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볼 시대

미국의 야구 연표
데드볼 시대
(1900년대 전후~1919)
라이브볼 시대
(1920~현재)
약물의 시대
(알수없음)[1]

deadball era

1 개요


야구의 시대구분. 일반적으로 야구 초창기부터 1920년까지를 가리키는데, 특히 1900년부터 1920년대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 시기는 전체적으로 투고타저가 극심하였고, 특히 타자들의 장타력이 땅을 기었기 때문에 스몰볼이 극도로 유행하였다. 영상을 자세히 보면 뉴욕 양키스시카고 컵스가 많이 보인다. 컵스가 백년뒤에도 우승을 못한다는 상상을 하지 못했던 시절이다.

2 이유

2.1 야구공의 문제

July_25_balls4.jpg
초창기의 야구공들

초기 야구공은 제약이 거의 없었다. 극초기 야구공은 대부분 심으로 납을 사용하였으며,, 그 주변을 실로 감고 가죽으로 둘렀다. 납 대신에 납으로 만든 총알을 쓰거나, 그것도 아니면 그냥 돌조각을 심으로 사용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심은 고무로 변했다. 하지만 이 공들은 대단히 가볍고 부드러웠다. 1840년대의 공들은 너무 가볍고 부드러웠기 때문에, 당시 규칙은 주자의 몸에 공을 던져서 맞추면 아웃이었다. 당연히 비거리가 나올 수가 없었다. 당시에는 그 어떤 외야수도 공을 던져서 내야로 보낼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1849년 유격수라는 완전히 새로운 포지션이 탄생하게 된다. 심지어 투수가 직접 자기가 던질 공을 만들기도 했을 정도로 공의 모양과 크기도 랜덤이었다. 이는 1860년대에 이르러서야 규격화 되고 무거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등장한 것이 태그 아웃이다. 직접 주자를 맞출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1876년에야 현재와 같은 무게와 크기로 규정된다.

하지만 그래도 공인구라는 개념은 여전히 없었다. 규정이 된 것은 크기와 모양, 무게였지 반발계수는 기준에 없었던 것이다. 떄문에 구단이나 투수들은 야구공의 반발계수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었다. 심에 고무를 많이 넣고 실을 단단히 감으면 반발력이 상승했고, 심에 고무를 조금 덜 넣고, 실도 느슨히 감으면 반발력은 뚝 떨어졌다. 구단은 투수전을 하고 싶으면 반발력이 약한 공을 사용했고, 타격이 좀 더 자신있으면 반발력이 강한 공을 사용했다. 이 때, 반발력이 약한 공을 부르는 표현이 바로 데드볼이었다.

1910년 고무심의 가운데에 코르크를 넣은 공이 등장한다. 이 공으로 반발력이 커지고 장타가 늘어났다. 하지만 공격력이 너무 늘었다는 불평으로 실을 느슨하게 감도록 강제하면서 공의 반발력은 다시 내려갔고,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홈런과 장타는 예전으로 돌아갔다.

2.2 야구 규칙의 문제

사실 야구규칙적으로 1900년대 이전의 야구는 현대 야구와 직접 비교하는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차이가 많다. 스트라이크가 몇개가 되어야 아웃이 되는가라거나, 사구에 필요한 공의 갯수라거나, 애초에 스트라이크의 개념에서 차이가 엄청나게 컸다. 단적으로 극초기에는 타자가 치기 편한 위치를 정해주면 투수가 거기로 공을 토스[2]해줘야 했다. 이 때 타자가 헛스윙을 해야 스트라이크였으니, 실질적으로는 홈런더비의 형태로 야구를 했다고 보면 된다. 그 외에도 규칙에 따라 타고투저가 변한 것은 수도 없이 많다. 예를 들어서 투수와 타자와의 거리가 50피트에서 60피트 6인치로 늘어나면서 타율이 급상승하고 이전의 투수들 상당수가 퇴물이 되었다.

2.2.1 파울의 처리

이건 현대까지 유지되고 있는 규칙 변화이다.
내셔널리그는 1901년, 아메리칸리그는 1903년 새로운 규칙을 도입했다. 바로 야수가 집지 않은 파울볼은 2스트라이크 이전에 한해서 스트라이크로 처리한다라는 규칙이었다. 이전까지 파울은 스트라이크가 아니었다. 하지만 이 규칙이 도입되면서, 네셔널리그의 타율은 1901년 .279였던 것이 1902년 .267로 하락했고, 아메리칸 리그는 1902년 .275였던 것이 1903년 .255로 하락했다.

2.2.2 야구공의 교체 규칙

일단 1800년대의 규칙 변화를 보자.

* 야구 극초기에는 야구공은 교체할 수 없었다. 경기에는 공 하나로 버텼다.

* 1872년이 되어서야 공이 너무 망가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한정으로 교체를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전에는 경기를 하다 공을 둘러싼 가죽이 찢어져도 수리해서 사용했고, 공의 모습이 변형되어도 공을 두드려서 모양을 맞췄다.

* 1876년 공을 잃어버렸을 때, 5분간 찾아도 나타나지 않으면 새 공을 사용할 수 있게 규칙이 변했다. 그 전에는 공을 잃어버리면 경기가 중단되고 공을 찾아 헤맸다.

* 1882년 새 공을 쓰고 싶다는 이유로 칼로 공을 손상시키면 10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간단히 말해서 어지간하면 야구공을 교체하지 말고 그냥 쓰라는 것이다. 이유는? 간단히 말해서 돈 문제이다. 당시 야구공은 3-5달러 정도였는데, 이 것은 2010년대 기준으로는 8,90 달러 정도의 가치이다. 구단주들은 어지간하면 새 공을 사는데 돈을 쓰고 싶어하지 않았고, 이걸 규칙에 넣은 것이다.

이 규칙 때문에 공이 망가지지 않은 이상 계속 사용했으니 공은 더러워졌고, 부드러워졌다. 때문에 반발력은 내려갔고, 더러워진 공은 타자도 야수도 보기 어려웠다. 심지어 경기중에 공을 교체하게 되면 투수는 일부러 내야수들에게 넘기고, 내야수들은 씹는 담배가 포함된 침을 뱉어둔 글러브로 그 공을 돌리면서 공을 더럽혔다. 그래서 방금 교체된 공도 검은 색으로 변해서 사용되었다. 이 경우는 자동으로 아래의 스핏볼을 효과가 있었다.

2.2.3 스핏볼의 허용

스핏볼은 간단히 말해서 야구공을 변형시켜서 하는 부정투구이다. 사실 스핏볼이라고 하지만 종류도 다양하고 발전상도 다양하다.

  • 스핏볼(spit ball)
- 야구공에 침 또는 이물질[3]을 발라서 공에 변화를 주는 형태이다. 특별히 진흙을 바른 것은 머드볼(mud ball)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 마찰력이 떨어져서 회전이 덜 걸리기 때문에 홈플레이트 앞에서 급격히 속도가 떨어지면서 뚝떨어지는 등 변화를 일으킨다. 현대의 스플리터와 그 유형이 유사하다.
- 186,70년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스핏볼은 1900년대 초반 세크라멘토 세너터스의 투수 엘머 스트릭렛에 의해서 이름이 붙었고, 확산되었다[4]. 이후 잭 체스브로, 애드 월시[5], 스탠 코벨레스키 등이 유명하다.
  • 스커프볼(scuffball)
- 공에 사포나 손톱 가는 줄 등을 통해서 흠집을 낸 다음에 던지는 투구법이다. 특히 사포를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에머리 볼(emery ball)이라고도 불린다. 흠집이 난 공을 던지면 표면의 차이로 인해서 표면을 흐르는 기류의 균형이 무너져서 흠집이 난 방향으로 휘어진다. 때문에 투수는 휘어지게 하려는 쪽 반대 방향에 흠집을 내고, 거친면을 잡고 던지면 OK. 흠집을 여러개 내놓으면 공이 아주 제멋대로 움직인다.
- 스커프 볼은 클라크 그리피스가 처음 만든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리피스가 사람들 보는 앞에서 대놓고 공을 갈아대었기 때문이다. 사포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 투수는 러셀 포드인데, 이 방법으로 26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짠돌이 야구위원회는 스핏볼과는 달리 공에 직접 손상을 주는 스커프 볼에 대해서는 대응이 빨랐다. 공의 수명을 줄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스커프 볼은 이미 1915년에 부정투구로 정해진다.
  • 샤인볼(shine ball)
- 침 등의 물기를 바르지 않고 표면을 매끈하게 만들면 된다. 주로 글러브나 유니폼에 문질렀는데, 파우더나 부드러운 흙 등도 사용되었다. 공에 광을 낸다고 해서 샤인볼인데, 물기 없는 스핏볼이라고 보면 된다.
- 1915년 에드 시코트[6]가 유니폼으로 닦다가 발견했고, 데이브 댄포스가 유명하다. 스핏볼과 달리 이 쪽은 이전 사용자에게 사용허가가 떨어지지 않았다.

2.2.4 퀵피치의 허용

타자가 준비를 하기 전에 투수가 공을 던지는 것도 허용되었다. 이것을 퀵피치라고 불렀는데, 당시에는 투수기술로 취급되었다. 때문에 타자가 처음부터 임전 상태로 타석에 들어서지 않으면 스트라이크 하나 먹고 시작하는 것이었다. 패트 플래허티, 조 맥기니티, 클라크 그리프스 등이 퀵피치의 달인이었다. 이 후 이 '기술'은 보크로 취급되게 변한다.

2.2.5 타자들의 문제

ty_cobb_batting.gif
타이 콥의 타격자세

간단히 말해서 타자들이 장타를 포기했다. 모두가 방망이를 짧게 잡고 맞추는 것에 집중했으며, 그 다음은 발로 승부했다. 이 때문에 이 시기를 대표하는 타자가 바로 타이 콥인 것이다.

실제로 라이브볼 시대에 접어들어서도 타자들의 홈런수는 극적으로 늘어나지 않았다. 베이브 루스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당시 타자들은 공의 반발력이 늘어난 다음에도 그만큼 홈런수를 향상시키지는 못했다.

루스(좌)와 콥(우)

이 사진에서 콥과 루스의 배트 쥐는 법이 루스 이전과 이후의 차이이다. 루스는 새끼 손가락으로 놉을 감쌀 정도로 배트를 길게 잡고 있고, 콥은 그보다 훨씬 짧게 잡고 있다.

3 결과

간단히 말해서 극심한 투고타저가 이어졌다.

명투수들이 넘쳐났고, 월터 존슨, 사이 영, 크리스티 매튜슨,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모데카이 브라운 등이 이 시대를 대표한다. 투수들은 홈런을 두려워하지 않았기 때문에 투구수도 적었고, 공을 무리해서 던지지도 않았기 때문에 완투는 기본이었다. 이 시기에 주력급 선발투수라면 50경기는 등판했고, 25승 정도는 당연히 올렸다.

대부분의 인플라이 된 타구는 내야 땅볼이었고, 1루수는 전체 아웃의 2/3 정도를 처리했다.

4 종식

1911년부터 기존의 고무심만 사용한 공 대신 코르크심을 사용해 반발력을 높인 공인구를 사용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는데, 바로 그해 평균득점이 전해에 비해 1.31점, 게임당 홈런수는 0.11개 상승했다. 그리고 1920년에는 현재 하는 것과 같이 공이 땅에 바운드만 되어도 새공을 쓰게 하고, 부정투구를 금지하는 쪽으로 규정을 변경했다[7]. 그리고 그해, 베이브 루스가 50홈런을 돌파하면서 데드볼 시대의 종식과 라이브볼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1. 금지약물 규정도 시대에 따라 바뀌며, 언제부터 시작했는지조차 정확히 알수가 없다. 과거의 베이브 루스가 양고환 주사를 맞았다지만 현재는 그렇게 하면 양의 고환속에 들어있는 스테로이드 성분에 의해 도핑테스트에서 걸린다. 따라서 약물의 시대가 언제부터 언제까지 규정짓기란 매우 힘들다. 일반적으로는 약물이 성행했던 1990년대~2000년대 초반을 스테로이드 시대라고 부른다.
  2. 당시에는 오버스로도 금지였다.
  3. 땀이나 머릿기름, 바셀린, 파라핀 등 발라서 마찰력이 떨어지는 것이면 뭐든 상관없다.
  4. 스트릭렛은 스핏볼을 전파하는데 제법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140년 메이저리그 역대 통산 방어율 1위가 바로 이 사람이다. 침묻혀서 1등?
  6. 블랙삭스 스캔들로 영구제명된 투수중 한명이다.
  7. 스핏볼만 당시 사용하고 있던 투수 17명에게만 은퇴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허가되었다. 마지막 합법적 스핏볼 사용자는 빌리 그라임스로 1934년 41세로 은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