報聘使
목차
1 개요
1883년 7월 조선이 최초로 양이 국가에 파견한 외교사절.
1882년 5월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에 의해 미국은 특명전권대사[1]로 푸트를 파견하였다. 따라서 조선도 공사를 보내야 했는데 당연히 그럴 형편은 못 되었고, 대신 푸트의 건의로 답례차 외교 사절을 파견하기로 하였다.
그래서 선발된 것이 다음 명단이다.
2 명단
- 전권대신 민영익
- 이렇게 써놓으면 단순 낙하산 인사 같지만 수신사로 일본도 다녀오고 묄렌도르프와 같이 청도 다녀오는 등 외교면에서 기존부터 활동해온 인물이었다. 신분과 맞물려, 조선을 대표하기에 부족함은 없었다. 미 신문에서는 Prince Min으로 통칭하였다.
- 부대신 홍영식
- 역시 조사시찰단(신사유람단)으로 일본에 다녀오고, 내아문 외아문 통리아문의 참의를 역임하는 등 유능한 신진 관료로 인정받던 인물이었다.
- 종사관 서광범
- 수신사로, 김옥균의 수행원으로 일본을 다녔던 인물이었다.
이상 3인이 공식으로 벼슬을 받은 외교 사절이었고, 이하는 수행원들이다.
- 수원 유길준
3 일정
7월 15일 출항하여 일본에 들렀는데[7] 얘들로만 보내기는 좀 불안했던지 주일 미국공사의 주선으로 퍼시벌 로웰[8]과 그 비서 미야오카가 동행하게 된다. 조선 정부는 정식으로 로웰에게 보빙사 서기관 겸 고문이라는 관직을 내려 주었다.
보빙사의 기록은 오늘날 한국측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보빙사의 주요 인물인 홍영식, 서광범이 갑신정변에 참여해 역적으로 단죄되어 기록을 파기했기 때문. 그러나 미국 내 일정은 신문기자들이 따라다니면서 충실히 기록하여 오늘날 당시 일정을 재현할 수 있다.
8월 15일 샌프란시스코로 출항하여 9월 2일 도착하였다. 미국에서는 사절단을 국빈으로 예우하였다. 다만 한가지 흠이 있었으니, 대륙횡단열차 타고 대접받으면서 워싱턴에 오고 보니 대통령은 뉴욕에 가 있었던 것. 그래서 9월 18일 뉴욕의 호텔에서 기념할만한 미 대통령과 조선 외교사절의 첫 만남을 갖게 된다.
그려진 세명은 아마도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절을 받는 것이 당시 미국 대통령 체스터 아서이다. 당시 보빙사의 관념으로는 대통령 = 왕이었기 때문에 왕에게 올리는 예법 그대로 했던 것. 얼핏 보기에는 서구 문물이나 예법을 몰라서 동양식 예법대로만 인사한 거 같지만 바로 뒤에 일어서서 대통령과 악수하고 서양식으로 접견했다. 상대편 국가원수에게 한국식으로 먼저 예의를 보이고 서구식으로 대응한 것이다.
그리고 미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견학도 하고 차관 요청도 하고 기술 전수 요청도 하고 박람회 개최 협조 요청도 하는 등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10월 12일 귀국 인사차 백악관에 방문하고, 미 대통령은 군함 한 척을 내주어 본국까지 타고 갈 것을 권한다. 그래서 세 패로 갈라졌는데, 민영익, 서광범, 변수는 이 군함을 타고 유럽 등으로 건너가 각국을 순방하고 1884년 5월 귀국하였다. 유길준은 미국에서 남아 유학을 하기로 하였으며, 나머지 홍영식 및 수행원은 바로 태평양을 건너 1883년 12월 귀국해 국왕에게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때 로웰이 따라와 국빈으로 대접받았다. 유럽을 보기로 한 민영익 등의 일행은 대략 포르투갈,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등을 보고 이집트와 수에즈 운하를 거쳐 인도, 싱가포르, 일본 등 을 거쳐 왔다. 거의 세계일주를 한 셈. 한국 최초로 세계일주를 한 사람들이다. 참고로 이 때 조선인으로선 처음으로 피라미드도 방문했다고 한다. 도포에 갓 차림을 한 선비들 뒤에 배경으로 한 피라미드.....
이글루스 역사밸리의 유명 블로거 迪倫가 보빙사 일행의 미국 일정에 대한 포스팅을 올리고 있으니 역덕후라면 참고해 보시라.
4 그리고 뒷이야기
민영익은 갑신정변 당시 죽을 뻔한 고비를 넘기고 친청 근왕파가 되었다. 여담이지만 이 때 민영익은 급진 개화파, 그러니까 홍영식과 서광범을 비롯한 세력들에게 난도질을 당했으나 보빙사 당시의 인정을 생각해 알렌에게 인도되었으며, 그는 민영익을 살려내면서 고종의 총애를 받게 된다. 여기까진 좋았는데 1886년 조러 밀약 등 고종의 친러거청 정책을 위안스카이에게 그대로 일러바치는 바람에 홍콩으로 망명하기도 하였다.
홍영식은 미국의 정치 행정 제도에 관심을 가졌고 우정 시스템에 큰 인상을 받았다. 그래서 귀국하여 만든 게 우정국. 그리고 갑신정변에 참여하여 역적으로 처형, 효수되었다.
서광범은 갑신정변 일로 미국에 망명, 알바로 먹고살며 공부해 미 국적을 취득하고 말단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갑오개혁때 귀국, 사법제도 개혁을 주도하였다. 아관파천 이후 정세가 불리하자 주미 조선공사직을 얻어 도미, 잠깐동안 활동하다가 1897년 사망하였다.
최경석은 보빙사 때 농업 근대화를 위해 종자 및 가축, 비료등을 얻어와 귀국 후 땅을 하사받아 농장을 만들었다. 이 양반은 갑신정변에도 무사하여 일이 잘 되는가 싶더니 1886년 병사. 당연히 농장은 흐지부지되고 그때 들여온 젖소도 어떻게 됐는지 알 길이 없다.
변수도 갑신정변으로 일본에 망명, 도미하여 1891년 대학을 졸업[9]하고 미 농무성에서 직원으로 근무하였는데 열차 사고로 사망하였다.
유길준은 항목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지만, 간략히 적으면 1년동안 공부하다가(그 사이에 갑신정변이 났다) 유럽을 구경하고 귀국하였다. 목숨은 건지고 연금 생활 하면서 서유견문 등을 썼다. 갑오개혁 때 내무부를 맡아 개혁에 힘썼는데 너무 힘썼는지 무리해서 단발령을 내리는 바람에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이후 고종에게 역적으로 지목되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우리탕(오례당)은 묄렌도르프 실각 후에도 해관원으로 근무하고 1890년 은퇴 후 제물포에서 큰 돈을 벌어 지역 유지로 잘 살다가 1912년 제물포에서 죽었다.
로웰은 보빙사와 같이 다니면서 홍영식과 친해져서 조선에서 국빈대접을 받고 사진사와 동행해 최초로 고종의 사진을 찍는 등 잘 놀다가 일본으로 돌아갔다. 일본에서 지내면서 동양 관련 저술가로 활동해 <Choson : the Land of Morning Calm>[10]을 출판하고 조선 관련 사진첩도 내고 일본 관련 서적도 여럿 써내며 이름을 날렸다. 귀국 후에는 천문학자로 변신해 자비로 로웰 천문대를 건설, 화성에 운하(그리고 곧 화성인도!)가 있다고 주장하여 또 이름을 날리고, 명왕성(당시 가칭 Planet X)의 궤도를 예측해 탐사하던 중 1912년 사망하였다. 명왕성은 톰보가 그가 세운 로웰 천문대에서 1930년 발견했다.- ↑ 청, 일본과 동급의 외교관을 파견한 것이다. 고종이 미국을 신뢰하게 되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 ↑ 명성황후의 양오라비인 민승호가 1874년 폭탄테러(운현궁에서 저질렀다는 말이 많다.)로 숨지자 사후양자로 입적하였다.
- ↑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흥선대원군의 부인도 민씨 집안 출신이며, 더더욱이 민영익의 양아버지 민승호는 여흥부대부인(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고종의 생모)의 친남동생
- ↑ 친 여동생이 순종의 첫 번째 부인인 순명효황후이다.
- ↑ 무관으로, 미국에서는 육군 대령으로 예우했다.
- ↑ 묄렌도르프의 해관 설치 일로 고용되어 온 중국인. 영-중 통역을 맡았다.
- ↑ 당시 태평양 횡단에는 샌프란시스코-요코하마 정기선을 이용하여야 했다.
- ↑ 화성 운하설의 그 로웰 맞다. 맨 아래 부분과 이 항목도 참고하자.
- ↑ 미 대학 조선인 최초 졸업생, 그의 일생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KBS 수요기획에서 나오기도 했다.
- ↑ 조선 기행기로, 서문에 홍영식에 대한 추모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