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의 의무

1 개요

영국의 작가이자 백인우월주의자러디어드 키플링(1865∼1936년. <정글북>으로 1907년 노벨 문학상 수상)의 주장.

1899년 2월, 스페인미서전쟁의 결과로 필리핀에서 물러나고 미국이 필리핀을 지배하게 되자 키플링은 이를 지지하며 발표한 시 <백인의 짐 - 미국필리핀 제도>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영어 원문으로는 "The White Man's Burden". "백인의 짐"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시는 모두 일곱 연이며, 각 연은 “백인의 짐을 져라(Take up the White Man's burden)”로 시작한다.

2 전문

백인의 짐을 져라.

너희가 기른 최선을 최전선에 보내라.
네 포로들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너희 아들들을 보낼 지어다.
퍼드덕대는 사람들과 야생에 맞서
육중한 마구를 차려입으라.
네 불만투성이 표정의 갓 잡아들인 포로들,
반은 악마요, 반은 아이인 자들에게.

백인의 짐을 져라.
끈기있는 인내로
공포의 위협을 덮어버린 채
긍지를 때맞춰 드러내면서.
공개적인 언설과 단순함으로
몇 번이라도 반복하라.
타인의 이득을 살피고
타인의 성과를 돕기 위해서.

백인의 짐을 져라.
평화의 야만적인 전쟁,
기근의 입을 채워주고
역병이 끝나도록 명하라.
그리하여 너희 꿈이 가까워질 때
타인을 위한 목표도 이뤄질 지니,
너희의 모든 희망을 없애버릴
나태와 이방인의 어리석음을 경계하라.

백인의 짐을 져라.
왕들의 천박한 지배가 아닌
농노와 청소부의 노력,
평범한 자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아직 입항하지 않은 항구,
아직 걷지 않은 길,
가서 너희 삶의 족적을 남기라.
죽음의 족적을 남기라.

백인의 짐을 져라.
그리고 오랜 성과도 거둬라.
너희가 받을 더한 모멸,
너희가 맞닥뜨릴 증오,
너희가 다루어야 할 주인들의 통곡,
(아아, 천천히!) 빛을 향해..
"왜 그대는 우리를 아름답던 이집트의 밤에서 이끌고 나왔는고?"

백인의 짐을 져라.
너희 피곤을 가리기 위해
너희는 몸을 덜 웅크리지도
더 크게 자유를 떠들어대지도 말거라.
너희 모두가 울부짖는지, 속삭이는지
너희 모두가 떠나는지, 책무를 다하는지
조용하고 뾰루퉁한 자들은 너희 신과 너희를 평가할지리니

그렇게 어린 시절은 끝났나니.
손쉽게 주어진 명예과
마음에서 쉽게 우러나온 찬사따위는.
이제 너희 웅대함을 시험하기 위해
그 모든 고마워할 줄 모르는 세월을 통해
차갑고도 날선, 값비싼 지혜와 함께
너희 동료의 심판이 다가올 지어다!

3 상세

이 시에서 키플링은 "야만적인 흑인황인종을 개화시키는 것은 힘들고 고되지만, 그들에게서 보답은 커녕 원망과 비난을 받을지라도 고귀한 의무를 다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키플링 본인을 포함한 당대 제국주의자들은 사회 계층이나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대부분 진심으로 열등한 원주민을 교화시키고 계몽시키는 것이 우월한 백인들의 사명이자 지상과제라고 믿었다.

백인의 의무는 얼핏 보기엔 '희생이 있더라도 다른 이들을 돕자'는 좋은 주장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곱씹어보면 우월한 백인이 열등한 흑인과 유색인종을 도와서 개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임을 알 수 있다.

이 시를 통해 키플링은 백인이자 대영제국의 국민인 자신의 인종차별적 편견과 우월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즉 키플링은 서구 제국주의를 미화하면서 서구의 제국주의는 결코 침략이나 침탈이 아니라 우수한 백인이 미개하기 짝이 없는 흑인이나 정체된 동양인을 개화시켜야 하는 짐을 짊어진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고, 이 주장은 역시 같은 백인들이 사회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제국주의 시대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나갔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