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벼슬 + 아치의 합성어. 하급 공무원을 삐딱하게 보는 순 우리말.
관료들을 일컫는 '벼슬'과 밑에서 일한다는 뜻의 '~아치'의 합성어로 벼슬아치라고 하면 대개 낮은 등급의 관료들을 가리킨다. 또는 공직에 있는 자를 낮추어(비꼬아) 부르는 말이다.
2 벼슬
이 문단은 벼슬(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 관련 문서 : 관직
원래는 다스리다는 뜻의 순우리말이나, 관직에 나간 사람들이 모여서 출근하는 모습[1]이나 하루 일과가 마무리되어갈 때 줄줄이 퇴근하는 모습등이 마치 닭의 무리와 같아보인데다 아첨에 바쁜 저급 관료들이 주로 착용하는 관모들은 대개 질 낮은 재료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탕건에 붉은 빛이 감돌아 닭의 볏을 연상시킨 탓에 다스리다는 원래의 뜻보단 공무원이란 뜻으로 정착했다.
그런데 탕건이 주로 사용된 건 조선시대 말기라 저급 관료들을 놀린 것이라기보단, 외강에 무능하게 털리는 관료들을 닭에 비유한 것 같기도 하다. 닭대가리?
2.1 인터넷 상에서의 의미
그러나 현재는 이 의미가 와전되어 앞에 XX가 벼슬이다 라는 식으로 어느 특정 대상이 무슨 특권이라도 얻었다거나 XX여서 특별하니 무조건 우대해야 한다라거나 잘났다는 식으로 비꼬는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2]
3 아치
특정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을 삐딱하게 보는 순우리말의 접미사. '~치'가 붙기도 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몽골-튀르크어계에서 통하던 접미사가 한국어에도 있는 것이다. 대개는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려 중기무렵에 받아들여졌다고 전한다. 그 때문인지, 몽골-튀르크어계에서는 단순히 직업을 나타내는 접미사[3]가 한국에 들어와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이게 된 것이라 한다.
대장장이 할때의 장이와 비슷하지만 장이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이들이라면, 아치는 그냥 밥빌어먹고 살려고 하는 비전문인력을 말한다.
요컨대, 아마추어란 소리로 여기저기 기웃대며 동냥을 하는 거지를 동냥아치라고 부르며 사농공상의 구분이 엄격했던 조선시대에는 장사하는 사람은 '장사아치' 혹은 '장사치', 갓을 만드는 사람은 '갓바치' 등등 낮잡아 불렀다.
4 ~슬아치
이 문단은 슬아치(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비속어, 욕설, 멸칭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읽는 이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고, 읽고 싶지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이 벼슬아치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어 '~하는(~인) 것이 마치 벼슬이라도 되는 양 구는 자들'을 비꼬는/비하하는 뜻의 접미사로 '~슬아치'가 붙기도 한다.
4.1 예시
- ↑ 세도가의 집에 모여서 어럿이 출근했다고 한다.
- ↑ 예) 여자인게 벼슬이다., 노인인게 벼슬이다.
- ↑ 터키어를 예를 들자면 금속을 뜻하는 maden에 ~ci가 붙어서 madenci(광부), satmak(팔다)의 어근인 sat에 çı가 붙어서 satçı(상인), kebap(케밥)에 ~çı가 붙어서 kebapçı(케밥장수)... 식이다.
- ↑ 영어로 부모를 뜻하는 parent + 벼슬아치의 합성어. 부모라는 권위를 이용하여 자식에게 온갖 패악질을 일삼는 막장부모를 뜻하는 말.
- ↑ 중딩 + 벼슬아치의 합성어. 중학생 시기에 청소년 관련 범죄가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이유로 생긴 신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