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 | ||||
German cockroach | 이명 : 독일바퀴 | |||
Blattella germanica Linnaeus, 1767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바퀴목(Blattodea) | |||
과 | 바퀴과(Blattellidae) | |||
속 | 바퀴속(Blattella) | |||
종 | ||||
바퀴(B. germanica) |
1 개요
정식명칭은 그냥 바퀴지만 보통 독일바퀴로 알려져 있다. 작은 바퀴라 하기도 한다. 북한에서는 참바퀴로 불린다. 대표적인 해충이기도 하지만 곤충 관련 연구소에서 실험용으로 자주 쓰이기도 한다.[1][2]
2 특징
1.1~1.6cm 정도로 작은 소형 바퀴류이다. 전체적으로 황갈색에서 검은색을 띄고 있다. 앞가슴등판에 검은 줄이 두개가 그어져 있다. 머리 뒤에는 앞가슴이 전후로 뻗어있다. 날개를 가지고 있으나 거의 날지 않는다. 산바퀴와 유연관계가 있다.[3] 하지만 산바퀴는 나방 수준으로 잘 날아다니며 주행성이고, 실내에서 살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4]
3 생태
이질바퀴와 함께 인간이 사는 곳 어디든지 퍼져 산다. 한대 기후에서는 인간의 주거시설 주변에서만 서식한다. 원래는 동남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였으나 활발한 무역과 교류의 결과로 이질바퀴 급으로 퍼져 살고 있다. 게다가 이질바퀴보다 더 성공했는지 풀밭이나 화단에서 발에 채이는 게 백이면 백 독일바퀴일 수준.[5] 이렇게 된 이유는 건물 내의 천적 부재 그리마는? 개미는? 와 다산성 산란, 짧은 생활사 등의 조건을 모두 채우고 있기 때문.
야행성이기는 하나 그렇게 심야부터 활동하는 것은 아니고 저녁이나 늦은 오후 즈음에 보인다.
다른 바퀴들처럼 잡식성이며 먹을 것이 거의 없거나 고갈된 상황에 처해있을 때는 동족포식현상을 보인다.
가주성 바퀴벌레들 중 가장 빠른 속도를 낸다. 포획 난이도로 따지면 "상" 정도 되겠다.
행동반경이 별로 넓지 않으며 보통 3~4m 이내다. 즉 이 바퀴벌레가 보인다는 것은 그만큼 바퀴벌레가 많다는 뜻이 된다.[6]- ↑ 연구소나 실험실에서 키우는 독일바퀴들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전혀 없는 무해 상태이다.
- ↑ 2012년 기준 마리당 700원이라는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 ↑ 외관적인 생김새가 비슷하다. 특히 앞가슴등판.
- ↑ 이외에 앞가슴등판의 검은 무늬의 굵은 정도, 배, 유충의 모습으로 구별할 수 있다.
- ↑ 지역에 따라서는 일본바퀴나 먹바퀴가 더 많이 보이는 곳도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이 이런 경우가 더 도드라지며, 특히 제주도 바퀴벌레의 70%는 먹바퀴라고 한다.
- ↑ 참고로 집바퀴의 경우는 건물의 한층을 건널수 있는 수준이고, 이질바퀴 등 대형급의 바퀴벌레들은 멀리 비행할수 있는만큼 엄청나게 넓은 행동반경을 지니고 있기에 멀리서 원정(!)오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