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락

파일:/image/busan/2012/04/30/20120430000105 0 0 20120503065702.jpg
학명 Ruditapes philippinarum

1 개요

백합과의 조개. 본래 '바지라기'라고 불르던 것을 바지락으로 부르게 되었다. 지방에 따라서는 '빤지락(동해안 지역)', '반지래기(경남 지역)'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2 생태

펄이 조금 섞인 모래펄 속에 살며 수중의 플랑크톤을 걸러 먹고 산다. 덕분에 서해안 등지의 갯벌에서 조개잡이 체험 행사가 열리면 항상 단골 채집대상이 된다. 흔해서

소형 조개이지만 성장과 번식이 빠르고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습성 때문에 양식이 비교적 쉬우며 이 덕분에 어민들의 소득을 책임지는 주요 수산물 중 하나. 산란기인 7월 초순에서 8월 중순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1년 내내 시장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조개이다. 그리고 봄이 제철이라서 봄에 먹는 바지락은 살도 통통하고 맛까지 달다.

칼슘단백질, 비타민 B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며 국민 조개라는 타이틀을 붙여도 될 만큼 한국인들이 가장 즐겨 먹는 조개이다. 젓갈을 담그기도 하지만 보통은 국물 재료로 많이 사용되며, 바지락을 재료로 한 가장 대표적인 요리는 역시 바지락 칼국수봉골레 스파게티. 싱싱한 것은 날로 먹기도 하지만, 번식기에는 독소가 생성되기 때문에 중독의 우려가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육식성 조개인 골뱅이(큰구슬우렁이)가 이 조개를 좋아한다고 한다. 갯벌에서 종종 발견되는 작고 동그란 구멍이 뚫린 조개껍데기가 큰구슬우렁이에게 잡아먹힌 바지락의 껍데기다.

게임에서는 이걸 드립으로 친다. 바지락 지락 지락!

3 구입•보관 요령

껍데기가 깨지지 않고 윤기가 나는 것이 좋은 바지락이며, 제철은 2~4월이다. 손질은 모든 조개가 비슷하듯이 잘 씻어 해감한 뒤 영하20도에서 0도 사이에서(냉동고에) 밀봉 상태로 보관한다. 기한은 약 1개월 정도.

따로 바지락 전용 어항을 만들어서 산채로 보관하면 1년까지도 가능하다.....

4 섭취요령

찌개칼국수에 넣어 주로 익혀 먹는다. 시원한 맛을 내기 때문에 국물 요리에 주로 사용하기에 좋다. 이탈리아 요리에서는 해산물을 이용한 파스타를 비롯한 요리들에 바지락 국물을 많이 활용한다.

살만 발라내서 매콤한 무침을 만들어 먹어도 맛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