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도레이



첫번째는 원작 단행본. 두번째는 TVA. 세번째는 극장판.

베르세르크에서 등장하는 요새.

작중의 백년전쟁에서 전쟁의 분기점을 좌우지하는 전략적 요충지로 나온다. 거대한 요새에 자급자족이 가능한 상하수도와 배후로는 거대한 산맥으로 둘러싸여있는 말그대로 난공불락의 천연의 요새이다. 게다가 높은 성벽과 촘촘한 방어시설은 공격군을 더 괴롭히는 요인이기도 했다.[1] 미들랜드 왕국튜더 제국에 대비하여 최전방 핵심요새였으나 당시 요새 지휘관이 뭔짓거리를 했는지 난공불략의 요새를 튜더 제국에게 빼앗기게 된다. 덕분에 미들랜드군이 자그마치 100년 가까이 고생을 해야했다.

수로를 봉쇄할수도 없고 대군으로도 공격하기에는 천연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숫적이점을 이용할수도 없는등 그야말로 난제만 가득한 요새이기에 100년간 수많은 명장들이 도전했다가 번번히 엄청난 피해를 입히고 물러서야했다고 하며 그 덕분에 백년간 튜더 제국의 대 미들랜드 교두보 이자 전진기지 역할을 해왔기에 미들랜드로서는 반드시 수복해야하는 지역이기도 했다.

결국 미들랜드군이 영토를 대부분 수복하고 나서 전쟁의 최종 전투지역이 바로 이곳이 되었다. 1차 공성전에서는 미들랜드군 40%가 괴멸하고 미들랜드군의 양대축에 해당하던 기사단인 백호기사단이 전멸당했다. 결국 그리피스가 자신을 함으로서 매의 단에게 맡겨지면서 결국 수복되게 된다. 초한지에서 나오던 한신배수진의 사례를 적용한 전략과 가츠가 돌격대장으로서 튜더의 선봉장이자 맹장인 보스콘을 격파함으로서 매의 단이 승리하게 된다.

이 전투는 극장판과 원작이 약간 다른데 원작에서는 아돈이 죽은 척하고 복귀를 하여 지휘권이 박탈되어져 있는 상황에서 비어있는 성으로 공격해온 별동대 역할을 수행한 캐스커와 매의 단과 자신이 이끄는 푸른고래중장갑기사단과 내부에서 공방전을 치룬 끝에 성을 확보하고 그 시점에 맞추어서 가츠가 보스콘을 격파함으로서 승세를 타고 승리하게 되지만 극장판에서는 아돈이 매의 단의 포로가 되어서 극소수의 특공대와 함께 들어온 상황에서 매의단의 별동대가 성문이 열려있는 곳을 그대로 들어와서 공략하는 과정에서 포로상태에서 다시 적대적 입장으로 입장을 바꾼 아돈과 대결끝에 그를 죽이고 매의 단이 바로 접수하는 것으로 간략화 한 형태이다. 약간 미묘하게 다르다.

돌도레이 공략전이라고 불리우는 이 전투를 끝으로 미들랜드는 튜더와 휴전조약을 맺음으로서 사실상 전쟁에서 승리하게 된다.

천연의 요새인 것도 있지만 요새안에 병력이 무려 3만명이 주둔하면서도 물자걱정없이 있을수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난공불락은 난공불락인 셈인듯..
  1. 보는바와 같이 1차 성벽이 뚫려도 내부 2차 3차 성벽들이 또 존재했다. 성벽구조와 지형을 봤을때 이 요새의 모티브는 콘스탄티노플의 테오도시우스 3중 성벽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미나스 티리스의 파이널 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