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명복창

復命復唱
Read back

상급자가 내린 명령ㆍ지시를 되풀이하여 말함. 또는 그렇게 하라는 명령.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시행을 다짐하게 된다.

복명복창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곳은 물론 군대, 그 중에서도 특히 포병, 공병, 탄약 등 군대에서 위험한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부대. 또한 사격훈련 교장이나 수류탄훈련 교장 등 사람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곳은 거의 복명복창이 필수이다. 또한 군인으로 첫 걸음을 나가는 사관학교, 부사관학교, 훈련소 등에서도 복명복창을 매우 강조한다. 이를 통하여 명령과 지시가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군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문) A : XXX 이병, 탄약고에 가서 실탄 1박스랑 수류탄 1박스를 가져오게. / B : 이병 XXX, 예 알겠습니다! 탄약관님. 지금 탄약고에 가서 실탄 1박스랑 수류탄 1박스를 가져오도록 하겠습니다!

당연히 복명복창 똑바로 안 하고 목소리도 작게 한다면 포풍갈굼에 벌점에다가 얼차려 크리를 먹으니, 짬 안 되는 장병들은 제꺽제꺽 목소리 크게 하고 복명복창 똑바로 하자. 큰 목소리로 복명복창을 하는 것을 비웃는 선임들은 거의 없다.
일과훈련 때처럼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일을 할 때라면 복명복창을 똑바로 해야 하겠지만, 일과 끝나고 편히 쉬는 생활관에서조차 군기를 잡는답시고 악질 선임들은 복명복창을 강요한다면, 당연히 병영부조리에 해당한다.

비단 군대 뿐 아니라 정확한 지시사항 전달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복명복창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군대건 민간이건 간에, 항공기 조종사들은 항공관제사의 지시사항을 반드시 복명복창(read back)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군에서는 비록 조종사가 관제사보다 상급자라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군 조종사는 장교인데 비해 관제사는 대부분 부사관이다). 철도 현장에서 적용되는 지적확인 환호응답도 복명복창과 마찬가지의 취지로 도입된 규정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