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야구용어
정확한 설명은 아니지만, 간단하게 설명하면 원래 베이스를 지나쳐서 베이스와 몸이 떨어진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서 태그 당하면 아웃된다. 사실 오버런이 아니더라도 루에서 주자의 몸이 떨어져 있다면, 언제든지 수비가 태그하여 아웃시킬 수 있다.[1] 물론, 귀루하여 수비보다 빨리 루를 터치하고 있게 된다면 아웃이 아니다.
달리던 관성으로 인해 바로 멈추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와 주자 자신 또는 주루코치가 잘못 판단해서 발생하는 경우로 나뉘어 진다. 물론 어느 쪽이든 오버런을 했다가 아웃당하면 욕을 바가지로 먹게 된다. 만약 그 아웃이 결정적인 기회를 날린 거라면 그야말로 역적(또는 전범) 취급당한다.
타자주자의 경우는 예외를 두어서 오버런을 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 조항이 있다. 다만, 1루를 밟고 2루로 진루하려는 의지가 없어야 한다. 타자가 1루를 밟고 그대로 직진하다가 멈춘 다음, 뒤로 돌아 1루로 돌아간다면 태그되어도 아웃당하지 않는다. 하지만, 페어지역을 통해서 조금이라도 2루로 향하려는 시도가 보인다면 태그 아웃 당할 수 있다. 이럴 땐 파울라인 바깥으로 걸어 돌아오는 것이 상책.
그리고, 홈에서는 오버런이 논의 되지 않는데, 다른 베이스와는 달리 홈을 터치하는 순간 공격측의 점수가 올라가고 주자는 그라운드에서 무의미한 존재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오버슬라이드와는 다르다. 오버런했다 아웃당하면 그래도 어떤 상황이었건 해당 루를 확보한 것으로 쳐 주지만 오버슬라이드했다 귀루 못하고 태그 아웃 당하면 상황에 따라 베이스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확보 못한 것으로 간주되는 상황은 타자주자의 장타 결정과 도루, 폭투 및 패스트볼 등 주자의 주루가 타자의 기록과 전혀 상관없는 상황.
예를 들어 타자주자가 안타 치고 2루를 오버해 아웃당했다면 오버런을 했다면 2루타 후 주루사로 기록되지만 오버슬라이드를 했다면 단타 후 주루사로 기록된다. 2루를 확보 못 한 거라는 소리. 이는 3루에서도 마찬가지다.[2] 도루 상황에서는 오버슬라이드해서 태그아웃당하면 도루실패로 기록되고(오버런이었다면 도루 후 주루사), 폭투나 패스트볼 상황에서도 폭투나 패스트볼이 기록되지 않고 단순 주루사로만 기록된다.(오버런이었다면 폭투/패스트볼 후 주루사가 된다)
오버슬라이드를 해도 베이스를 점유한 것으로 간주하는 상황은 주자의 주루가 타자의 기록과 연관이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포스 상황에 놓인 주자였다면 오버슬라이드를 하더라도 포스 상황은 해제되기에 무조건 태그를 해야 아웃이며 선행 주자가 재빨리 홈으로 들어왔다면 점수가 인정된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2004년 한국시리즈 9차전 대주자 강명구의 오버런.
그리고 2012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강명구는 3루에서 또 다시 오버런을 시전했지만... 정근우가 3루로 송구하는 사이 강명구는 홈으로 달렸다!!! 분명 강명구의 지나친 오버런으로 인한 주루미스였고, 김재걸 주루코치도 강명구를 막으려고 했으나, 3루로 가면 아웃이 될 게 뻔했던 강명구가 죽기 아니면 살기로 홈으로 내달린 것. 결국 강명구는 홈인하여 득점을 올렸다. 자세한 내용은 2012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고.
2 철도차량이 정차위치를 넘겨서 정차하는 것
2013년 10월 20일 조반선 사누키역에서 키타센쥬행 특급 프래쉬 히타치의 진입 후 오버런하는 영상.
유난히 사람들이 몰려있어서 경적을 울리면서 지나가는 열차와 어리둥절해하는 역무원을 볼 수 있다.
해당 역은 원래 통과 역인데 이 날은 닛포리역 확폭공사[3] 영향으로 조반선 특급 열차들이 시간대별로 정차역 위치가 달라져서 생긴 일이며 이 영향으로 조반선 상행선 열차가 15분정도 지연되었다고 한다.
Overrun
정해진 정차위치를 넘겨서 정차하는 것을 오버런이라고 한다. 반대용어로는 언더런이 있다.
지하철에서도 가끔 이런 일이 벌어지는데, 지하철에는 대부분 펜스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문이 열리면 앞에 장벽이 가로막고 있는 특이한 장면이 연출된다.(...) 일반 철도의 경우 펜스가 없어서 오버런/언더런에 좀 널널한 편인 듯.
파일:Attachment/overrun-railroad.jpg
철도 초창기에 자주 있던 사고로, 두단식 승강장에서 오버런을 해 버리면 위 사진처럼 그대로 맞이방으로... 요즘 두단식 승강장은 ATS덕에 승강장에 진입하면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조금만 넘어가도 바로 멈추도록 신호가 주어지기 때문에 저런 사고는 사실상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2005년에 이 신호체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서 사고가 일어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국철 말기인 1982년 1월에 오사카순환선 텐노지역에서 오버런 사고가 발생한 적 있다. 다행히도 사망자는 없었지만 2005년에는 토사쿠로시오철도에서 과속으로 두단식 승강장에서 오버런을 해서 충돌한 사고와 JR 서일본에서 오버런으로 인한 지연을 회복하려고 과속하다가 코너에서 탈선하는 바람에 대형 참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JR 후쿠치야마선 탈선사고 참조.
국내에서 유명한 오버런 사고로는 당산철교 폐쇄 당시의 당산역에서 벌어진 사고가 있다. 그때는 가속을 하진 않아서 대형 참사가 일어나지는 않았다. 당시 기관사는 서울지하철 파업으로 대체근무자로 투입이 되었는데 나흘동안 집에 들어가지 못한 상태에서 피로누적으로 졸음운전했다고.
3 항공기 이, 착륙시 활주로를 넘어 이탈하는 것
이것도 overrun이다.
말 그대로 비행기가 이,착륙시 활주로를 넘어가는 사고. 활주로 주변이 평지인 곳에서 일어나면 인명피해가 부상 정도로 끝나지만 활주로 주변에 언덕이나 도랑[4], 바다[5] 등이 있으면...그 이하는 생략한다
사진속 기체는 1993년 홍콩 카이탁 국제공항에 착륙하다 오버런으로 바다에 빠진 중화항공 605편, 보잉 747-400. 출처 airliners.net.
예인되기까지 다른 항공기들 이,착륙에 방해 된다고 수직미익을 폭파(...)시켜 버렸다. 이건 747을 두번 죽이는 거에요 뭐 홍콩 카이탁이니까 그럴 수 도 있겠지 다행히 탑승객 전원 무사. 여담이지만 이 기체는 도입한지 5달도 안된 쌔삥 기체이다...(...) 게다가 이 기체, 747-400의 첫번째 사고 라는 업적도 달성했다(...).두번째는 대한항공이지만..
4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Overrun 카드
폭주 항목 참고.
5 라이트 노벨 길 잃은 고양이 오버런
항목 참고. 원작은 라이트 노벨이나 후에 미디어 믹스로 애니메이션, 만화가 출간되었다.
- ↑ 주자가 안전한 상태로 베이스에서 떨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임을 불러 심판에게 허락을 받아야 한다. 보통 2루타를 친 타자가 보호구를 벗기 위해 타임을 부르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 ↑ 위에서 설명했듯이 1루에서는 2루로 뛰려는 의지가 없다면 오버런/슬라이드를 해도 아웃되지 않고, 홈에서는 플레이트를 스치기만 해도 바로 상황 종료라…
- ↑ 도로나 통로의 폭을 넓히는 공사
- ↑ 제트 엔진 후류를 막기위해 언덕을 쌓는 경우가 있고, 눈이나 빗물 잘빠지라고 도랑을 파놓은 곳도 있다.
- ↑ 멀리 볼것도 없이 인천공항, 단 인천공항은 활주로와 바다 사이에 상당한 여유가 있지만, 카이탁이나 라과디아, 혹은 나가사키나 간사이 같은 해상공항의 경우 오버런 하면 바로 풍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