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이질바퀴

잔이질바퀴
Australian cockroach이명 : 오스트레일리아바퀴, 호주바퀴
Periplaneta australasiae Linnaeus, 1775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바퀴목(Blattodea)
왕바퀴과(Blattidae)
왕바퀴속(Periplaneta)
잔이질바퀴(P. australasiae)

1 개요

바퀴목 왕바퀴과의 바퀴벌레. 호주바퀴, 오스트레일리아바퀴 등으로 불린다.[1] 미국 남부, 호주, 동남아시아 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2 특징

몸길이 23~35mm의 대형급 바퀴벌레로 이질바퀴보다는 약간 작고 먹바퀴와 비슷한 크기다. 또한 앞가슴판은 노란색을 띄며, 이질바퀴보다 더 크고 진한 흑색 무늬가 있다. 전체적인 몸은 적갈색을 띄며, 앞날개 가두리에도 황색 무늬가 있다. 또한 몸통 마디마다 선명한 노랑색 줄무늬가 있다.

3 생태

상당히 국제적으로 서식하는 바퀴로 주로 열대지역에 많이 서식한다고 한다. 열대 지역에 살기 때문에 추위에 강한것은 아니지만 실내에서는 생존할 수 있으며, 따뜻하고 습한 환경이 유지 된다면 무리없이 생존할 수 있다.

호주의 열대 지역에서는 자연상태에서 발견 되기도 하며, 먹이를 찾기위해 집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고 한다.

이질바퀴와 마찬가지로 먼 거리를 비행하여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람이 건드리면 물기도 한다.

4 국내에 서식 하는가?

국내에서의 기록은 있으며, 부산광역시,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 남부 아열대기후 해안 지역에서의 목격담도 나오지만, 아직까지 공식적으로는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는게 일반적이다. 목격담이 있는데 증거물이 없으면 에 불과하기 때문.[2] 또 국내에서 잡힌 표본도 있어야하는 것은 물론이고, 단순히 유입되었는지 혹은 유입 후 서식지를 두고 번식까지 했는지도 확인도 해야한다.

만약 국내에 들어온게 사실이라면 부산항을 통해 동남아발이나 호주발, 미국발 화물선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워킹홀리데이나 유학 등을 다녀온 사람이나 주한미군[3] 그리고 아열대나 열대지방 출신의 관광객이나 외국인노동자 등의 짐을 통해 묻어왔을 가능성이 있다.[4]

만약 이 글을 보고있는 남부지방에 거주하는 곤충덕후가 있다면 만약 대형바퀴를 목격할 경우 유심히 관찰해보기 바라며, 혹시 잔이질바퀴가 맞거나 의심가는 부분이 있다면 즉시 훼손되지 않게 포획 후 환경부, 세스코 등 관련기관에 신고하길 바란다.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질바퀴 문서의 r102판, 5번째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1. 북한에서는 작은고리무늬바퀴로 불린다.
  2. 썰이라고 해도 곤충덕후들 사이에서는 목격담이 꽤 있는듯 하다.
  3. 목격담이 있는 부산지역도 현재 부산시민공원 자리에는 과거에 캠프 하야리아가 있었고, 지금도 부산항에 주한미군의 화물이 들어오는 8부두가 있다. 또한 김해국제공항으로도 미군 화물기가 종종 들어온다.
  4. 이질바퀴 등과 마찬가지로 국내에 들어온 것은 오래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열대기후를 선호하는 특성상 다행히도 아직까지는 북상하지는 않은듯 하다. 먹바퀴가 중부지방에서 잘 보이지 않는것과 비슷한 맥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