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융

傅肜
(? ~ 222)

1 개요

부융신
후한 말과 삼국시대 촉한의 신하로 의양군 출신이며, 부첨의 아버지.

융(肜)을 동(彤)으로 착각하는 바람에 각종 판본에서 부동으로 기록하자 많은 사람들이 부동으로 착각했다.[1] 작은 글씨로 보면 솔직히 두 글자가 같게 보이기 때문에 좀 더 크게 보면 비교가 가능하다.

융肜 동彤

222년에 이릉대전에서 별독으로 참전했지만 육손의 계책에 패해 퇴각할 때 뒤를 맡아 적의 추격을 끊으면서 싸우다가 휘하의 병사들 전원이 전멸했는데, 이에 오나라 장수가 항복을 하라고 하자

오(吳)나라 개들아! 한(漢)나라 장군으로 항복하는 자가 어찌 있겠는가!

라고 욕하면서 싸우다가 전사했다. 잠깐, 이거 전에 똑같은 말 하고 죽은 녀석을 본 것 같은데

후에 아들 부첨도 촉을 위해 싸우다가 전사했으며 촉나라 멸망 이후에는 부첨의 아들인 부저(傅著), 부모(傅募) 등은 죄인의 자식으로 종이 되었다. 하지만 서진이 건국되고 269년 사마염이 조서를 내려 부융, 부첨 2대에 걸친 충의를 칭찬하면서 그 죄를 면해줬다고 한다.

삼국지연의에서는 장익과 함께 중군호위로 임명되어 이릉대전에서 참전했으며, 뒤를 막다가 여덞 면으로 포위되어 정봉이 "서천의 군사는 헤아릴 수 없고 항복한 자가 매우 많다. 지금 너는 힘이 다하고 세력이 외로워졌는데, 어찌하여 어서 항복하지 않느냐?"라고 묻자 "나는 한의 장수다. 어찌 오나라의 개들에게 항복하겠느냐!"라고 외치면서 창을 잡고 거느려 오군 속으로 들어가 백여 차례 부딪쳤다. 그러나 싸워도 포위를 풀지 못하자 "오늘로 나도 끝이로구나"라고 탄식하다가 입에서 피를 토하면서 오군의 무리 속에서 전사했다.

2 미디어 믹스

삼국지 13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평범한 C급 무장으로 등장. 아들인 부첨이 쓸모가 많다는 데에 의의를 두자. 이름은 부동으로 잘못 나오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67/무력 72/지력 42/정치력 41의 능력치에 분투를 가지고 있다. 아들의 하위호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2/지력 46/정치력 47/매력 63의 C급 무장에 특기도 기술, 저지, 기합 뿐. 아들인 부첨은 유용하지만 문제는 부융은 이릉전투 이후 전사하는데 아들인 부첨은 출사표 시나리오까지 가도 등장하지 않기 떄문에 둘이 겹칠래야 겹칠 수가 없다. 참고로 부첨의 등장년도는 230년이기 때문에 그때까지 안 죽기를 바래야 할 판.

삼국지 11의 특기는 연전이다. 주장이었다는 풍습, 장남에게도 특기가 없는데 C급 무장인 부융은 특기를 달고 나왔다. 역시 뭐든 임팩트가 중요하다. 신야에서 재야무장에 있어서 신장을 가진 관우에게는 매우 좋다. 영웅집결에서는 아들과 같이 매우 좋은 재야가 된다.

삼국지 12에서는 아들 부첨도 살아남고 풍습도 살아남았는데 자신은 짤렸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66/72/46/42이고 중신특성도 없고 특기도 훈련(1)과 견수(2)밖에 없는 평범한 C급 무관이다. 11편과 같이 일러스트가 휴고화 됐다. 아들도 마찬가지다. 부자가 쌍으로 휴고니즘
  1. 국내에서는 가장 많이 읽혔으리라 생각되는 이문열 평역 삼국지에서도 부동이라고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