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동통신

< 북한

이 항목은 북한의 이동통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북한의 이동통신에 관한 내용.

2 역사

북한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2002년에 태국의 통신사를 통해 GSM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룡천역 폭발사고 때 김정일이 목숨을 잃을 뻔한 일 때문에 핸드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왜냐면은 이게 암살시도로서 폭발물의 기폭장치로 휴대폰이 사용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이였다.

2008년도에 핸드폰 사용 금지령이 풀리게 되면서 설립된 업체가 고려링크였다. 사용 금지령 이전에 사용된 GSM 방식의 망은 외국인 전용인 선넷으로 발전되었다가 고려링크와 통합하는 형태로 폐지되었다.

이후 고려링크 단독으로 북한에서 이동통신 사업을 진행했으나 2013년도에 강성네트망을 북한 당국이 추가적으로 설립하였다.

이후 2015년도에 들어서면서 북한 당국이 고려링크를 견제할 의도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던 공기업인 을 제 3 이동통신 사업자로 선정하였다. [1]#링크

사실 예나 지금이나 카더라 통신 사용자가 넘사벽으로 많다 카더라

3 북한의 핸드폰 요금 체계

3.1 납부 방법

북한의 핸드폰 요금은 3대 이동통신사 전부 전신전화국이나 우편국에 납부하는데, 선불로 최소한 북한 돈 5,000원[2] 이상을 납입한 뒤 필요할 때마다 충전하여 쓴다. 정해진 납입시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충전된 금액이 통화할 때 바로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고객이 언제 숙청될지 알 수 없으니까 후불제를 도입할 수 없다

3.2 요금제

북한의 휴대폰 통화요금은 1분에 1달러(북한 돈 3500원 정도) 정도이다. 59초 이하도 1분으로 간주하는데, 예를 들어 3분 1초 동안 통화를 하면 4분 동안 통화한 것으로 되어 4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요금을 낼 때 평양의 잘 사는 일부 계층은 미국 달러유로로 지불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북한 원화로 지불한다.

제1 사업자인 고려링크의 경우에는 통신사가 외국과 체신성의 합자회사이기 때문에 북한돈으로 납부하는 경우 환율을 적용해야 하는데, 북한에서 통용되는 3가지 환율 중 외화교환소의 환율을 적용한다. 외화교환소의 환율은 장마당 환율인 실질 환율에 가까우면서도 북한 당국이 공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4 단말기

휴대 전화/북한

5 메신저

북한에서 인터넷만 된다면 남한으로의 카카오톡이 가능하다고 한다. 기술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 #링크 실제로 대북사역 및 통일운동을 하는 한 재미교포 목사가 평양에서 서울로 카톡을 보낸 내용이 공개되었다. # 물론 이에 따라 간첩들이 카카오톡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었으나, 북한의 이동통신 체계의 문제로 인해 활용하는 일이 거의 없을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 일단 앱스토어가 안열린다 그리고 반대로 말하면 남한에서 북한으로 야동을 보낼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북한에서 야동 보면 교화소행이라 카더라

6 사업자

  1. 북한 당국이 제 3의 사업자 선정은 사실상 북한의 휴대전화 시장을 독점해온 체신성과의 해외합작법인 고려링크를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북한의 새 사업자 선정은 고려링크의 최대주주인 이집트계 통신사 오라스콤 지분을 축소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한다. 북한이 고려링크와 별의 합병을 통해 현재 75%인 오라스콤의 고려링크 지분율을 대폭 줄이려 한다는 것.
  2. 우리나라 으로 환산하면 약 2200원 정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