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폴리스/유닛

이 문서는 웹게임 그레폴리스의 유닛을 다루고 있습니다.

1 개요

그레폴리스의 유닛을 설명하는 문서.

아래 설명할 유닛들의 생산비용과 시간은 전부 업그레이드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설명한다. 유닛의 이동속도는 각 서버마다 속도가 틀리기 때문에 기재하지 않는다.

각 유닛의 능력치는 공격일 땐 공격 능력치만, 방어일 땐 방어 능력치만 적용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RTS게임처럼 각 유닛이 전투를 하면 공격을 하고 맞으면서 피가 깎이는게 아니라 공격을 했을 땐 공격 능력치만 발동된다는 것.

예를 들어 검병은 둔기공격 5를 가진 유닛이다. 검병 100기를 공격용으로 쓰면 둔기공격 총합 500으로 공격하는 것인데, 다른 둔기공격 유닛으로 총합 둔기공격 500을 맞추면 전투결과가 같다는 것이다. 공격할 땐 검병 110기의 둔기공격 550이나 기병 10기나 적 유닛의 피해는 같다.

방어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신화유닛 페가수스의 찌르기 방어는 250이다. 공격은 찌르기 100의 공격력을 가지고있다. 궁병은 찌르기 방어 25, 원거리 공격 8을 가지고있다. 전차 500기가 공격을 온다 가정했을 경우 상대 전차 사망 수는 페가수스 하나나 궁병 10기나 같다. 이렇게 공격일 땐 공격만, 방어일 땐 방어만 적용되기 때문에 공병/방병이 확연하게 나뉘게 된다.

2 병영 유닛

병영에서 생산하는 유닛. 지상유닛으로 신화유닛도 병영에서 생산된다.
그레폴리스의 게임 특성상 굴리지 않는 유닛은 없다고 봐도 된다.

각 유닛의 특성을 잘 고려해야 된다. 공격용 유닛과 방어용 유닛이 극렬하게 나뉘어지고 공격형태, 방어형태도 나뉘어지기 때문이다.

공격유형:둔기, 찌르기(날카로운무기), 원거리무기
방어유형:둔기방어, 찌르기방어(날카로운무기), 원거리방어 (공격형태와 똑같다.)
기타:속도(필드에서의 이동 속도), 노획물(자원 약탈량)

2.1 검병

자원목재95 은화85
인구수1
공격공격:5(둔기) 속도:32 노획물:16
방어둔기방어:14 찌르기방어:8 원거리방어:30

기본 유닛. 그레폴리스를 처음 시작할시 5기를 지급받고 시작하는 유닛으로서 스타크래프트의 저글링, 마린 같은 유닛. 게임상 성능은 무난하고 방어에 효율이 좋지만 공격용으로도 쓰려면 머릿수로 밀어붙이기도 한다. 하지만 정말 머릿수로 밀어붙이려면 투척병 혹은 장갑보병이 몇 배는 낫다. 그래도 공격유형이 둔기에 자원이 적게 든다는 점으로 땡 궁병만으로 이루어진 방병도시엔 써봄직하다.

2.2 투척병

자원목재55 석재100 은화40
인구수1
공격공격:23(원거리) 속도:56 노획물:8
방어둔기방어:7 찌르기방어:8 원거리방어:2

필요사항:병영 레벨5, 아카데미 투척병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 수 있는 유닛. 대부분 유저들은 기병, 전차를 공격병으로 쓰지만 투척병은 물량으로 승부를 보는 유닛이다. 특히 장갑보병으로 방어를 하는 도시에선 투척병의 원거리 공격이 상성이기때문에 종종 땡투척으로 인구를 채우는 유저도 있다. 이외엔 속도가 빠르지만 어차피 그레폴리스는 초반, 동줍 빼면 대부분 운반보트 타고 이동하게 되어 크게 중요한 특징은 아니다.

능력치를 보면 알겠지만 공격과 방어가 극단적으로 갈리기 때문에 플릿[1]이 정말 중요한 유닛이다.

2.3 궁병

자원목재120 은화75
인구수1
공격공격:8(원거리) 속도:48 노획물:24
방어둔기방어:6 찌르기방어:25 원거리방어:12

필요사항:병영 레벨5,아카데미 궁병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 수 있는 유닛 2. 본격적인 방어용 유닛이다.[2] 방병도시(방어병만 잔뜩채우는 도시)는 기본적으로 타 유닛보단 궁병을 베이스로 최대한 깔고 검병, 장갑보병, 전차를 조금씩 섞는 걸 주로 한다. 사기급인 기병을 제외하고는 둔기방어가 취약하지만 날카로운 무기엔 방어력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장갑보병과 전차에 대항하기엔 효과적인 유닛이다.

2.4 장갑보병

자원석재75 은화150
인구수1
공격공격:16(찌르기) 속도:24 노획물:8
방어둔기방어:18 찌르기방어:12 원거리방어:7

필요사항:병영 레벨5, 아카데미 장갑보병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 수 있는 유닛 3. 그레폴리스 지상유닛의 꽃이요,물이다. 지상유닛중 생산되는 숫자 1,2위를 다투는 유닛.[3] 공격용으로도 쓸만하고 방어용으로도 쓸만하다. 어차피 동줍이야 기병이 있으니 문제될 것이 없기 때문에 노획물, 이동속도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방어면에선 원거리 방어가 약간 낮은 감이 있지만 궁병과 검병으로 원거리 방어를, 둔기는 장갑보병이 맡게 된다.

2.5 기병

자원목재240 석재120 은화360
인구수3
공격공격:55(둔기) 속도:88 노획물:72
방어둔기방어:18 찌르기방어:1 원거리방어:24

필요사항:병영 레벨10,아카데미 기병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 수 있는 유닛4. 기병은 훌륭한 공격유닛으로 사용된다. 자원과 인구수에 비해 상당히 높은 공격 능력치를 보유한다. 방어병력의 특성상 신화유닛이나 영웅이 아니고서야 기병의 둔기 공격으로는 일정 피해가 반드시 발생하므로 좋은 공격 유닛. 특히 속도와 노획물이 높아 동줍에서 최고의 효율을 자랑한다. 공격용 유닛이라 땡투척/땡기병 같은 전술도 있을 것 같지만 묘하게 전차에 밀려 많이는 생산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래도 잘만 쓰면 꽤 좋은 공격유닛.

2.6 전차

자원목재200 석재440 은화320
인구수4
공격공격:56(찌르기) 속도:72 노획물:64
방어둔기방어:76 찌르기방어:16 원거리방어:56

필요사항:병영 레벨15,아카데미 전차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수있는 유닛5. 공수 모두 뛰어난 유닛으로 전천후 활약이 가능하다. 인구수를 4나먹기때문에 기병보다 부담되지만 생산비용은 오히려 전차가 유리하다. 은화라는게 있어도 있어도 부족한 자원이라..[4] 장갑보병과 더불어 지상유닛의 꽃이다. 적절한 자원대비 유닛효율과 공격용뿐만이 아닌 기습공격의 방어용으로도 보장받는 유닛이라 전차를 굴리지않는 유저는 없다.

2.7 투석기

자원목재1200 석재1200 은화1200
인구수15
공격공격:100(원거리) 속도:4 노획물:400
방어둔기방어:30 찌르기방어:30 원거리방어:30

필요사항:병영 레벨5,아카데미 투석기 연구

아카데미에서 연구를 해야 뽑을수있는 유닛5. 투석기는 도시 성곽을 파괴 할 수 있는 유닛이다. 생산자원과 인구수,생산시간 모두 괴물같은 유닛이지만 공격에 몇대만 섞어주어도 밥값은 하는 유닛이다. 하지만 많이쓰이는 유닛은 아니며 투석기를 아예 배제하는 유저도 상당수 있다.

3 신화 유닛

그레폴리스에는 사원이라는 건물이 있고, 각 사원마다 신을 하나 선택해 숭배할수있다. 이 신마다 고유한 마법이 있고,각 신마다 2가지씩 신화 유닛을 생산할수있게 된다. 신과 관련된 마법은 신의 은총이란 특수한 자원이 필요하며,이 신의 은총은 신화 유닛 생산에도 필요하다. 또한 신화 유닛은 공격엔 상관없으나 도시를 지키기 위해 지원을 나갈경우 같은 신을 숭배하는 곳으로만 지원이 가능하다.

각 신의 마법은 그레폴리스 문서를 참조할것.

3.1 제우스

3.1.1 미노타우로스

자원목재1400 석재600 은화3100
인구수30
신의 은총202
공격공격:420(둔기) 속도:40 노획물:480
방어둔기방어:675 찌르기방어:300 원거리방어:560

제우스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 자원,공격력,방어력 전부 적절한 유닛으로 만능에 가까운 효율을 지닌 유닛. 하지만 제우스의 두번째 신화 유닛 만티콜이 있어서 생각보단 잘 쓰이지 않는다.

3.1.2 만티콜

자원목재4400 석재3000 은화3400
인구수45
신의 은총405
공격공격:945(찌르기) 속도:88 노획물:360
방어둔기방어:170 찌르기방어:225 원거리방어:505

제우스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2. 자원과 신의 은총을 잡아먹는 괴물이지만 공격력이 넘사벽급을 자랑한다. 만티콜은 특히나 신화 유닛중 많이쓰이는데,배가 없이 섬을 돌아다닐수 있다. 수송선없이 날아다니는 유닛이고 공격력이 높아 기동성,공격력이 전부 만족되는 유닛이지만 신의 은총을 워낙 괴물같이 잡아먹는지라 모으기가 너무나 힘들다는게 문제.

3.2 포세이돈

3.2.1 키클롭스

자원목재2000 석재4200 은화3360
인구수40
신의 은총360
공격공격:756(원거리) 속도:8 노획물:320
방어둔기방어:945 찌르기방어:10 원거리방어:1310

포세이돈을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 첫 번째 신화 유닛답지 않게 무지막지한 은총을 들이부어야 생산이 가능한데, 들어가는 자원과 은총에 비해 날카로운 무기에 어이없을 정도로 약해서[5] 장갑보병/전차로 기습이라도 당하면 이게 신화 유닛 맞나 싶을 정도로 녹아내리는 암울한 유닛. 그래도 공격력이 높고 둔기, 원거리방어가 정신나간 수준이라 궁병과 조합하면 최적의 성능을 발휘한다. 궁병만 죽어라 뽑은 땡궁병 도시에 키클롭스 몇 기만 넣어줘도 상대는 좋아죽는다(…)

3.2.2 히드라

자원목재5400 석재2800 은화3800
인구수50
신의 은총400
공격공격:1000 속도:8
방어715

포세이돈을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2. 유일한 신화 해상유닛이며 화공선 5대와 완전히 동일한 인구수, 공격력, 총 자원 소비량(은총 제외)을 가지고 있다. 은총을 400이나 잡아먹기 때문에 총 자원 소비량이 사실 동등하지는 않고, 은총이 걸림돌이 되어 한 번에 여럿을 훈련 대기열에 올려둘 수도 없다. 일반 자원만 봐도 화공선에 비해서 얻기 쉬운 목재 대신 석재를 많이 소모하므로 기대에는 많이 못 미치는 유닛. 그럼에도 뽑을 만하게 해주는 히드라의 최대 강점은 동인구수 2단 갤리의 71.5%에 해당하는 방어력을 갖춘 것이다. 보통 공격도시에는 화공선만 잔뜩 뽑아놓는데 이런 도시는 당연히 해상공격에 취약해서 플릿을 해두지 않으면 배를 몽땅 잃는데, 히드라는 방어력도 우수하기 때문에 기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공성으로 정복해야 하는 서버에서는 점령용 유닛으로도 좋다. 즉, 공격력만 보면 화공선과 같지만 실제 용도는 3단 갤리의 상위호환이라는 것.

3.3 헤라

3.3.1 하르피

자원목재1600 석재400 은화1360
인구수14
신의 은총130
공격공격:266(둔기) 속도:100 노획물:340
방어둔기방어:105 찌르기방어:75 원거리방어:1

헤라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 신화 유닛치고는 능력치가 낮은 편에 특히 방어력을 완전히 갖다버린 신화 유닛이지만, 자원 소모량이나 은총이 싼 맛에 뽑는 유닛. 방어형 신화 유닛들보다 공격력이 확실히 높고, 바다를 건너 날아갈 수 있는 유닛인데 속도도 매우 빠르고 인구수 대비 노획물도 많아서 빈 도시 약탈하기에 좋다.

3.3.2 메두사

자원목재1500 석재3800 은화2200
인구수18
신의 은총210
공격공격:425(찌르기) 속도:24 노획물:400
방어둔기방어:625 찌르기방어:435 원거리방어:375

헤라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2. 공방 적절한 밸런스를 보유한 유닛으로 전천후로 써먹기 좋은 유닛. 제우스의 미노타우로스와 공격력이나 방어력 등 많은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더 비싸다. 그러나 그걸 가볍게 보완하는 결정적인 차이는 인구수로, 훨씬 많은 메두사를 모을 수 있고 같은 수송선으로 더 많이 공격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미노타우로스를 압도한다.

3.4 아테나

3.4.1 켄타우로스

자원목재1740 석재300 은화700
인구수12
신의 은총100
공격공격:156(원거리) 속도:72 노획물:200
방어둔기방어:150 찌르기방어:450 원거리방어:60

아테나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 싼 값이 아이덴티티인 유닛으로 능력치도 적당히 분배되어 있다. 특히 날카로운 무기에 대해서 괴물같은 방어를 자랑하는 반면 원거리 무기에는 심히 약하다. 아테나는 마법뿐 아니라 이렇게 신화 유닛들도 방어적으로 써먹기 좋게 되어 있다.

3.4.2 페가수스

자원목재2800 석재360 은화80
인구수20
신의 은총180
공격공격:100(찌르기) 속도:140 노획물:160
방어둔기방어:900 찌르기방어:250 원거리방어:300

아테나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2. 만티콜과 같이 수송선없이 다른 섬으로 날아갈수 있는 유닛. 타 신들의 두번째 신화 유닛에 비해 공격력은 아쉽지만 둔기 방어력이 엄청나게 높고 기동성이 좋아 만티콜이 기습공격에 특화된 공격용 신화 유닛이라면 페가수스는 급한 불 끄기에 안성맞춤인 방어에 특화된 신화 유닛이다. 다만 켄타우로스와 페가수스 둘 다 원거리 공격에는 썩 뛰어나지 못한데, 어차피 원거리 공격 방어용으로는 가장 값싸고 많이 뽑을 수 있는 검병이 있으므로 크게 상관없다.

3.5 하데스

3.5.1 케르베로스

자원목재1250 석재1500 은화3000
인구수30
신의 은총230
공격공격:210(둔기) 속도:16 노획물:240
방어둔기방어:825 찌르기방어:300 원거리방어:1575


하데스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 가능한 신화 유닛. 첫 유닛치고는 신의 은총을 많이 먹는 편으로, 방어에 관해선 미친 성능을 보여준다. 둔기와 원거리 모두에 강력하다는 점은 키클롭스와 비슷하지만 훨씬 저렴하고 찌르기에 그렇게 황당하게 약하지는 않은 대신 공격력도 별볼일없다는 차이가 있다. 비슷하게 방어특화인 페가수스와도 비교되는데, 페가수스는 제공하는 방어력은 낮은 대신 배 없이 다닐 수 있고 속도도 빨라 지원보내기에 특화된 유닛이다. 즉 하데스를 골라 케르베로스를 도시에 박아 두고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 것인가, 아테나를 골라 페가수스를 뽑고 기동성을 살려 이곳 저곳 굴릴 것인가의 차이.

3.5.2 에리니에스

자원목재2500 석재5000 은화5000
인구수55
신의 은총480
공격공격:1210(원거리) 속도:40 노획물:440
방어둔기방어:688 찌르기방어:688 원거리방어:895

하데스를 숭배하는 도시에서 생산가능한 신화 유닛2. 자원 소모량, 인구수, 공격력이 압도적 1위인 신화 유닛이고, 방어력도 썩 낮지는 않다. 어차피 하데스 도시에는 케르베로스도 같이 있을 것이므로…. 일단 모이기만 한다면 워낙 우월한 유닛이라 별 생각 없이 도시 하나를 쓸어버릴 수 있지만, 모으기가 정말정말 어렵다. 단점은 원거리 유닛이다 보니 검병이나 케르베로스 등에게 하드카운터를 당하기 쉽다는 것.

4 항구 유닛

항구에서 생산가능한 유닛이다. 특히 다른 섬으로 지상유닛을 실어나르기 위한 수송선,점령을 위한 개척선도 필요하기때문에 지상유닛 특화도시로 가더라도 항구는 필요하다.

4.1 수송선

자원목재500 석재500 은화400
인구수7
공격공격:20 속도:32
방어1
운송용량20 (업그레이드시 26)

기본 수송선으로 후에 아카데미에서 연구가능한 고속 운반보트가 있기때문에 잘 쓰이진않는다. 그래도 속도를 포기하고 운송량을 중요시 여겨 쓰는 유저도 있긴 있다.

4.2 2단 갤리선

자원목재800 석재700 은화180
인구수8
공격공격:24 속도:60
방어160

필요사항:아카데미 2단 갤리선 연구

2단 갤리는 해상방어용으로 쓰인다. 높은 방어력에다 속도가 (화공선보다) 빨라 너나 할 것 없이 해상지원&방어용으로 널리 쓰인다. 해상 방어도시라고 하면 지상병은 최대한 배제하고 2단 갤리선을 최대한 뽑은 도시를 말한다. 같은 인구수의 공격자 화공선과 방어자 2단 갤리선은 정확히 동일한 공방치를 지니고 있어서 탑이나 연구, 버프 등의 보정이 없다고 가정하면 공멸한다. 소규모 기습 찌르기같은 공격으로 수송선이 전부 갈리는 결과를 막기위해 도시마다 10~30기씩은 배치해 두는 것이 좋다.

4.3 화공선

자원목재1300 석재300 은화800
인구수10
공격공격:200 속도:52
방어60

필요사항:아카데미 화공선 연구

해상 공격용 유닛. 해상전을 주로 치르게 된다면 화공선을 빠르게 보유하는 건 필수이며 소규모 해적질을 위해서 각 도시마다 10~30대씩은 박아두는 유저도 있다. 2단 갤리선과 반대로 자는 사이에 화공도시에 기습이라도 당하는 날엔 모조리 꼬르륵이므로 방어용 해상유닛을 안 쓸 거면 플릿세이빙은 필수. 별로 안 중요한 사실로, 동일 인구 2단 갤리의 공격력보다 화공선의 방어력이 2배 이상 강력하긴 하다.

4.4 화염선

자원목재500 석재750 은화150
인구수8
공격공격:20 속도:20
방어1

필요사항:아카데미 화염선 연구

자원, 인구, 능력치만 봐선 화공선 보조 공격 해상유닛같아 보이지만, 방어유닛이다. 설정상 불을 붙여서 자폭하는 배로, 공격해온 적 배에 들러붙어 불을 옮겨붙이고 자신도 같이 침몰된다. 방어자만 화염선을 쓸 수 있으며 원샷 원킬로 상대의 전투용 함선(2단 갤리, 3단 갤리, 화공선. 히드라는 공격할 수 없다.) 하나를 잡아먹어 자신보다 강한 공격자에게 피해를 강요하는 것이 존재 목적. 화염선은 최후 방어선 개념이라서 다른 전투용 해상유닛을 다 잃은 다음에야 자폭하기 시작한다.

4.5 고속 수송선

자원목재800 은화400
인구수5
공격공격:20 속도:60
방어1
운송용량10 (업그레이드시 16)

필요사항:아카데미 고속 운반보트 연구

일반 수송선과 비교대상이긴 하지만 대부분 유저가 속도를 보고 고속 수송선을 쓴다. 수송량은 업그레이드로 커버하고 속도를 살려 빠른공격과 지원을 하겠다는 의미. 업그레이드를 해도 인구 대비 수송량은 약간 모자라지만 그걸 충분히 상쇄하는 속도상의 이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고속 수송선은 2단 갤리와 속도가 같기 때문에 방어지원을 할 때도 속도저하가 없어 편하다.

4.6 3단 갤리선

자원목재2000 석재1300 은화900
인구수16
공격공격:180 속도:36
방어250

필요사항:아카데미 3단 갤리선 연구

스펙상 가장 강력한 배. 자원 및 인구수를 가장 많이 먹고 공방이 모두 가능한 유닛이지만 화공선 1대에도 밀리는 공격력에다 같은 인구의 2단 갤리에도 역시 밀리는 방어력을 지녔다. 각 도시마다 한 특성(공격도시,방어도시)을 나누는 게 보통이고, 땡화공/땡2단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3단 갤리선을 쓰는 유저는 드물다. 다만 공격/방어를 따로굴리지못하는 상황에선 전천후 유닛이라 활약이 가능하다. 그런 상황이 별로 없긴 하지만….

폭동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점령 후 공성전을 버티는 것으로 도시를 정복하는 서버에서는 매우 유용한데, 이 경우 3단 갤리를 공격보낸 후 계속 머무르면서 방어유닛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4.7 개척선

자원목재10000 석재10000 은화10000
인구수170
공격공격:0 속도:12
방어500

필요사항:아카데미 개척선 연구

다른 도시를 점령하거나 망치질(개척)을 위해서 뽑아야 하는 유닛. 개척선을 생산하고 도시 개요를 보면 항구 앞에 커다란 개척선이 떡하니 정박한 것이 보인다. 개척선은 일회용 유닛이라 점령/개척이 완료되면 사라진다. 다만 워낙 느린데다 지상/해상유닛 모두에게 공격받아 부서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조심 다뤄야 한다.
  1. 플릿세이브. 공격이 올때 못막겠다 싶으면 다른도시로 유닛을 끌고 공격 혹은 지원을 보내는것. 이러면 자원약탈만 발생하고 유닛은 잃지않고 끝낼수있다.
  2. 이게 참 애매한 유닛인게,속도와 노획물이 괜찮아서 동줍용으로 최고일 것만 같은 유닛인데 실상 써 보면 마을 밖으로 나가는 게 해로운 유닛이다. 히키코모리
  3. 나머지 하나는 전차.
  4. 동굴에 투자해야지,페니키아 상인 이용해야지,건물올려야지..쓰다보면 끝이없다.
  5. 이건 오디세우스폴리페무스에게서 도망치기 위해 불타는 나무창으로 폴리페무스의 눈을 찔러 실명시킨 것의 고증(?)으로 보인다. 폴리페무스는 포세이돈의 아들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