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장교

(군수참모에서 넘어옴)
군대참모
일반참모
작전참모정보참모인사참모군수참모민사참모
특별참모
부관참모정훈참모군종참모감찰참모법무참모
헌병참모병기참모병참참모수송참모화학참모
항공참모의무참모공병참모통신참모주임원사

1 개요

군대에서 보급을 담당하는 보직. 다른 이름으로는 지원장교, 군수과장 등으로 불린다. 육군의 경우 중대에서는 행정보급관, 대대/연대에서는 군수(지원)장교[1], 여단/사단/군단에서는 군수참모[2], 야전군사령부에서는 군수처장(준장), 각 군 본부에서는 군수참모부장(소장)이 되고 합참에서는 군사지원본부장(중장)[3]이 해당한다.

2 대한민국 육군

2.1 대대

대대의 경우 보통 대위 보직[4]인 경우가 많기는 한데 정말 여건이 안 좋은 부대나 대위가 부족한 부대는 중위급이, 심지어는 소위가 군수장교 대리라는 이름으로 업무를 보는 특이한 케이스도 있다. [5] 더하여 보병대대 같은 단위부대가 아닌 편성부대의 군수장교라면 업무의 수준이 크게 다르다. 보병의 군수장교는 군수과장 취급을 받을 수 없지만 편성부대의 (ex. 포병대대) 군수장교는 군수과장 대우를 받는다. 반면 연대급 이상의 경우 똑같이 중위가 담당한다.

대대 군수장교의 경우 소령(진)이나 소령 진급이 유력한 인원이 담당하면 휘하의 담당관들이 짬이 높거나 말거나 파워가 엄청나다.하지만 이런 인원들은 보통 작전장교를 맡게 된다. 심지어는 담당관이 원사진급을 앞둔 상사여도 통제가 가능한데 영관장교 대우이기 때문이다. 부사관이 위관장교를 짬으로 누를 수는 있겠지만 영관장교부터는 짬으로 누르는 게 어려워지기 때문이다.[6]

그러나 소대장을 거친 중위라거나 곧 중위로 진급예정인 소위, 혹은 갓 진급한 중위가 군수장교가 된다면 나오는 결과는 안습. 담당관들에게 짬으로 눌려버리고 만다.

군수장교는 군수과라는 처부의 수장이며 군수장교의 밑으로는 보급관, 급양감독관, 수송관, 탄약관, 보급수불담당관 등 6~7명의 중사 이상급 담당관들이 있고 각각의 담당관들에게는 작게는 1명, 많게는 6명까지 계원을 두고 있는데 그들은 자기의 군수업무를 담당하게 된다곤 하지만 저건 연대급이고 보병대대급엔 수송관이 없다. 왜냐하면 보병대대는 연대에서 차량을 지원받아 사용하기 때문.

업무가 궁금한 예비 군수장교들을 위해 덧붙이자면 내 병과가 보병인지 포병인지 공병인지 병참인지 수송인지 탄약인지 병기인지 헷갈리고 있다면 그게 제대로 보직에 맞다는 뜻이다. 정체성의 혼란

여담으로, 일 잘하는/못하는 군수장교란 얼마나 많은 업무를 타대대 짬 안되는 군수장교에게 떠넘길 수 있느냐는 능력에 달려있다. 군 체제상 가장 말단인 중대급 쯤 되면 99%의 부대가 물건 몇 개씩 구멍나 있는 건 사실상 당연한 일이고, 심할 경우 몇 천 만원씩 하는 장비가 통째로 사라져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보통 이런 경우는 역추적 해보면 몇년 전에 타 부대 재산 검열때 빌려줬다가 양쪽 다(또는 받아야 할 쪽만) 깜빡하고 돌려주지 않았고, 그해 군수과가 싹 물갈이 되고 난 이후 해당 물건에 대한 행방은 그야말로 오리무중으로 빠져버린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 사이 기간동안의 재산 검열 시 빌려준 물건을 다시 빌려오는(...) 방법을 통해 처리해오다 진실을 깨닫고 물건을 되돌려 받으려고 행정 절차를 밟기 시작하면 상대 부대측에서 고의로든 비고의로든 이미 해당 로트 번호나 재산번호를 자기네 껄로 올려놓아 돌려 받을수도 없는 경우도 종종 존재한다. 이 정도 이야기가 진행되면 물건을 빌려줬던 당시 책임자가 누군지도 모르고, 알았다 하더라도 본인이 오리발 내밀기 시작하면 최소 상원사급, 높게는 전전임 군수과장으로 민간인 또는 소령급 이상이 되어있기에 뭐라 할 수도 없다. 그럼 대대장한테 보고를 올리는 수 밖에 없는데, 대대장 귀에 이런 일이 들어 가는 순간 어떤 식으로 일이 커져서 내려올지 아무도 모르기에 이쯤에서 덮고 넘어가는 것이 모두의 정신 건강을 위해 좋다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물론 사단급 이상에서 진짜 제대로 로트번호 일일이 확인하면서 재산 싸그리 전수조사를 한다면 피해갈 방법이 없지만, 대부분 검사관들도 이런 고충을 알고있기에 상황을 알게 되더라도 유야무야 덮기도 하고, 전수조사라는게 물량 갯수 확인만 해도 몇칠씩 잡아먹는 일인데 이걸 로트/등재번호까지 일일이 확인한다는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워 생각보다 걸릴 확률이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걸리면 뭐... 나만 아니면 되!
따라서, 물건이 빈다- 타대대 물건을 얼마나 잘 강탈해오는가가 군수과의 역량이다. 물론 실제로 강탈해오는 건 담당관들의 절규에 못이긴 행보관일 확률이 높다. 따라서 군수과장은 위로는 얼마나 잘 커버를 치고(검열 살살하도록), 밑으로는 담당관들을 얼마나 잘 갈구는가가 중요하다.

대대 차원 파견시 군수과의 업무가 폭발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대 전체 파견이란건 보통 훈련을 의미하고, 훈련시 필요한 의식주/탄약/기름/수송계획 등 군인이 존재하는데 상상할수 있는 모든 필요한 물건들을 군수과가 맡아서 해야 하는데, 짬 안되는 군수과장은 담당관들이 이래저래 던지고 나간 일을 혼자 떠맡아 해야한다. (담당관1 : 오늘 들어오는 탄약류 선탑해야 합니다, 담당관2: 기름 떨어졌다네요 가서 보고 올게요 담당관3 :아-사단에서 연락와서 가봐야 할 것 같지말입니다, 군수과장 : 야이 ㅆㅂ놈들아!!!!!!) 사실 진실을 이야기하자면 여기서 군수과장도 같이 던져버려도 대대 회의에서 욕 한두번 쳐먹고 나면 담당관들이 슬금슬금 눈치보면서 일하기 시작하긴 한다. 하지만 보통 군수과장 직은 진급 꿈나무들을앉히는 경우가 많으니.. 무운을 빈다.

연평도 포격 당시 군수업무의 중요성이 갑자기 부각되어 장기 짤리고 전역 대기 중이던 /직보반 가있던 군수과장직을 역임한 적 있는 대위들이 일괄적으로 장기가 되고 소령 진급도 성사된 케이스가 있다. 대대든 사단이든 참모 중에선 군수 업무가 제일 짜증나고 힘든 보직이긴 하지만 그래도 혹시나 빛 볼 날이 올 수도 있으니 힘내라.

2.2 연대

연대부터는 해당 부서를 총괄하는 직책이 아니다. 연대의 경우 중위급 군수장교가 있고 그 위로는 소령급의 군수과장이 있다. 대대의 담당관들과 업무가 비슷하다.

2.3 사단

사단의 경우 군수참모처에 중령급 군수참모가 있고 그 휘하에 소령급 군수보좌관, 수송보좌관이 있으며 위관급인 각 파트별 장교들이 있다.

2.4 군단

군단의 경우 군수참모는 대령이다. 군단부터는 참모 및에 소~중령급 과장이 있다.

2.5 야전군사령부

야전군사령부는 군수참모를 군수처장이라고 하며, 원스타(준장)이 보직된다. 2작전사령부도 야전군사령부로 보기 때문에 이 곳 역시 준장이 군수처장으로 보직된다. 그러나 해군 작전사령부나 공군 작전사령부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대령이 군수참모 및 처장을 맡게 된다.[7]

3 대한민국 해군

4 대한민국 공군

5 각 군 본부

육군본부, 해군본부, 공군본부 각 군 본부의 군수참모는 군수참모부장이라고 하며, 소장이 보직된다. 군수참모부장 밑에 준장급 차/처장, 대령급 과/팀장이 있다.

6 합동참모본부

합참의 군수관련 책임자는 군사지원본부장이다. 중장이 보직되는데 대개 해/공군 출신이 맡는다.

7 기타

군수장교가 제일 두려워 하는 이벤트는 전투장비지휘검열과 전군재물조사. 거기다가 이젠 1년에 한번씩 꼬박꼬박 겪어야 한다. 더군다나 장기복무자의 경우 진급 문제도 걸려있기 때문에 군수장교가 겪는 공포는 보급관이나 계원들의 공포와는 차원이 다르다. 직업보도반에 떨어지지 않으려면 죽을 힘을 다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1. 대대 군수과장은 대부분 중~대위, 연대 군수과장은 소령
  2. 여단, 사단 군수참모는 중령, 군단 군수참모는 대령
  3. 그러나 정작 군사지원본부장은 군수와는 별 관련이 없는 전투병과 출신 장성들이 주로 임명되는게 현실이다.
  4. 탄약과 관련되기 때문에 인사장교나 정보장교보다 계급이 높다.
  5. 후방 기행부대나 그런 곳처럼 사정이 안 좋은 곳은 아예 군수장교에 대놓고 소위를 보임하기도 한다. 후임소대장이 들어와서 좋아했는데 군수장교로 영전(...)하는 괴랄한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6. 특히 소령 진급이 확정된 상태에서 군수장교를 하다가 소령으로 진급한 후 전출가지 않고 보직만 작전과장으로 바뀐다고 생각하면 왜 소령 진급을 앞둔 군수장교의 파워가 막강한지를 알 수 있다.
  7. 해, 공군은 정말로 장성보직이 적다. 육군본부의 경우 처장급 보직이면 모두 원스타인데 해군본부나 공군본부도 대부분의 처장보직이 준장이나 일부 비주류나 비전투관련 처장은 대령이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