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회담

  • 발칸반도를 둘러싼 유럽 강대국들의 회의를 찾으신 분은 이 쪽으로.
Berlin Conferene(영어)
Berlin Konferenz(독일어)

1 개요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당시 독일의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주도 하에 열린 아프리카 식민지 분할 회의. 이 회의를 통하여 결정된 국경선은 이 회의 이후 13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대 아프리카 국가들의 일직선에 가까운 기괴한 국경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전통적 부족과 같은 아프리카적 요소는 고려하지 않은 채 유럽 강대국들의 편의에 의하여 그어진 국경선은 오늘날 아프리카의 혼란스러운 정세에서 상당한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국주의의 폐해를 가장 잘 보여주는 회의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에게는 말 그대로 만악의 근원과도 같은 회의이다.

2 배경

19세기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유럽 국가들은 아프리카 전역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졌다. 로마 시대부터 접촉이 잦았던 북아프리카 일대와 대항해 시대를 거치면서 알게 된 중/남부 아프리카의 해안지역에서야 18~19세기부터 활발히 식민지화와 교역이라쓰고 납치 및 노예무역이라고 읽는다이 진행됐지만 드넓은 아프리카의 내륙 지방에 대해서는 말 그대로 무지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각종 선교사와 탐험가들의 활동 덕분에 아프리카 내륙 지방에 대해서도 속속들이 정보가 들어오기 시작했고, 이러한 정보는 한창 제국주의에 맛을 들인 유럽 강대국들의 구미를 당기게 하는 것이었다. 1870년대에 진행된 헨리 스탠리콩고 강 답사를 마지막으로 유럽인들은 아프리카 전역에 대하여 파악하게 됐고, 아프리카 전역에 산재한 풍부한 지하자원들은 유럽 주요 국가들로하여금 너나할것 없이 식민지화에 발벗고 나서게 만들었다.

1880년에 이르면 이런 식민지 쟁탈전은 말 그대로 국제적인 외교전으로 비화하기에 이른다. 프랑스가 튀니지, 기니 등을 손에 넣고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수에즈 운하를 소유하고 있던 영국은 프랑스의 동진을 저지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여기에 벨기에, 포르투갈과 같은 상대적 약소국들도 자신들의 식민지 국경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혈안이 된 것은 물론이거니와 기존까지 식민지 개발에 소극적이었던 독일 제국마저 내부에서의 성화[1]로 인해 아프리카에 탐험단을 파견하고 식민지를 물색하는 판국이었다.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급기야 무력충돌까지 우려되는 상황이 오자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드 2세가 유럽 각국의 중재를 호소했고 이에 영국과 독일이 호응하면서 1884년 11월 15일 베를린 총리 관저에서 아프리카 문제를 둘러싼 유럽 각국의 회의가 펼쳐진다. 이게 바로 베를린 회담.[2]

3 결과: 아프리카 분할

africa+scramble.jpg

베를린 회담에서 등장한 몇가지 핵심사항을 짚어보자면

  • 무작정 깃발만 꼽고 '내 땅임'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효지배라는 개념이 등장.
  • 노예제도의 폐지[3]
  • 경제분쟁을 피하고자 콩고 분지 일대의 남위 5도 이남 지역을 자유 무역 지역으로 선포.
  • 콩고 분지를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의 사유지로 인정.[4]그리고 콩고엔 지옥문이 열린다

정도를 짚을 수 잇다.

또한 '아프리카의 분할'(Scramble for africa)라고도 불리는 회담 결과를 통하여 아프리카 대륙의 대부분[5]은 유럽 백인들의 손에 의해 멋대로 재단당한다. 이러한 임의적인 분할은 아프리카가 대륙 그 자체로 식민지화됐음을 의미한다. 또한 개요 항목에서 상술했듯이, 이 회담을 통해 정해진 국경선은 2차대전 이후 아프리카 국가들이 대거 독립해 나갈 때에도,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유지된다는 점에서 베를린 회담은 한 세기 이상 아프리카의 운명을 점지은 아주 중요한 회의라고 볼 수 있다.

4 여담

  • 문명 5의 확장팩 멋진 신세계에 추가된 아프리카 쟁탈전 시나리오는 이를 배경으로 만들어졌다.
  • 1960년대 당시 아프리카에서 한창 신생국들이 독립할 무렵, 아프리카에서는 아프리카주의자라는 사상이 젊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에게 베를린회의에 대한 인식은 당연히 만악의 근원. 몇몇 사람들은 오늘날에도 내전이 끊이지 않는 아프리카의 현실을 놓고 베를린의 저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베를린이 2차대전 후에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분할된 것을 매우 고소히 여겼다 카더라 기분이 어때 막 부들부들 떨리고 그래?
  1. 비스마르크 본인은 식민지 개척에 썩 내켜하지 않았지만, 당시 독일 사회의 중견층을 차지했던 산업자본가들이 비스마르크에게 식민지를 확보할 것을 엄청나게 재촉했었다.
  2. 여담이지만 1878년의 베를린 회의와 1884년 베를린 회담 모두 비스마르크의 집무실에서 협상이 이루어졌다.
  3. 이는 높으신 분들께서 '부도덕한 제국주의국가 사이의 담합'이라는 일부 여론의 비난을 피하고자 일종의 도덕적인 방어막으로 선택한 결과이기도 하다.
  4. 이는 레오폴드 2세가 유럽 각국에게 콩고에 경제적으로 진출하는 것을 허용했기에 가능한 처사였다. 물론 실질적으로는 그냥 벨기에의 식민지.
  5. 거의 모든 지역이 식민지화되었다. 독립을 유지했던 나라가 미국의 지원을 받던 라이베리아와 이탈리아의 병탄 시도를 막아낸 에티오피아 정도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