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순득

文淳得
(1777 ~ 1847)

1 개요

조선 후기 신안군 일대에서 홍어를 거래했던 어물장수.

그는 조선시대신안군 우이도(牛耳島)에 살면서 홍어를 팔던 평범한 장사꾼이었다.

그런 그가 무려 조선왕조실록에 이름 석 자를 남긴 이유는 그의 드라마틱한 삶 때문이었는데...

2 1차 표류

1801년 12월, 스물 다섯 살의 청년 문순득은 작은아버지와 마을 주민 6명을 따라 흑산도에서 홍어를 사기 위해 태사도(太砂島)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풍랑을 만난다. 바다에서 표류하던 이들은 기적적으로 생존해 1802년 1월 일본 오키나와유구국(琉球國)이라는 작은 나라에 표착한다. 다행히 현지인들은 표류자들을 잘 보살펴주었고, 문순득 일행은 그곳에서 융숭한 대접을 받을 수 있었다.

8개월동안 유구국에서 생활한 문순득 일행은 유구국 언어를 배우고, 현지인들과의 대화를 통해 조선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알아낸다. 그것은 바로 중국으로 가는 유구국의 조공선에 탑승해 중국에 도착한 뒤, 중국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802년 10월, 그들은 유구국에서 중국으로 가는 조공선에 몸을 싣는다. 여기까지만 해도 그들의 계획은 완벽했고, 다들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는 줄 알았으나...

3 2차 표류

중국으로 가는 길에 또 풍랑을 만난다. 이번에는 유구국보다 더 남쪽으로 떠내려가(...) 여송(呂宋)이라는 곳에 표착. 이 과정에서 조선인 일행들은 뿔뿔히 흩어지고, 문순득은 여송에서 9개월을 지내면서 여송 언어를 마스터한다(...)[1] 외국어를 배우려면 표류하는 게 최고

그후 1803년 8월 여송에서 마카오 상선을 얻어타고 중국 마카오로 이동한 문순득은 육로를 통해 난징베이징을 거쳐 1804년 12월 조선 한양에 도착하고, 마침내 집을 떠난지 3년 2개월만인 1805년 1월 고향인 우이도로 돌아오게 된다.

4 그 후

고향에 돌아온 문순득은 다시 홍어를 거래하기 위해(...) 만악의 근원 흑산도에 들렀다가 흑산도에 유배온 정약전을 만나게 된다. 문순득은 정약전에게 풍랑을 만나 표류하며 보고 들은 바를 전해주었고, 정약전은 문순득의 체험담을 날짜별로 기록한 표해시말(漂海始末)이라는 책을 쓴다. 문순득의 표류기는 정약전을 통해 정약용에게도 전해졌으며, 여송국에서 사용하는 화폐의 유용함을 전해들은 정약용은 경세유표에서 조선의 화폐개혁안을 제안하게 된다. 문순득이 다산 정약용 선생을 키워냈다! 또한 정약용은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제자인 이강회(李綱會)를 우이도로 보내 문순득을 만나게 하였고, 그를 통해 외국의 선박과 항해에 관해 기록한 운곡선설(雲谷船說)을 집필하게 한다.

한편, 1801년(순조 1년)에 5명의 외국인이 제주도에 표착했는데, 조선 조정에서는 이들과 말이 통하지 않아 어느 나라에서 온 사람들인지 알 길이 없었다. 그래서 이 외국인들은 신원불명인 채로 9년째 제주도에 머물고 있었는데, 언어 마스터 문순득은 이들이 여송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보았고, 표류 당시 배운 여송어로 통역을 한 덕분에 그들은 마침내 고향인 여송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고 순조실록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우리나라 최초의 필리핀어 통역사

조정에서는 문순득의 공을 치하하고 가선대부 종2품 공명첩을 하사했다고 한다. 인생살이 새옹지마.

이 부분은 2016년 10월 9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었다.
  1. 현재 필리핀의 공용어로 쓰이고 있는 타갈로그어를 배운 건 아니고 루손섬 북부지역에서 쓰이는 언어인 일로카노어를 배웠다고 한다. 물론 일로카노어도 필리핀에서는 나름대로 꽤 쓰이고 있는 언어이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