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습

1 일반적인 의미

  • 風習: 풍속과 습관을 합친 말로 보통 다른 마을이나 부족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된다.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풍습 중 하나로 쥐불놀이가 있다 카더라.

2 삼국시대의 인물

馮習
(?~222)

삼국시대 촉나라의 장수. 자는 휴원(休元). 남군 사람.

유비를 수행해 211년에 촉으로 들어갔으며, 병사들을 이끌고 유비를 따라 오를 정벌하러 갔다가 222년에는 이릉대전에서 대독으로 참가해 무현에서 오반과 함께 이이 등이 이끄는 오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운다. 그러나 6월에 자귀에서 10여리 떨어진 곳에서 육손이 화공을 성공시키면서 그 여세를 몰아 육손이 총공격을 감행하게 하자 효정에서 유비군이 격파되면서 반장의 부하에게 살해된다.

계한보신찬의 평에 따르면 적을 가벼이 여겨 시기를 잃고 위험을 초래했으며, 장남이 분투했다가 똑같이 이 패배로 목숨을 잃어 재난은 한 사람으로부터 생겨 확대된다고 했다.

장비 대신 촉군 대도독을 맡은 것으로 보아 분명 능력이 있긴 했던 듯 하지만 기록이 워낙 적어서 알 수가 없다. 이릉대전 이전에는 활약상이 없는 데다가 그 이릉대전에서 패배하며 죽었으니... 일단 사람 보는 눈 하나는 좋은 그 유비가 대도독으로 삼았을 정도면 기본 이상은 되는 듯 한데, 정말로 능력이 있어서 쓴 건지 그 당시 촉군의 상황 때문에[1] 다소 못미치지만 어쩔 수 없이 쓴 건지도 알 수 없다.

삼국지연의》에서도 이릉대전에 참전해 손환주연의 군대가 이이, 사정, 담웅 등이 죽어 수세에 들어가자 오반에게 장남과 함께 손환의 진채를 야습 할 것을 건의하며, 오반이 주연의 지원군이 오면 위험하다고 하자 장남이 주연군과 손환군의 사이에 장포관흥을 매복시키면 문제없다고 하자 오반이 그 곳에 위항의 계책을 더해 주연이 바로 손환을 돕도록 만들어 야습을 성공시킨다.

이릉성에 손환이 퇴각하여 농성을 하자 장남과 함께 이릉을 공격하는 역할을 맡으며, 이후 육손이 오나라의 군대를 이끌게 되고 육손이 지루한 농성전을 펼치자 풍습은 유비에게 가서 지금 있는 들판은 더우니 숲속으로 옮길 것을 건의한다. 이에 유비군은 숲속으로 진채를 옮겨 결국에는 육손의 화계에 당해 대패한다.

풍습은 장남과 함께 이릉성의 손환의 군대와 육손의 군대에게 포위당해 전사하는데, 삼국지연의 한정으로 숲 속으로 옮길 것을 건의해 촉군이 대패하게 만든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2.1 미디어 믹스

삼국지 12,13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나오는데 능력치는 기대할 게 못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3/지력 38/정치력 42. 분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6/지력 40/정치력 42/매력 64에 특기는 일제, 나선 2개다.

삼국지 12에서는 부동, 장남, 두로, 유녕 등이 다 안나왔는데도 불구하고 이릉대전에서만 등장하는 장수 중에는 사마가와 함께 살아남은 인물. 통솔력과 무력이 70대 중반에 전법이 전공격강화라 쓸만 하지만, 지력이 낮고 특기가 단 하나도 없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오반과 함께 캡틴 촉나라로 등장했다.
  1. 관우에 이어 장비, 황충까지 죽은 데다가 조운은 전쟁에 반대했고 마초는 이릉 대전이 있던 그 해에 사망했던 만큼 병석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동화, 미축, 법정 등 참모진도 줄줄이 죽어나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