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수

1 일반적인 의미

  • 等數 : 등급에 따라 정한 차례. 등수놀이가 예시 단어다.

2 삼국시대 오나라와 서진의 인물

진서 「나헌등전(羅憲等傳)」
나헌등수마륭호분오언장광

滕脩
(? ~ 288)

삼국시대 오나라의 관료이자 서진의 인물로 자는 현선(顯先). 별명은 등순(滕循).

남양군 서악현 출신으로 손호의 대에 광주자사가 되었으며, 서악후에 봉해졌고 웅목을 대신해 광주자사가 되었다가 중앙으로 와서 집금오를 지내다가 279년에 사공에 취임할 예정이었지만 수윤의 부하였던 곽마가 하전, 왕족, 오술, 은흥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가절을 받아 진남장군, 광주목이 되어 출정했다. 그러나 시흥에서 왕족의 군대에 막혀 나아갈 수 없었는데, 그 사이에 곽마의 세력이 더욱 강해져서 남해태수 유략이 살해되거나 광주자사 서기가 축출되자 도준, 도황 등이 파견되었다.

파구에 이르렀을 때 손호가 항복하자 흰 비단을 매고 눈물을 흘리면서 돌아갔고 광주자사 여풍, 창오태수 왕의와 각각 인수를 보내 진나라에 항복했다가 조서로 안남장군, 광주목, 가절이 되어 벼슬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무당후에 봉해져 여러 해 동안 남방을 지켜 소수 민족들이 그를 따랐다고 한다.

시호는 성후(聲侯)였다가 그의 아들인 등병이 표를 올려 시호를 바꿀 것을 청하자 충후(忠侯)가 되었다.

2.1 미디어 믹스

245-Teng-Xiu.jpg
삼국지 9,10,11
삼국지 13

삼국지 시리즈의 일러스트는 무슨 백하팔인에 들 것 처럼 생겼으나 정치가 70을 넘는 등 그냥저냥 평범한 문관.

삼국지 9에서는 전법이 있긴 하나 전투용 전법이 없는 안습한 꼴로 등장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22/지력 44/정치력 72/매력 62에 특기는 겨우 기술 1개. 정치력이 70 넘는 장수 중 지력이 이렇게 극단적으로 낮은 장수는 등수뿐인데, 그 극단적으로 낮은 지력에 기술 특기가 있어봐야 의미가 없다.

삼국지 11에서도 전작과 큰 차이 없이 총 능력치 합이 240으로 전작보다 조금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