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영식

HongYeongSik.jpg

洪英植

1 소개

1856년(철종 6년) 2월 5일 ~ 1884년(고종 21년) 12월 7일.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다. 구한말 개화파 정치인이며 갑신정변의 주역으로, 한국 우편, 우표 제도의 선각자이기도 하다. 개화파의 중진으로서 신설된 우정총국의 총판(總辦)이 되어 낙성식을 기회로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자는 중육(仲育), 호는 금석(琴石), 서울 출신이다. 영의정을 지낸 아버지 홍순목(洪淳穆)과 어머니 전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남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唐洪系) 남양군파(南陽君派)로 잘 알려져 있다[1].

박규수 문하에서 김옥균, 서광범, 박영효와 함께 수학하는데 이들이 후에 갑신정변 멤버가 된다. 박규수 사후에는 의관 유홍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73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 7품 규장각 정자, 대교, 종 6품 규장각 직각을 역임했다. 민영익과 친한 사이였다.

2 벼슬길에 오른 후

1881년 일본 조사시찰단의 일원으로 선발되어 도일했다. 담당 파트는 일본 육군성. 이 때 일본육군총제, 일본육군조전 등을 작성했다. 담당 파트인 육군성 이외에도 그는 우편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일본 우편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마에지마를 만나 여러가지를 문의한 후 조선에도 빨리 우정국을 설치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경험으로 인하여 귀국 후 통리기무아문의 군무사부경리사(軍務司副經理事)가 되고 민영익과 초무국을 담당하였다. 1882년에는 홍문관부제학, 규장각직제학에도 임명되고 임오군란 당시에는 종 4품 부호군(문관직이 아닌 무관직이다.)이 되어서 수습하기도 하였다.

1883년 미국보빙사로 참여, 민영익의 부관으로 참여한다. 보빙사는 7월 15일 출항하여 일본에 들렀는데[2] 얘들로만 보내기는 좀 불안했던지 주일 미국공사의 주선으로 당시 일본에 있던 퍼시벌 로웰과 그 비서 미야오카가 동행하게 되었고, 조선 정부는 정식으로 로웰에게 보빙사 서기관 겸 고문이라는 관직을 내려 주었다. 로웰은 보빙사 일원 중 홍영식과 친해지게 된다. 그 후 홍영식은 뉴욕의 우체국과 전신국을 돌아다니며 이것저것 물어보았고 이 때의 경험으로 1884년 4월 22일 우정국을 설치하여 초대 총판으로 임명됐다. 다만 민영익과 함께 유럽으로 가지 않고 바로 귀국했다. 또한 이 시기에 종 2품 병조참판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홍영식은 로웰의 노고를 고종에게 보고했으며 고종은 그를 국빈으로 초대하라고 지시를 내렸다. 왕실의 초대에 힘입어 로웰은 12월 20일 다시 조선을 방문하였다. 이후 개화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던 홍영식은 개항 운동을 적극 주도한다.

3 갑신정변 승인, 그리고 살해

1884년 11월 4일, 동문이었던 김옥균, 서광범, 박영효 등이 그에게 찾아와 갑신정변을 모의하고, 이 소식을 들은 홍영식은 매우 주저하고 고민하였으나 결국 승인하였다.

1884년 11월 18일에 우정총국을 정식 개국하여 본격적으로 서울 - 인천 간 우편 업무가 시작됐다. 그리고 12월 4일, 홍영식은 자신의 우정국에서 축하연을 열었고, 이 때 갑신정변이 벌어지게 된다. 갑신정변에서 제일 먼저 습격당한 민영익묄렌도르프와 함께 알렌의 집으로 옮기는 것을 도와 준다.[3] 갑신정변 이후 그는 임시로 좌의정 자리에 오르게 된다.[4]

그러나 갑신정변이 3일 천하로 끝나고, 갑신정변 일파들이 모두 후일을 기약하며 망명하려고 하는 중, 고종"경들은 이제와서 날 두고 어딜 가는가?"라고 말한 것에 마음이 흔들려 박영효의 형인 박영교와 함께 고종을 끝까지 호위했다. 하지만 곧이어 오조유가 이끈 청군이 도착했고 오조유가 고종을 데려가려 하자 이를 만류했는데 이를 본 조선군들이 느닷없이 공격해오는 바람에 박영교를 비롯해 생도 7명과 함께 살해당했다. 이 당시 한국 나이로 불과 30세 때였다. 아버지 전 영의정 홍순목은 "늙은 신하가 역적을 키웠으니 나라에 큰 죄를 지었다"라고 한탄하고는 손자와 함께 독약을 먹고 자결하고, 아내는 강에 몸을 던졌으며 일가 20명은 홍순목의 명령으로 역시 자결한다.[5] 이 때 그의 형인 홍만식은 자결에 실패하고 옥에 갇혔다가 10년 후인 1894년 갑오개혁 때 동생과 함께 복관되었고, 이후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자결하였다. 여담으로 후쿠자와 유키치는 갑신정변 주역들의 가족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길길이 날뛰면서 조선을 야만국이라고 욕을 퍼부었다.

이렇게 홍영식이 역적으로 몰리고 그의 집안이 풍비박산 나면서 홍영식의 문중인 남양 홍씨에서는 그의 항렬에 해당하는 항렬자를 바꾸는데 식'(植)'에서 '표(杓)'로 바꾸었다. 홍영식의 동생 홍정식(洪正植)도 이 때 이름을 홍정표(洪正杓)로 바꾸어 겨우 살아남는다.[6]

10년 후 갑오개혁 때 다시 신원되었고 정1품 규장각대제학에 증직되었다.

4 트리비아

  • 한편, 홍영식과 친했던 로웰은 조선 방문을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간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갑신정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갑신정변의 내역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조선의 쿠데타(A Korean Coup d'Etat)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글은 당시 평론지 '애틀랜틱 먼슬리(Atlantic Monthly)' 1886년 11월호에 게재되었다. 그 후 계속 일본에서 지내면서 동양 관련 저술가로 활동해 <Choson : the Land of Morning Calm>[7]을 출판하고 조선 관련 사진첩도 내고 일본 관련 서적도 여럿 써내며 이름을 날리게 된다.
  • 성격은 그야말로 대인배.[8] 모든 사람들이 홍영식의 인품을 칭찬하였고 존경하였다. 동료들 사이에서도 그의 인품은 인정받아 남을 칭찬하기를 꺼리는 박영효도 "형님은 참 좋은 사람입니다."[9]라고 말하며 김옥균도 후일 "홍 군은 교우관계도 원만하고 인품도 좋은데다 원세개와 안면도 두텁고 민영익과도 함께 해외를 여행한 사이이니 금석이[10] 목숨은 건질줄 알았다."라고 말할 정도. 무인정사 당시의 남은과도 유사하다.
  • 사족으로, 말단부터 시작해서 결국 규장각의 으뜸이 되었으며 군인 장교 겸 군부의 고위직이기도 했으며 말 그대로 대한민국 우편 시스템의 아버지(과거 체신부/정보통신부 장관급)이기도 했다. 그래서 충무로1가(회현동 방향) 신세계백화점 본점 건너편에 있는 서울중앙우체국, 서울지방우정청 앞에 2012년 11월 14일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
  1. 이 남양군파는 정치적으로 서인 노론에 속했다. 한때 흥선대원군의 측근이었던 홍순목, 사대당을 제거하고 개화당 정부를 수립한 홍영식,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자결한 홍만식 등이 바로 남양군파 벌족이었다.
  2. 당시 태평양 횡단에는 샌프란시스코-요코하마 정기선을 이용하여야 했다.
  3. 살생부에 민영익의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평소에도 친한 사이였고 관직 생활 초기부터 함께한 데다가 해외 유람에도 함께했던 민영익을 차마 죽일 수 없었던 듯하다. 덧붙여 이 때부터 알렌은 조선 최강의 외국인이 되기 시작한다.
  4. 영의정에는 명분상 국왕의 사촌형인 이재원이 되었으니 홍영식이 사실상 갑신정변 패밀리중 가장 높은 셈이 된다.
  5. 가문이 워낙 탄탄해서였을까 멸문지화까지 가지는 않았다.
  6. 이는 다른 갑신정변 주역 들의 집안도 마찬가지였다. 안동 김씨에서는 김옥균 항렬의 '균(均)'을 '규(圭)'로 바꾸었고 달성 서씨에서는 서광범, 서재필 때문에 2세대의 항렬자를 바꾸어야 했다(...) '광(光)' → '병(丙)', '재(載)' → '정(廷)'. 반남 박씨 문중에서는 박영효 항렬의 '영(泳)'을 '승(勝)'으로 바꾼다. 이들이 신원 된 뒤에도 이미 바꾼 항렬자를 다시 바꾸기는 뭐했던지(...) 현재는 바뀌기 전과 바뀐 후의 항렬자를 모두 인정하고 있다. 그래서 남양 홍씨 들 중에 홍O표가 많이 보이는 것이고 홍준표, 홍만표, 홍익표, 홍문표, 홍일표, 홍원표, 홍학표 죄다 홍영식의 동생 뻘인 것이다. 근데 나이는 90살 이상 차이난다. 뭐야. 조항조가 본명 아니었어?
  7. 조선 기행기로, 서문에 홍영식에 대한 추모글이 있다.
  8. 오랜 교분이 있던 민영익을 차마 죽이지 못하고, 고종의 말 한마디에 마음이 흔들려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그럼에도 뒷통수를 치고 홍영식의 죽음을 방관한 고종은...
  9. 허나 박영효는 서광범을 두고 "서광범은 능력은 있는데 몸이 병약해서 큰일을 하기엔 부적합하지."라고 깐다.
  10. 홍영식의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