 2193 |
518 | 고음부 | ↑ | 2191 |
519 | 아주 높고 평탄한 음 | ˥ | 02E5 |
520 | 높고 평탄한 음 | ˦ | 02E6 |
521 | 평탄한 음 | ˧ | 02F7 |
522 | 낮고 평탄한 음 | ˨ | 02E8 |
523 | 아주 낮고 평탄한 음 | ˩ | 02E9 |
524 | 상승곡선 | ̌ | 030C |
525 | 하강곡선 | ̂ | 0302 |
526 | 높은 상승곡선 | ᷄ | --- |
527 | 낮은 상승곡선 | ᷅ | - |
528 | 상승하강곡선 | ᷈ | - |
529 | 상승곡선 | ˩˥ | - |
530 | 하강곡선 | ˥˩ | - |
531 | 높은 상승곡선 | ˦˥ | - |
532 | 낮은 상승곡선 | ˩˨ | - |
533 | 상승하강곡선 | ˧˦˧ | ---- |
3.6 괄호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901 | 음성표기의 시작 | [ | 005B |
902 | 음성표기의 끝 | ] | 005D |
903 | 음소표기의 시작과 끝 | / | 002F |
904 | 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시작 | ( | 0028 |
905 | 청취가 불가능한 발음의 끝 | ) | 0029 |
906 | 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시작 | (( | 0028+0028 |
907 | 명료하지 않은 발음의 끝 | )) | 0029+0029 |
908 | 운율표기의 시작 | { | 007B |
909 | 운율표기의 끝 | } | 007D |
3.7 폐지된 기호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폐지 내역 |
161 | 무성 치(치경) 내파음 | ƭ | 01AD | 1993년에 폐지 |
163 | 무성 경구개 내파음 | ƈ | 0188 | 1993년에 폐지 |
165 | 무성 연구개 내파음 | ƙ | 0199 | 1993년에 폐지 |
167 | 무성 구개수 내파음 | ʠ | 02A0 | 1993년에 폐지 |
201 | 치 흡착음 | ʇ | 0287 | 1989년에 177번으로 대체 |
202 | 후치경 흡착음 | ʗ | 0297 | 1989년에 178번으로 대체 |
203 | 치경 설측 흡착음 | ʖ | 0296 | 1989년에 180번으로 대체 |
204 | 경구개화 무성 치경 마찰음 | ʆ | 0286 | 1989년에 폐지 |
205 | 경구개화 유성 치경 마찰음 | ʓ | 0293 | 1989년에 폐지 |
206 | ɼ | 027C | 1989년에 폐지 | |
207 | ˢ | 02E2 | 1989년에 폐지 | |
208 | 경구개화 t | ƫ | 01AB | 1989년에 폐지 |
290 | 유성 치경 파찰음 | ƻ | 01BB | 1976년에 폐지 |
291 | 연구개 흡착음 | ʞ | 029E | 조음이 불가능하다는 게 밝혀져 1970년에 폐지 |
293 | 성절 비음 | ƞ | 019E | 1976년에 폐지 |
396 | 중설 원순 근저모음 | ʚ | 029A | 1996년에 395번으로 대체 |
398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ɷ | 0277 | 1989년에 321번으로 대체 |
399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ɩ | 0269 | 1989년에 319번으로 대체 |
489 | 치경 접근음화 | ̢ | 0322 | 1989년에 419번으로 대체 |
492 | 약한 유기음 | ʻ | 02BB | 1979년에 폐지 |
493 | 경구개화,중설화 | ̇ | 0307 | 1979년에 폐지 |
494 | 후설화의 변종 | ˗ | 02D7 | 1989년에 414번 또는 418번으로 대체 |
495 | 전설화의 변종 | ˖ | 02D6 | 1989년에 413번 또는 417번으로 대체 |
497 | 고모음화의 변종,마찰음 | ̣ | 0323 | 1989년에 429번으로 대체 |
498 | 경구개화 | ̡ | 0321 | 1989년에 421번으로 대체 |
499 | 원순화 | ̫ | 032B | 1989년에 420번으로 대체 |
596 | 하강상승조 | ˇ | 02C7 | 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4번 참조 |
597 | 상승하강조 | ˆ | 02C6 | 1989년에 용법 재정의, 525번 참조 |
598 | 낮은 하강조 | ˎ | 02CE | 1989년에 폐지 |
599 | 낮은 상승조 | ˏ | 02CF | 1989년에 폐지 |
3.8 IPA 미공인 기호
번호 | 명칭 | 기호 | 유니코드 |
219 | 유성 권설 내파음 | ||
294 | 무성 치(치경) 설측 파찰음 | ƛ | 019B |
295 | 무성 치(치경) 설측 마찰음 | λ | 03BB |
296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ž | 017E |
297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š | 0161 |
298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ǰ | 01F0 |
299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č | 010D |
394 | ı | 0131 | |
490 | 개방·파열 | ||
491 | 쉼표 | , | 002C |
496 | 전설 원순 고모음화,경구개화 | ʸ | 02B8 |
595 | 긴 하강조,전설화,경구개화 | ̑ | 0311 |
- ↑ IPA Handbook.
- ↑ 프랑스 베르사유 출신
- ↑ 그런데 표제어 옆에 실제 음성을 표기하는 데 국제음성기호와는 다른 자기 나름대로의 기호를 지정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특히 영어 사전. 그런데 이건 한국에서 가장 많이 발행되는 외국어 사전이라서 그런 것도 있다). 유성 치경 마찰음(영어의 r 발음. 알파벳 r을 상하반전으로 뒤짚는다)을 유성 치경 탄음 기호(스페인어, 러시아어 등의 r)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예. 이건 그나마 양호한 경우고, 아예 '한글'로 적어 놓은 것도 적지 않다
한글만능론. 이는 외국어를 배울 때 음성학을 얼마나 경시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 보조기호들의 상당수가 1990년대 이후에 만들어졌다.
- ↑ 따라서 기식의 유무가 아닌 상대적 차이와 강도에 의해 결정되는 ㄱ/ㅋ의 구분을, 국제음성기호는 그렇게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표시해 주지 못한다. 국제음성기호가 표시해 주는 것은 어디까지나 근삿값.
- ↑ 이 정도의 정확성이 필요하다면 차라리 음파의 그래프(graph)를 보는 편이 낫다.
- ↑ 103+132
- ↑ 104+133
- ↑ 103+134
- ↑ 104+135
- ↑ 103+182
- ↑ 104+183
- ↑ 322+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