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미언 스티븐 허스트(Damien Steven Hirst[1])
Damien Steven Hirst(1965. 06. 07~)
영국의 현대 예술가. 브리스톨에서 출생해 리즈에서 성장했다.레알 리즈시절 미대를 졸업한 뒤에는 막막한 미술가 지망생에 불과했지만...
1991년, 허스트는 죽은 상어 시체를 사다가 포름알데히드에 푹 재워서 넣은 다음 유리진열장에 넣고서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성(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이라는 제목을 달아 발표했다.
파일:VzT1UaL.jpg | ||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육체적 불가능성 |
이 작품은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는데 신선한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부터 사기꾼이라는 평가까지 다양한 평가가 나왔다. 이 작품은 무려 800만 달러가 넘는 금액에 팔려나갔을 정도였다. 우리도 해보도록 하자 어쨌든 이 작품으로 사치 갤러리(Luxury GallerySaatchi Gallery 어?)를 소유한 찰스 사치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이후 다양한 작품을 내놓았는데, 특히 <신의 사랑을 위하여(For the Love of God)>라는 작품은 백금을 입힌 인간의 두개골[2]의 표면에 8,601개의 다이아몬드를 촘촘히 박은 것인데, 이 작품은 후에 약 5,000만 파운드(£)에 거래되었다. 5,000만 파운드를 한화로 환산하면 약 900억 원에 달하는 액수다.
(<신의 사랑을 위하여>)
허스트의 또다른 대표작인 <천사의 해부학(Anatomy of an Angel)>은 오른쪽 두개골과 근육, 유방과 내장 등을 세심하게 표현함으로써 생명과 사랑의 상징인 천사와 죽음을 연관시켰다.
해부학>)
허스트의 작품은 죽음이라는 주제를 가지고서 상당히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묘사로 유명하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죽은 동물의 시체나 인간의 해골, 심지어는 사람 장기모형(<찬가(Hymn)>)이나 파리 시체(<검은 태양(The Black Sun)>)로도 작품을 만든다.[3] 특히 위의 <찬가>라는 장기모형 작품은 장기 모형을 그대로 사람보다 더 크게 만든 것일뿐이라 제작사들이 고소미를 시전했을 정도로 논란이 많았다.
또한 앤디 워홀과 마찬가지로 돈에 환장한 인간이라는 비판이 많다. 근래에 찰스 사치와 결별한 후 사치가 사들인 작품들을 도로 사서 숨겨놨다가 더 비싼 값에 되파는 수작을 부리고 있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작품의 이미지를 캐릭터 상품화해서 짭짤한 수입을 거두고 있다. 물론 미술사에서 돈지랄 안 한 예술가가 어디있으랴만 허스트의 경우는 너무 지나치다는 비판이 많다.
천안종합버스터미널에 이사람 작품이 몇 개 있다. 거대 조각으로 신세계 A관 앞의 <자비(Charity)>, 아라리오 갤러리 유리벽 안쪽에 있는 위에서 설명하기도 한 <찬가(Hymn)>가 있으며(근데 사실 이 2개는 유일무이한 작품이 아니고 양산형에 좀 가깝다), 판화작품도 백화점 뒤져보면 몇개 보인다.
29만원 관련하여 국내에서 다시 한번 재조명되었다. 검찰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추징금 환수를 위해 전두환 일가의 각종 재산을 압수한 가운데서 허스트의 <신의 사랑을 위하여>가 나온 것. 정확하게 말하자면 <신의 사랑을 위하여>의 진품은 아니고 허스트가 <신의 사랑을 위하여>를 판화로 만든 것을 전재국 씨가 소장하고 있었던 것.진품이었다면 엄청났을텐데
프랑스 월드컵이 열리던 적에 배우이자 릴리 앨런의 아버지로 알려진 키스 앨런, 블러의 베이시스트 알렉스 제임스와 응원가 그룹 Fat Les를 결성하기도 했다. 이 때 버브의 Bittersweet Symphony를 패러디한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블러의 노래중 Country House의 뮤직비디오를 감독한 사람이 이 사람이다. 멤버 중 그레이엄 콕슨과 알렉스 제임스가 학교 동문이라고..- ↑ Demian이 아니다.
- ↑ 최근에 사망한 사람의 두개골이 아닌, 고대 유적에서 발굴된 미라의 두개골을 허스트가 구매하여 만든 것이라 윤리적인 문제는 없다. 원래는 수정으로 인간 두개골의 형상을 만들 계획이었으나, 그 모양을 재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 인간의 두개골을 사용했다고 한다.
- ↑ 파리의 경우는 살아있는 채로 작품이 되기도 한다. <천 년(A Thousand Year)>이라는 작품은 큰 수조에 칸을 두 개로 나누고 한 쪽에는 파리집과 전기충격기, 다른 쪽에는 소의 머리를 뒀다. 이는 파리가 소의 머리를 먹이로 번식하다가 전기충격기에 감전되어 죽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제목 <천 년>은 이 과정을 거의 천 년간 반복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