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015편 착륙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고 요약도
발생일1980년 11월 19일
유형조종사 과실, 기상악화
발생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탑승인원승객 : 212명
승무원 : 14명
사망자승객 : 9명
승무원 : 6명
생존자승객 : 203명
승무원 : 8명
기종Boeing 747-2B5B
항공사대한항공
기체 등록번호HL7445
출발지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중간기착지앵커리지 국제공항
도착지김포 국제공항


사고 발생 약 10개월 전, 호놀룰루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진


불시착 후 전소된 기체 잔해

1 개요

1980년 11월 1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앵커리지 국제공항 경유 김포 국제공항행 대한항공 015편(기종 : Boeing 747-2B5B, 기체 등록번호 : HL7445)이 김포 국제공항 착륙 도중 시야 불량과 조종사 실수로 언더 슛[1], 랜딩기어가 활주로 바깥쪽 제방에 충돌하면서 중심을 잃고 활주로에 낙착하면서 전소된 사고.

2 사고

대한항공 015편(이하 KAL015편)은 11월 19일 아침 7시 20분에 김포국제공항에 도착 예정이였다. 당시 시정거리가 800m~1,000m에 불과할 정도로 기상상태가 나빴으며 악천후를 뚫고 14번 활주로에 착륙 접근중이던 KAL015편은 조종사 실수로 적정 활공각 이하 고도로 진입하게 된다. 결국 활주로 90m 전방의 제방에 메인기어가 충돌하였고[2] 그 반동으로 기체가 크게 튀어오르면서 활주로에 쳐박혔다.

제방에 충돌하는 동시, 메인기어는 모조리 뒤로 꺾이며 동체 하부 화물칸을 헤집어 놓았고 결국 동체로 활주로 위를 길게 미끄러진다. 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는데 도착지 공항에서 발생한 사고인만큼 동체에 남아있던 연료가 적었고, 인화성 물질이 없었기 때문에 탈출에 시간적 여유가 있어 많은 승무원과 승객이 탈출에 성공했다.

다만 어퍼덱(2층) 탑승인원들 중 상당수가 희생되었는데 화재 발생시 연기로 인한 질식이 원인이였다고 한다. 그 와중에 당시 양창모 기장은 충분히 탈출할 수 있는 여유가 있음에도 사고가 자기책임이라며 승객들을 탈출시키고 문상진 부기장, 김세영 항공기관사와 함께 산화했다.[3]

이 사고로 탑승인원 총 226명 중 15명이 희생되었고 공항 제방에서 사망한 군 장병 1명을 포함하면 총 16명이 사망하였다.

3 기타

이 사고는 대한항공의 첫 보잉 747 상각 사고이다. 이후 남은 20년 동안 4대나 더 날려먹는 기행을 저질렀다.

KAL015편 탑승 승객들 중 상당수가 일본인이였는데 이 영향 덕분인지 위키백과에 일본어 항목이 있다. 한국어 항목을 제외하면 유일한 외국어 항목. 그런데 지금은 영어, 중국어 항목도 있다. 하여튼 747 날려먹는건 대단

이 사고 후 3년 후, 대한항공의 서울-뉴욕 노선인 KE007편에서 큰 사건이 일어난다. 이때 007편 뒤에 따라오던 게 이 때와 같은 015편. 007편이 교신이 안 되고 있을 때 이 항공편을 통해 교신을 시도하기도 했었다. 이 사고 이후에도 2000년대 후반까지 로스엔젤레스발 노선으로 쓰긴 했는데 앵커리지를 거치지 않았다. 현재 로스엔젤레스행 노선은 순수 서울-로스앤젤레스만 오가는 KE011/012, KE017/018 및 상파울루를 가다 중간에 로스앤젤레스를 들리는 KE061/062편으로 운항하고 있다.

4 관련 항목

  1. under shoot, 오버런의 반대개념으로 비행기가 활주로에 못 미치고 착륙하는 일.
  2. 이때 제방철책에서 근무중이던 군 장병 1명이 메인기어에 치여 사망하였다.
  3. 하지만 이것이 100% 찬사받을 행동은 아니다. 사고가 발생하면 누구보다 그 사고의 정황을 잘 아는 사람이 기장이기 때문에 사후 조사를 위해서라도 승객의 안전이 확보된 후에 기장과 부기장도 반드시 탈출해야 한다. 그러나 기장과 부기장은 탈출하지 못했고 항공기와 함께 운명을 같이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