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몽골의 전통 레슬링
1.1 개요
몽골의 인기 스포츠 중 하나. 몽골어로는 (Бөх).매년 7월에 열리는 나담 축제(эрийн гурван наадам,Naadam Festival)에서 볼 수 있다.
1.2 상세
1.2.1 역사
이 나담은 유목민의 삶에서 중요한 가축들의 성장과 풍요를 기원하는 종교적 의미와, 힘과 기술을 겨루는 경기를 통해 병사를 모집하고 훈련시키는 군사적 의미를 지닌 행사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몽골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되새기고 스포츠 경기로 전 국민을 단결시킨다는 정치적 의미가 강조된 행사로 그 성격이 변했다. 나담 축제는 몽골 기마병과 전통 복식을 갖춰 입은 주민들의 행진으로 시작되며, 열띤 스포츠 경기 외에 몽골 전통 음악 공연, 음식과 공예품 판매 등이 함께 이루어져 몽골의 전통과 문화가 집약된 축제인데 기마, 활쏘기 등등 고유 놀이를 한번에 다한다. 이런 전통 대회 맥이 끊겨버린 한국이나 일본이나 중국과 달리 몽골 최대 스포츠 행사로 인기가 많다. 때문에 부흐나 활쏘기나 기마에서 우승하면 후한 상금에 명예를 누리기에 인지도가 높다.나담 부흐에서 우승한 씨름선수는 아와르가(Аварга)라고 불리운다.
1.2.2 규칙과 형태
상의는 긴팔의 옷을 착용하나 등의 상부와 팔까지만 두르기 때문에 잡을 수 있는 부위는 실질적으로 목의 뒷깃과, 소매깃을 잡을 수 있고, 하의는 거의 속옷에 가까운 짧은 팬츠이기 때문에 옷을 잡는게 아니라 맨 다리를 직접 잡아야된다. 그리고 신발은 규정된 가죽신발을 신어야한다. 규칙과 복장 때문인지 유도와 레슬링을 섞은것과 같은 모양새이고 팬츠의 벨트라인을 잡아도 되기 때문에 한국의 씨름과도 유사한 상황도 종종 나오는 편이다. 부흐는 손이나 무릎이 지면에 닿아도 한판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매치지 않고 발기술로 상대방의 다리를 걸어 넘어 뜨리는 장면도 많이 나온다.
유도의 한팔 업어치기나, 어깨 매치기와 유사한 기술이 있으나, 무릎이 지면에 먼저 닿으면 한판이므로 지면에 무릎을 닿지 않는 식으로 사용하여 특이한 장면이 연출된다. 이는 다리를 잡는 태클에도 동일하여, 레슬링의 태클이 최종적으로 무릎이 지면에 닿아 상대를 눌러놓는 식인데 비해 부흐는 무릎이 닿지 않은체 태클이 이루어진다. 그라운드가 없기 때문에 태클에 대한 되치기도 선체로 이루어진다.
1.2.3 선수
2000년대 이후, 부흐 선수들이 일본 스모계에 진출하여, 그 중 일부는 일본인 선수들을 능가하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고 있다. 2010년대부터는 한국 씨름 대회에도 몽골인 선수가 등장하는 등 부흐 선수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3 미디어에서
용호의 권 2에 등장하는 몽골인 템진의 격투 스타일이자 취미이지만 기술들이 반강 떨구기에 근육버스터까지 있는 엽기다.
사조영웅전의 곽정도 할 줄 안다. 근접에서 기술이 오묘해서 제대로 된 무공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라고 나오며, 이를 이용해서 한참 실력 차이가 나는 구양봉 순간적으로나마 제압하기도 했다.
2 여신전생 시리즈의 마법
부흐 계열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