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달러

앵글로/메소아메리카의 화폐
캐나다 달러미국 달러벨리즈 달러멕시코 페소
과테말라 케찰온두라스 렘피라니카라과 코르도바파나마 발보아
엘살바도르 콜론코스타리카 콜론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
미국
달러

(USD)

유럽연합
유로

(EUR)
£
영국
파운드

(GBP)
¥
일본

(JPY)

중국
위안

(CNY)
미국 달러
United States dollar $
USDnotes.png
ISO 4217 코드USD
중앙은행연방준비제도
사용국 미국
기호$
단위1¢, 5¢, 10¢, 25¢, $½,
$1, $2, $5, $10, $20, $50, $100
인쇄처미국 조판 및 인쇄국
조폐국미국 조폐국

U.S. Dollar (유에스 달러)[1]

1 소개

미국과 전세계를 대표하는 제 1의 화폐. 전세계에 달러라는 이름을 가진 화폐가 많지만 보통은 그냥 "달러"라고 해도 대부분 이걸 뜻할 정도로 막강하다.

미합중국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USD. 기호는 $[2](타 달러화와 구분할때는 US$ 또는 USD)[3][4]로 세계 통화의 대표이자 달러계 통화의 대표다. 보조단위로 센트(cent, ¢[5])가 있다. 대한민국 원과의 환율은 21세기 들어 900원부터 1200원 대를 왔다갔다 하고 있는데 2016년 기준으로는 1100원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다.

발권은 미국연방준비제도(FRB)에서 하는데, 정부소속은 아니고 공기업도 아닌 엄연한 민영은행(엄밀히 말해 은행은 아니지만)이다. 다만 주화는 정부에서 직접 하고 있고, 이것이 법으로 제정되어 있다. 즉, 미국은 자국의 화폐를 자국의 경제력을 담보로 발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건 어느 나라나 다 마찬가지다.) 자세한 내용은 연방준비제도 항목 참고.

비록 미국에서 사용하는 단위이지만, 세계 표준 화폐라고 불러도 될 만큼 널리 퍼져있다. 대다수의 나라가 환율 비교시 제 1의 외화로 미국 달러를 지정하고 있고, 자국화폐를 돌릴 수준이 아닌 난리통 중인 나라 혹은 규모가 너무 작은 나라들은 그냥 가져다 쓸 정도에, 일부는 아예 자국화폐 가치를 달러가치에 고정시켜서 자국화폐의 가치를 결정하게 하는 국가들도 있다. (이를 고정환이라 한다.) 아예 경제용어중에서 달러통용화(Dollarization)[6]라는 단어가 생겼을 정도다. 그 외에도 각종 국가별 통계 비교에서도 미국 달러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GDP, GNP, 빅맥 지수 등)

그야말로 세계를 움직이는 돈이라 할 수 있고, 귀금속만큼이나 안전한 화폐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7] 미국 본토가 전쟁에 휘말리지 않는 이상, 전쟁과 같은 국가 기반이 흔들리는 일이 발생할 경우 대신해서 유통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화폐다. 대표적으로 현재 소말리아는 내부 사정상 실제 거래는 미국 달러로 한다. 역사적으로도 국가기관병크나, 전쟁, 무정부 상태 등으로 화폐가치가 쓰레기가 될 경우, 자국 화폐를 대신하여 미국 달러가 실질적인 화폐로 유통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사실상 세계 유일의 기축통화로의 위엄을 보이는데, 이에 야심차게 도전장을 내민 통화가 유로였다. 한동안은 유로의 위상이 달러에 버금가게 높았지만 유로존 일부 국가가 국가부도 사태 직전까지 간 덕분에 유로라는 화폐의 전반적인 신용 하락으로 미국 달러의 안전자산 이미지는 한층 높아졌다. 여담으로 국제거래시 달러를 사용하는 이유가 단지 미국이 최강대국이라서만은 아니다. 가장 큰 이유는 석유때문인데, 석유는 오로지 달러로만 구입할 수 있다보니 쓰지 않을래야 안 쓸수가 없게 만든다. 유럽의 유로나 중국의 위안이나, 일본의 엔이 달러를 넘을수 없는 이유.

세계 표준 화폐라는 그 위상으로 인해, 전세계 대부분 국가에서는[8] 미국 달러 환전의 수수료는 타 통화에 비해 넘사벽으로 저렴한 경우가 많다. 한국 기준으로, 관광으로 먹고 사는 동남아권으로 여행을 갈 경우에는 동네 은행에서 미국 달러로 바꾸고 거기서 또 현지 통화로 환전하는 것이 한국에서 한 번 환전하는 것보다 저렴할 정도다.[9] 그럴 수밖에 없는 게, 모든 환율은 미국 달러 대비 몇 배의 환율을 갖느냐로 표시하는, 이른바 삼각계산법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원화도 그렇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일본 엔화로 환전하고자 할 경우, 원 per 달러 환율에 엔 per 달러 환율[10]을 나눈 값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작은 국가의 화폐는 수요가 많지 않아 그만큼 수수료가 더 얹어진다. 그 외에도 비자카드, 마스타카드 등 신용카드 회사의 전표 매입, 석유 매매 시장에서는 오로지 미국 달러만 사용한다. 따라서 해외여행 중 비상금으로 100달러 신권 1장 정도를 어딘가에 잘 챙겨두면 사고시 긴밀하게 대처[11]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상금이 될 것이다.[12]

2016년 9월 6일 KEB하나은행 기준시 대고객 현금 매도시(고객입장에서 매입시) 미국 1달러당 환율 [13]
1달러 당 = 1126.37

USDKRW
1달러1,130원
2달러2,250원
5달러5,630원
10달러11,260원
20달러22,530원
50달러56,320원
100달러112,640원

작성 당시 10년 기준 최고치는 1572.64 최저치는 900.83

2 달러통용화 (弗通用化)

기본적으로 미국 달러는 이름 그대로 미합중국에서 발행하고 사용하는 통화다. 이 외에 모종의 이유로 미국 달러를 자국화로 쓰는 경우는 아래와 같은데, 이를 달러화(化), 이른바 달러리제이션(Dollarization)이라고 한다. 모두 그런 건 아니지만 달러에 의존하는 이런 나라는 대체로 약소국이 많다.

국명자국통화교환비(=US$1)
벨리즈달러2.00
동 카리브 기구[15]달러2.7
아루바플로린1.79
신트마르턴
퀴라소
길더3.75
사우디아라비아리얄3.64
카타르리얄3.6725
아랍에미리트디르함3.6725[16]
바레인디나르0.3845[17]
오만리알1
버뮤다달러1
요르단디나르0.709
레바논파운드1507.5
바하마달러1
케이맨 제도달러0.8333[18]
바베이도스달러2
쿠바페소1
지부티프랑177.721
에리트리아낙파10
홍콩달러7.75~7.85

목록을 보면 석유를 달러로 거래하는 중동의 산유국이나 카리브해의 소국들이 많다.
미국 말고 12개국이 무너지거나 달러 페그제를 폐지해야 비로소 휴지조각이 되는 화폐이기도 하다. 애초에 그 12개국에게 기대하는 것이 무리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역시 지금은 변동환율제 국가지만 예전에는 달러에 연동하여 고정환율제 비슷한 관리변동환율제에 따라 통화정책을 추진했다.[19] 그에 따라, 삼저호황 당시의 저달러가 사회 통념과 달리 경제 호황을 야기한 것도 따지고 보면 이 원리 때문이었다.[20]

3 동전

통용화로서 정확히 6종류가 있으나 실제로는 4종류만 쓰이며, 범용성까지 고려한다면 쓸만한 동전은 10센트와 25센트짜리 2종류밖에 없다(…). 물론 니켈을 허투루 막 버린다는 뜻은 아니지만...[21] 참고로 한인 사회 일부에선 동전 종류를 이름이나 센트 대신 "전"이라고들 흔히 쓴다. 예를 들어 $1.99를 읽으면 1불 99전이 된다. 동전도 이름 대신 쿼터를 25전짜리 동전 (...) 이런 식으로 부른다. 국내에서는 미국 동전을 환전해서 미국 현지에서 쓸려면 정작에 없다는 것이 문제다.

78px
78px
별칭
¢1페니, Penny,
사용설명서
환율로 따지면 한국의 10원짜리와 액면가가 비슷하지만, 소득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물가 비교 시에는 미국의 물가가 더 비싸기 때문에 실제 취급은 한국의 10원짜리 이하다. 그래도 마트에서 물건을 살때 $XX.99류의 가격[22]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소비세가 붙는 주건 아니건 볼일이 많은 동전이다. 하지만 쓸 데가 거의 없다는 것이 문제. 웬만큼 돈 버는 미국인들은 1센트짜리가 떨어지면 줍지도 않는다는 말도 있다.[23] 편의점이나 체인 식당 등지에서는 다른 사람들 잔돈 편하게 계산하라고 계산대에 모아두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몇몇 외국 관광지에서는 이걸로 뽑기 같은 것도 할 수 있는데, 1센트를 내는 것이 아니라[24] 1센트를 압착해서 기념품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화폐 훼손같은거 안걸리나? 미국과 유럽 법령상으론 사기 목적이 아닌 주화의 변조는 금지가 아니기 때문. 의외로 캐나다에선 불법인데도 자주 볼 수 있는데, 사실상 사용자나 법 집행 기관도 사실상 신경쓰지 않는 형태.[25]
87px
87px
별칭
¢5니켈, Nickel
사용설명서
자판기등에서 거스름돈으로 자주 쓰인다.
74px
74px
별칭
¢10다임, Dime
사용설명서
현금거래를 하다 보면 자주 받게 되는 동전이지만 그닥 쓸 데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 니켈보다 크기가 작고 가벼우므로 곁에 두고 볼 때마다 미묘한 기분이 들 것이다. 그래도 페니나 니켈보다는 좀 더 자주 쓰게 된다.
100px
100px
별칭
¢25쿼터, Quarter, 2 Bits
사용설명서
가장 대중적인 동전. 대형 마트나 무게를 달아 파는 개념이 아닌 이상은 쿼터 단위로 끊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크기나 무게도 적절하다. 몇몇 자판기들은 아예 25센트짜리만 받는 자판기가 있다. 독수리가 그려져 있는 보통 쿼터와 달리 미국의 50개 주 + DC + 미국령을 상징하는 쿼터 시리즈, 미국의 명소와 자연경관을 묘사한 America the Beautiful 쿼터 시리즈 등도 유통/사용되고 있어 수집 욕구를 자극한다. 이제 막 나오기 시작한 America the Beautiful 시리즈와는 달리 2009년 DC + 미국령을 마지막으로 주조가 완료된 50개 주 + 미국령 시리즈 같은 경우는 미국에서 1~2년 정도 살면 모으기가 생각보다 쉬우니 덕후들은 한번 도전해 보는 것도 괜찮다.
126px
126px
별칭
¢50하프, Half, 4 Bits
사용설명서
1달러짜리 보다도 더 구경하기 어려워, 기념주화로나 등장한다. 아예 하프달러가 있었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도 흔하다. 랩퍼인줄알았나? 원래는 은화였으나 케네디가 암살된 후 조의를 표하기 위한 기념주화로 쓰이기 시작하면서 은이 점차 없어지고 현재의 크기와 합금 비율이 정착되었다. 신형 1달러 동전보다도 크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어렵다. 물론 기념 주화로 발행될 때는 은/금화로 찍혀나온다.
109px
109px
별칭
¢100달러, Dollar, Pieces of Eight
사용설명서
시중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으나 쓰려고 한다면 상대방도 받기는 받아준다. 그렇찮아도 1달러짜리 사용량이 많은 미국인데 무게도 무겁고 크기도 큰 편이라 이틀정도 주머니에 한 움큼 넣고 다녀보면 왜 미국 사람들이 1달러 동전을 안 쓰는지 자연스레 알게된다. 그래도 아이젠하워 실버 달러 이후로는 실버 달러 코인은 캐나다 1달러 동전 수준으로 작고 가벼워졌으며, 약간 더 두꺼운 골드코인도 도입되었다. 금색에 자유의 여신상이 그려져 있어서 은근 멋있다. (사진에 있는 건 사카자위아 달러) 굳이 1달러짜리 동전을 보고 싶다면 은행이나 우체국에 가서 바꿔달라고 하거나, 우표 자판기에서 10달러짜리 지폐를 넣을 경우 거스름돈으로 1달러짜리 동전이 나오기도 한다. 아니면 로스앤젤레스 지하철이나 뉴욕 지하철에서 티켓을 살때 5불짜리를 넣어보자. 1달러 짜리가 우수수 떨어진다. 역으로 말하자면 이런데 말고는 쓸데가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미국의 역대 대통령과 영부인들의 초상화를 새긴 시리즈가 2007년부터 발행되고 있으니 수집할 생각이 있는 사람은 수집해 보도록 하자. 여담으로 망간이 포함된다.

4 지폐

최초의 등장은 1785년. 그러나 민간은행들이 지 맘대로 돈을 찍어내서 실제로 화폐 구실을 한것은 1792년의 일이다. 그리고 그것이 근대 국가에서 등장한 최초의 십진법 화폐라고 한다(1달러 = 100센트). 어원과 역사는 달러 항목 참고.

4.1 연방 이전 은행권

  • 금증서 - 금본위제도 하에 발행된 지폐. 1993년 퇴출.
  • 은증서 - 은본위제도 하에 발행된 지폐. 1965년 퇴출.
  • 그린백 - 미국 재무부가 직접 발행한 지폐. 1994년 퇴출.

4.2 연방은행

1913년 연방준비제도가 생기면서 통용되기 시작한 지폐. 이후로 금태환에서 불태환으로 바뀐 점을 제외하곤 100년이 넘도록 화폐개혁이 단 한번도 없었다. 그 외 미국 달러의 특징으로는, 액면과 앞면 인물이 항상 고정되어 있다는 점. 캐스팅?

더구나 1928년부터 1995년까지는 어지간한 디자인 변경도 없어서 그냥 온통 초록색 돈이라는 뜻의 그린 백(Green Back)이라는 은어가 나돌았을 정도다. 다만 도중에 소소한 부분이 바뀐 부분이 있긴 하다.

아래는 처음 등장했을 때의 모습으로, 작은얼굴 시리즈 (Small Portrait)라고도 한다.

  앞면인물뒷면도안사용설명서
width=100% width=100%$1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26]피라미드
빛나는 눈깔
"IN GOD WE TRUST"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다.")[27][28]
100달러와 함께 미국 달러의 상징처럼 여겨지며,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세금이 붙지 않는 간단한 물품의 구입, 자판기 사용, 그리고 팁으로 자주 쓰이는 권종이다. 다만 ATM은 거의 다루지 않는데, 이건 한국 ATM만원, 오만원 지폐만 다루는 것을 생각해 보면 그리 이상한 일도 아니다.[29] 현재 유일하게, 연방법으로 규정된 지폐 초상을 바꿀수 없는 인물이다.
width=100% width=100%$23대 대통령 토머스 제퍼슨독립 기념서엄연히 현행통화이며 발행도 되고있고, 액수도 낮은 편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으며, 미국에 오래 살아도 볼 일이 드문 권종이다. 본 항목 4.3 참고.
(사진)$3그딴거 없다. 본 항목 4.4 참고.
(사진)$4그딴거 없다. 해당 항목 참고
width=100% width=100%$5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링컨 기념관한국의 5천원권과 포지션이 비슷하다. 팁을 고액으로 줘야 할 때나 비교적 큰 돈이 들어가는 자판기, 5달러를 넘어가는 간단한 생필품의 현금결제 등에 쓰이며 그만큼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현금 자체를 많이 소지하는 경우가 드문 미국에서는 평범한 시민들의 지갑을 보면 1달러짜리와 5달러짜리가 거의 다이고(그 중에서도 1달러) 가끔 10달러권과 20달러권을 찾아볼 수 있는 정도.
width=100% width=100%$10초대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30]연방 재무부꽤 많이 쓰이는 권종이지만 더 흔하게 쓰이는 1달러와 5달러, 그리고 고액권의 대명사인 20달러에 비교하면 좀 어중간한 면도 있다.
width=100%$207대 대통령 앤드루 잭슨백악관미국에서 가장 주력으로 쓰이는 고액권으로, ATM에서도 20달러짜리를 많이 내뱉는다. 1달러짜리와 5달러짜리를 거슬러 받기 위한 용도로도 자주 쓰인다(…). 이 이상의 액수를 결제할 때는 보통 신용카드체크카드를 쓴다.[31]
width=100% width=100%$5018대 대통령 율리시스 그랜트국회의사당100달러짜리보다도 볼 일이 없으며, 웬만한 ATM에서도 뱉지 않는 고액권. 하지만 100달러짜리보다 위폐량이 적다(...).
width=100% width=100%$100[32]벤저민 프랭클린[33]독립 기념관뉴스나 영화에서 가장 흔하게 보는 돈이나 미국의 실생활에서는 도리어 보기 힘들다. ATM은 물론 시중에서도 쓰기 참 번거로운 권종인데, 일단 뜬금없이 100달러를 내밀면 위조지폐로 의심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있다. 물론 한중일 3국에서 온 관광객들을 위시한 단기체류 외국인들은 100달러짜리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만 상대하는 장사꾼들은 크게 신경쓰지는 않지만...하여튼 미국에서 평범하게 산다면 가끔 거액을 현금으로 인출해야 할 일이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볼 일이 없다.
width=100% width=100%$50025대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없다.
$1,00022, 24대 대통령 그로버 클리블랜드없다.
$5,0004대 대통령 제임스 매디슨
$10,000새몬 체이스없다.
width=100% width=100%$100,00028대 대통령 우드로 윌슨없다.미국 달러의 끝판왕. 이건 은행간 지급 결제용으로 사용되던 것이라 시중에는 나올 수 없는 것이 원칙이다. 실물이 시중에 있다면 진품인 가정하에 100% 유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심지어 금태환[34] 가능 화폐라...(가치 = 100억원가량) 복권이다! 금증서 퇴출 이후 쓸 수 없어졌다.
(사진)$1,000,000그딴거 없다. 본 항목 4.4 참고.
  • $500 ~ $10,000 까지는 과거 등장했다가 지금은 발행중지한 권종이다. 하지만 쓸 수는 있는 법정통화인데, 갖고 있다면 차라리 경매에 내놓는 게 더 좋을 것이다.

작은얼굴 시리즈 때는 화폐를 발행한 각 지역 FED의 기호가 지폐의 왼쪽에 알파벳으로 찍혀있었다. 큰얼굴 시리즈로 교체되면서 5달러 이상 지폐에는 이 기호들이 사라지고 FED의 문장으로 대체되어 일련번호의 제일 첫 알파벳으로만 지폐를 발행한 FED를 확인할 수 있다. 각 FED를 의미하는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A보스턴B뉴욕C필라델피아D클리블랜드E리치먼드F애틀랜타
G시카고H세인트루이스I미네아폴리스J캔자스시티K댈러스L샌프란시스코

미국에 살다보면 실제로 사는 지역에 따라서 가장 가까운 FED에서 발행한 지폐의 유통량이 다수를 차지하는 걸 체감할 수 있다. 국내 은행이나 환전소에서 미국 달러로 환전할때 거의 뉴욕 FED에서 발행된 것을 받는 경우가 많다. FED발행권종 관련 근거사이트

4.2.1 금환 화폐와 불환 화폐

1949년, 2차 대전의 후유증으로 폭사한 영국파운드 스털링을 대신해 브레튼우즈 시스템 가동을 선언하며 기축통화자리를 뺏어왔다. 이는 직결형태의 금환화폐 등장을 의미했고, 1온스 = USD 35로 고정시켰다.

300px300px

그 시절 왼쪽처럼 생긴 20달러짜리 화폐를 들고 미국 은행에 가면, 오른쪽처럼 생긴 20달러짜리 금화로 바꿔주었다. 당시 둘의 가치는 완전히 똑같았다. 이걸 온스로 환산하면 약 0.57온스로, 그램으로 환산하면 약 16그램이다. 2014년 7월 기준 금 16그램의 시세는 약 672달러로, 한화로 환산하면 68만 8천원이다. 인플레이션 고려해도 같은 20달러 짜리인데도, 종이지폐에 비해 엄청난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 단 이런 금화는 상당히 레어템인지라, 수집할려는 사람들이 많다. 그냥 녹이는것 보단 경매에 내놓는게 좋다. 1,000달러는 가볍게 넘어간다.

이 시기의 지폐를 가지고 있는 경우, 법률 계정 이전에는 바꿀 수 있었으나... 수정된 현 시점에서는 당장 금으로 바꿔달라고 요구해도 바꿔주지 않는다. 금으로 바꿔 줄 의무가 폐지되었기 때문. 하지만 경매에 내놓으면 가치는 꽤나 있다.

그러다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이른바 닉슨 쇼크라는 사건을 터뜨리면서 금과의 연동은 폐지되어 불환 화폐가 되어버렸다.
295px
295px
1971년 이전과 이후의 10달러. TEN DOLLARS IN GOLD COIN이라는 문구를 찾아보자.

불환으로 변경 이후 사실상 98%에 가까운 가치폭락을 보여주었다.(2010년대 초, "USD 1382/금 1온스") 그러나 파운드 스털링이 기축통화의 자리를 탈환하지는 못했고, 그대로 미국 달러가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 규모와 금융시장에서의적 우위는 여전히 지속되었기 때문.

4.2.2 큰얼굴 시리즈 (Large Portrait)

1996년부터 등장했다. 작은얼굴 시리즈와 크게 다른점은 없으나, 디자인이 조금 바뀌었다. 1달러 지폐와 2달러 지폐는 종전의 도안을 계속해서 사용하였다.

앞면 도안액면가뒷면 도안
width=100%$5width=100%
width=100%$10width=100%
width=100%$20
width=100%$50width=100%
width=100%$100width=100%

4.2.3 색 시리즈 (Color Series, 현행권)

2003년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시리즈로, 보안강화를 기회로 얼굴 주변에 있던 테두리를 벗겨내고 전체적으로 고유의 색을 입혀내 지금까지 미국 달러의 상징과 같던 그린백의 이미지에서 탈피했다. 1달러와 2달러의 도안변경은 이번에도 없었다. 정말 장수한다.
유독 100달러의 발행이 상당히 늦어졌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점. 신경쓰여요!

앞면 도안액면가
(발행 날짜)
고유 색변경점
300px$5
(2008.03.13)
보라색미국 국장이 추가되고 빛에 비추었을시 나타나는 워터마크가 링컨의 초상화에서 숫자 5로 변경되었다.
300px$10
(2006.03.02)
주황색자유의 여신상이 들고있는 횃불과 문구 "We the People" 추가
300px$20
(2003.10.09)
초록색국장의 독수리 문양, 다른 형태가 추가되었다.
300px$50
(2004.09.28)
분홍색미국 국기가 추가되었다.
300px$100
(2013.10.08)
쇠오리색[35]독립선언서가 추가되었다. 중간에 3D 홀로그램으로 각도에 따라 100과 자유종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도록 했다. 독립 선언서 글 뒤에는 독립선언서를 쓰는데 사용되었던 갈색 깃털펜이 추가되었고 앞에는 잉크통과 각도에 따라 자유종이 드러나도록 했다. 프랭클린 왼쪽에는 세계 지폐에 자주 사용되는 EURion 별자리에 따라 100들을 정렬시켜놨다.

4.3 2달러는 행운달러인가 민폐달러인가

한국에서 2달러는 이른바 행운의 상징으로 통해 소장용으로 유통된다. 그 시조는 배우 그레이스 켈리로, 그녀가 2달러 지폐를 선물로 받은 뒤 곧장 모나코 공비가 되어버린 것에서 유래한다.

허나 미국 현지에선 2달러짜리가 거의 유통되지 않기 때문에 구경하기 참 힘들었다. 그러던 중, 1996년에 애틀랜타 FED에서 무슨 생각인지 몰라도 2달러짜리 지폐를 다량으로 찍어내 유통을 시켰기 때문에 오래 살다보면 잊어먹을 즈음해 한 두번 정도는 손에 들어오기는 한다. 현재 미국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2달러짜리 지폐는 이것이고[36],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환전되거나 팔리는 흔한 2달러도 이것이다. 그 후에는 2004년에 미네아폴리스 FED에서 비슷한 양을 찍었고, 또 2006년에 12개 지역 FED 전체에서 소량으로 2달러지폐를 찍었다고 하는데 이 지폐들 비교적 최근에 발행됐기 때문에 아직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지는 않은 듯하다. 근데 그냥 미국 은행가서 2달러 바꿔달라고 하면 바꿔준다... 즉 구할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얼마든지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일생생활에선 보기 힘든 지폐.

문제는 손에 들어온 2달러 지폐는 1달러짜리 동전 그 이상으로 쓰기 귀찮기 때문에[37] 사실상 민폐 혹은 뭥미? 취급을 하고 있다. 그야말로 받는사람도 놀라고 내는사람도 왜 놀라지(...?) 그러면서 덩달아 놀라고. (워낙 통용이 안 되어서, 각종 연감통계에서조차도 예외처리를 하고 있다(...).)

일부(라고는 해도 적잖은 양이다.)는 수집용으로서 은행의 창구를 거치지 않고, 한 장씩 사용가능하게 재단되지 않은 이른바 '전지(全紙 Full Sheet)' 상태로 수집상에게 대량 납품된 것도 있다. 이는 수집용 2달러 지폐가 짝퉁이 아니라 실제 법화로 인정되는 것이나 소장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읽고 수집가를 겨냥한 흥미위주의 상술로 해석한다.), 2매 이상의 연결된 상태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한 조치이다. 잘라서 써도 무방하나, 구매가를 감안하면 손해이므로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38]

하지만 한국에서 환전할때 가끔씩 갓 찍어내서 접히지도 않는 2달러 짜리도 포함해서 환전해줄때도 있다.[39]

참고로, 미국 본토는 몰라도 하와이의 경우는 가게 같은데 가서 2달러짜리로 바꿔달라고해도 바꿔 줄 수 있는 경우가 진짜로 드물다!!

만약 2달러짜리 지폐를 구하기 원한다면 현금 장사를 많이 하는 중국음식점에서 계산하면서 가끔 습득할 수 있으며 춘절에는 드롭될 확률이 높아진다. 한국에 방문해 지인들에게 줄 저렴한 선물로 이만한 게 없다.

일본의 2천엔권 지폐가 꽤나 비슷한 물건. 단점은 거의 유사하지만, 행운의 상징도 아니고 잉여와 개그 소품으로 사용되는게 대부분이다(...)

4.4 짝퉁 달러

미국 지폐모양을 본딴 액면가 100만달러[40]의 자유의 여신상이 도안된 짝퉁 화폐도 수집상에서 팔리는데, 이것이 악의적 위조가 아니라 이벤트나 기념을 위해 제작된 것임을 화폐 인쇄면에 명시하고 있다. 실제 지폐에서 Legal Tender라는 문구가 들어갈 자리에 This is not Legal Tender... 운운하는 문구로 사용자들의 이해를 구하고 있다. 이런 돈을 Novelty Note라고 부른다.

5 이야기거리

5.1 미국 달러의 범용성

모든 국제적인 지표들은 편의상 달러를 단위로 나오며, 가장 넓은 시장을 가지고 있는 미국답게 무역통화의 대표로서 지위도 확고한 편이다. 비유하자면 통화계의 대기업인 셈. 현실의 사례로도 1970~1980년대에 걸쳐 전세계 무기 시장을 주름잡았던 죽음의 상인 아드난 카쇼기는 달러 이외에는 거래 대금을 받지 않았다고 했으니. ? 다이아몬드? 그런건 환전하기도 귀찮다며 거절했고, 다른 무기 상인들도 사정이 비슷하다고 한다. 영화 《로드 오브 워》에서도 다이아몬드로 거래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정식 판매 루트를 거치지 않는 다이아는 현금화가 까다롭기 때문에 꽤나 후려쳐서 받는 장면이 나온다.[41]

그러나 전쟁이나 공황 따위로 해당국가의 지폐가 휴지조각이 되어도 미국 달러 하나면 OK라는 식의 해석은 조금 위험한 발상이다. 실제로는 그렇게 간단히 단정지을 수 없으며, 때로는 차라리 현물(現物)이 더 나을때도 있다. 하지만 전쟁통의 난리때 현물을 들고 피난하기에는 많이 번거로우며, 상대에 따라 가치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대입장에서 그 현물이 당장 필요한게 아닌 이상, 번거로운 짐만 되어 쓰레기로 여겨질 수도 있는 것이니까. 또한 비상식량같은 경우는 유통기한이 지나면 가치가 사라져 쓰레기가 된다. 하지만 달러는 한국은 물론 전세계에서도(심지어 북한에서도!) 일정한 가치가 보장되고 휴대가 간편하여 상대 입장에선 달러가 당장 필요없다해도 달러 꼬불쳐나서 나쁠 것 없으니까(비상금으로 유용할 수 있다.) 어느정도의 거래는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전쟁통의 난리 상황때는 짐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달러는 휴대가 간편하다는 절대적 메리트가 있다. 무거운 금은보화보다 고액달러 지폐다발이 관리와 보관, 운반이 훨씬 용이하다.

덕분에 우리나라에서는 외화를 벌어온다는 표현을 달러를 벌어온다고 한다. 그게 어느 나라건, 한국에서는 달러 벌어온다는 표현이 곧 수출, 중동지역 근로자 파견 등을 상징하게 되었다.

5.2 삼각계산법과 미국 달러

대한민국의 경우, 한때 고정환율제를 채택하였고 1980년까지 제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고정환율로 운영하다가 1980년 유동성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부터 등락폭 제한이 있는 변동환율제를 운영하다가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이후 등락폭 제한이 없는 자유변동환율제로 바꾸었다. 그런데도 대한민국의 외환시장에서 실제로 직접 거래가 이루어지는 유일한 통화이자 원화에 대해 직접적으로 가치가 결정되는 유일한 화폐다. 나머지 통화는 엔화이건 유로화이건 상관하지 않고 모조리, 대한민국의 외환시장에서 결정된 원-달러 환율에 국제외환시장에서 결정되는 해당통화의 대 달러 환율을 곱해서 환율을 결정하는 방식인 삼각계산법을 사용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위안화가 원화와 거래가 시작되었다.

2016년부터 한국 서울외환시장과 중국 상해외환시장간 직행외환시장(청산은행 상해교통은행 서울지점)이 생기면서[42] 드디어 중국 위안화와 한국 원화 간 직거래 시세가 표출되기 시작하였다. 2016년 1월 4일부터 직행시장 거래가 개방되었으며, 2016년 3월 2일부터는 일반인이 은행에서 거래하는 시세도 삼각계산법에서 시장환율로 변경될 예정이다.

계산 방법은 이렇다. 앞에서 말했듯이 외환시장에서 결정된 원-달러 환율에 국제외환시장에서 결정되는 해당통화의 대 달러 환율을 곱해서 환율을 결정하는 방식 이므로 예들어 덴마크 크로네가 1미국 달러당 6.8이고 대만 달러가 40이라고 가정할때(수수료, 세금, 금리, 가격 변동은 무시한다.)

덴마크 1 크로네를 역(逆)으로 미국 달러화로 치환한다. 그러면 0.14706(6번째 올림적용)이 나온다. 그리고 거기에 1달러당 40대만 달러를 곱해주면 된다. 그러면 답은 덴마크 1 크로네 당 5.8824가 나온다.[43]

이 삼각계산법 방식은 지구상 수많은 나라에서 자국화폐와 외국화폐의 환율을 결정하는 척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미국 달러가 국제 외환시장에서 전세계 거의 모든 통화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환율을 결정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굳건히 유지시킬 수 있는 비결이다.

단, FX마진 거래이나 외환시장에서는 미국 달러화는 외환시장에서는 거의 미국식 호가로 표기한다.[44] 하지만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와 일부 중동 통화에서는 미국 달러화로 표시한다.[45] 과거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도 미국 달러화로 표시했으나 경제 사정이나 여러가지 요인으로 현재 유럽식 호가로 표기 한다.

5.3 달러에 대한 도전

이미 서술하였지만, 미국 달러를 독재체재에서 끌어내리기 위해 도전장을 던진 화폐가 유로다. 유로를 제외하고는 파운드 스털링, 스위스 프랑 정도가 대체 화폐로 인정받고 있는데, 마치 미국 달러의 용도를 쪼개놓은 것 같은 각기 다른 한정적인 용도로 한하고 있다. 중국 위안은 그저 안습

몇몇 반미성향 국가의 경우에는 외환 거래의 기준통화를 캐나다 달러유로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쿠바(굉장히 노골적이다. 쿠바 여행 갈 때는 미달러 보다 캔불 들고 가는게 현지에서 훨씬 잘 쳐준다. 미달러는 반정도는 깎아먹고 가야함)와 중동의 몇몇 국가들이다.

미국은 경제가 안 좋아질 때 많은 달러를 '찍어내' 외국으로 수출했다. 즉, 자신의 나라의 부채를 외국으로 수출한 것과 마찬가지. 자동차나 컴퓨터를 수출하는 것과는 정 반대로 언발에 오줌누기식 경제전략일 뿐이었다. 유로화나 위안화, 엔등이 서서히 대두되는 것도 미국 달러의 독주를 막기 위한 이유도 있지만 앞으로 미국달러가 나락으로 곤두박질 쳐질 위험이 상당히 큰 화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을 운영하는 유럽연합, 중국, 일본이 경기침체를 맞아 어마어마한 유동성 확충에 나서는 것을 보면 이들 통화가 달러를 대체하기는 힘들다. EU와 일본은 이미 마이너스 금리에 돌입했으니.

5.4 위조지폐

유난히 100달러짜리 위조지폐가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미국 현지에선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도리어 100달러짜리의 사용량이 매우 적은 편이다. 특히 관광객이라면 더더욱 기피하기 때문에 환전할 때 폼 낸다고 50달러, 100달러짜리로 바꿨다간 진짜 고생한다. 100달러 짜리 지폐를 내면 신분증 등을 요구 하기도 한다. 번거롭더라도 20달러 짜리를 들고 다니는게 좋다.

이 분야의 전문가(...;)로 중국북한이 유명하다. 일명, 슈퍼노트(Supernote)라 불리는 전문가도 구별 못할 수준으로 교묘하게 잘 만든 위폐가 이 지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그거 만들 궁리할 바에 사업이나 제대로 굴릴 궁리나 하지

현금 장사 많이 하는 가게의 경우 위폐를 빠르게 체크하는 방법으로 위폐감별펜(Counterfeit Banknote Detection Pen)으로 슥 그어 형광색이면 진본, 검정색이 나오면 위폐로 확인해볼 수 있다. Office Depot같은 사무용품점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하다.

5.5 대한민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곳

미국 달러를 굳이 대한민국 국내에서 전시상황도 아닌 평시에 대한민국 원으로 환전하지 않고 미국 달러 그대로 쓸 수 있는곳이 존재한다. 단 미국 달러를 받아주는 곳은 고시환율보다 더 높은 환율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대한민국 원으로 계산하는 것 보다 손해다. 국내 은행에서 환전이 힘든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미국 달러 외에도 일본 엔이나 유로도 받아주는 경우가 많다.

5.6 도시전설

9.11 테러 이후 20달러짜리 지폐가 세계무역센터와 펜타곤의 피격을 예고했다는 도시전설이 유행하기도 했다. 9.11 테러와 관련된 미스터리 항목 참고.

5.7 1조 달러 동전?

2012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국가부채한도 상향조정 협상 때문에 민주당과 공화당이 핏대를 높이며 팽팽하게 대립하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교수가 재무장관은 수시로 금화 등을 주조할 수 있다는 관계법률의 규정을 근거로 '1조 달러 짜리 백금 동전을 발행해 연방준비은행 금고에 예치하면 그만큼 부채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만약 여야가 부채한도 인상에 합의할 경우 1조 달러 동전을 회수해 파기하면 그만이다'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 동전 16개면 미국 정부는 그동안의 모든 적자가 한방에 해소된다. 그래서 미국이 그 많은 재정적자가 감당이 되는 것이 이러한 이유...

이에 대해 백악관은 발행에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민주당은 일부 의원이 동조하고 있고, 공화당은 결사반대. 참고로 크루그먼 교수는 1조 달러 동전에 새겨질 인물로 부채한도 상향조정에 어깃장을 놓고 있는 공화당 소속 존 베이너 하원의장을 추천했다(…).

5.8 세계 기축 통화로서의 딜레마

사실상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것 때문에 여러가지 딜레마에 처하게 된다. 이에 대한 가장 유명한 딜레마가 1960년대에 일어났던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로, 당시 달러-금태환 체제였던 국제금융체제에서 각 국가들은 통화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국이 비축한 금을 미국의 달러와 많이 교환을 했는데 동시에 미국 달러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달러화의 가치가 뚝 떨어지게 됐고, 설상가상으로 베트남 전쟁으로 국가지출이 늘어나면서 미국은 통화수지 적자를 기록하면서 1971년에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후 스미소니언 협정-킹스턴 협정에 이르러 미국은 사실상 달러-금태환 체제를 포기하게 된다. 이후 비슷한 상황이 일어나면서 1985년의 플라자 협정이라든지 1989년의 루브르 협정이라든지 미국 달러의 평가절하를 시도했던 사례들도 있었다.

현재도 세계 기축 통화 노릇을 하는 만큼 달러의 가치는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성장과 최근의 양적 완화 등으로 달러의 수량은 늘어날 수밖에 없고, 그러면 달러의 가치는 절하된다. 그래서 최근에도 세계 기축통화로서 여러 화폐의 도전을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건재한 듯하다. 안 그래도 대부분의 화폐권이 죄다 양적 완화다 뭐다 하면서 서로 가치를 낮추려고 하는 판이라...

5.9 최초의 여성 초상화

women_on_20s.png
사태 전개 과정을 다룬 xkcd의 만화

2015년 6월 17일, 미 재무부에서 2020년 10달러 도안의 인물을 여성으로 바꿔넣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하였다.

그런데 원래 이 운동을 주장한 사람들은 10달러가 아닌 20달러 초상화를 바꾸기를 주장했다. 10달러가 선정된 이유는 단지 위폐가 많아 더 재도안이 시급하다는 이유. 20달러의 인물 앤드류 잭슨은 극심한 인종차별주의자로, 인디언 학살을 앞장서 지휘하고 다수의 흑인 노예를 거느린 대농장의 지주였다. 게다가 아이러니하게도 앤드류 잭슨은 지폐제도를 불신하고 굉장히 싫어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폐에다가 이 양반을 집어넣은 양반은 도대체 무슨 생각인 거냐. 반면 10달러의 알렉산더 해밀턴은 건국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서 미국, 나아가 세계 경제의 기틀을 잡았다고 평가되는 인물이었다.

때문에 알렉산더 해밀턴이 10달러 지폐 도안에서 빠지는 것이 부당하다는 여론이 제기되어왔고,[50] 공교롭게도 같은 해 막을 올린 해밀턴의 일생을 다룬 뮤지컬 해밀턴이 사회적 현상 수준의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해밀턴이라는 인물을 재조명하게 되자 이 의견은 더 거세졌다. 결국 재무부는 압도적 여론에 수긍해 알렉산더 해밀턴을 유지하고 20달러 지폐의 도안을 바꾸기로 공식 발표했다. 앤드류 잭슨을 대신해 20달러 지폐 도안에 들어갈 인물은 미국의 여성 흑인 인권운동가인 해리엇 터브먼으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해밀턴은 남게 되었지만 무산된 줄 알았던 10달러 도안 교체도 진행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아무도 요구하지 않은 여성 참정권 운동가들의 그림을 뒷면에 삽입하겠다는 것. 게다가 앤드류 잭슨이 결국 20달러 뒷면에 남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바뀌기는 했지만 상당히 찜찜한 구석이 많은 결정이 되어버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1. United States Dollar의 준말로, 다른 달러통화와 구분할때는 대개 이렇게 부른다. "아메리칸 달러(American Dollar)"라고 하는 경우는 비교적 적은 편.
  2. 나무위키에서는 $가 폰트 효과로(수식) 처리되므로, 한 문단에서 2개 이상 썼을 경우 중괄호 3개씩으로 묶어야 제대로 표시된다.
  3. 세계 모든 나라 컴퓨터 키보드는 다른 나라 화폐 단위는 못 입력해도, 최소한 달러(유니코드로 U+0024)는 입력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본격 유니코드 잉여화 (애당초 키보드라는 것이 나온 나라가 어디인지 생각해보면 당연할지도.)
  4. 한자 문화권에서는 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아닐 불()" 자가 달러($)와 생긴게 비슷해서 사용하는 케이스.
  5. 이걸 C에 가로줄(-)긋는 사람도 은근히 있어, 유로기호 €와 헷갈려하는 경우도 있다.
  6. 미국 달러를 자국의 화폐로 쓰거나 통용 화폐로 인정하는 것
  7. 간간히 경제위기가 터질때 내수가 지나치게 안정된 일본 엔같은 케이스가 아닌 이상, 영향권에 들어가 있으면 달러보다 기복이 심하게 움직이는 통화는 정말 드물다.
  8. 북한, 갈 일은 없겠지만 심지어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가 지배하는 동네에서도 100달러짜리 지폐는 무조건 통용된다. 오히려 그런 여행금지국가 수준의 막장 동네일수록 미국 달러가 최강의 화폐다. 다만 일부 예외는 있어서 쿠바에서는 일부러 미국 달러는 수수료를 높게 매겨놨기 때문에 유로나 캐나다 달러를 가져가서 환전하는 게 더 낫다.
  9. 다만 태국과 말레이시아 등의 경우에는 엄청난 고액이 아니라면 원화를 가져가서 현지에서 환전하는 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한국에서 달러로 환전할 때 수수료와 달러를 현지에서 환전할 때 수수료의 총합이 현지에서 원화를 환전할 때 수수료와 비교해 별 차이 없을 정도로 원화의 위상이 높아졌기 때문. 그리고 어느 쪽이든 한국에서 현지 돈으로 환전하는 것에 비하면 훨씬 싸다.
  10. 원칙적으로는 USD/KRW가 우리가 흔히 아는 원/달러 환율을 의미하지만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임의대로 표기하였다.
  11. 환전해서 집, 외교부, 대사관, 항공사에 전화할 수 있고 대도시의 경우 택시로 대사관에 갈 수 있는 여비 정도는 된다.
  12. 물론 중국, 일본, 유럽권에서는 자기네 화폐를 많이 쓰지만 거기서도 100달러 지폐는 최고의 대접을 받으며 환전도 매우 쉽다. 항상 수첩 한쪽이나 캐리어 깊은 곳에 끼워두고 다니면 좋다. 간혹 여권에다 돈을 끼워두는 사람이 있는데 절대 그러지 말자. 출입국심사시 경우 깜빡하고 미처 빼 놓지 않으면 출입국담당관이 자신에게 바치는 급행료 명목으로 집어가는 경우가 있다.
  13. 지폐만 기준으로 하며 소수점이나 5원이상 경우 반올림 처리한다.
  14. 초반부터 반미성향 국가는 아니었다. 2000년대 들어 대통령이 여러 번 바뀌는 등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다가 라파엘 코레아가 집권한 뒤 반미로 된 것이다. 그런데 코레아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정통으로 경제학을 공부하여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이며, 수크레로 되돌릴 경우 혼란이 예상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미국 달러로 유지하는 것이다.
  15. Organisation of Eastern Caribbean States. 그레나다, 도미니카(연방), 앤티가 바부다,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 키츠 네비스와 영국령 앵귈라 및 몬트세렛(영국령 버진아일랜드)로 이루어진 국제정부기구. 1981년 6월 18일에 세인트루시아의 수도, 캐스트리스에서 설립되었다.
  16. 본래 1 UAE 디르함 = 0.272294 USD
  17. 본래 2.6008 USD = 1 오만 리알.
  18. 본래 1.2 USD = 1.0 케이먼 달러
  19. 심지어 IMF 전까지만 해도 겉으로는 변동환율제 국가였지만 통화당국이 실제로는 원-달러 환율 유지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 지금은 그 때 보다는 훨씬 덜하다.
  20. 한 마디로 엔화에 비해 달러가 낮으니 원화도 낮아졌고, 그에 따라 일본 제품이 국제 시장에서 밀려나 미국 제품과 한국 제품이 꿀을 빨았다는 것이다.
  21. 센트는 정말 길바닥에 떨어져도 안줍고, 동전이 귀찮다며 버려지거나, 팁박스에 지폐속에 숨겨 버리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22. 한국39,800원 따위의 가격을 생각하면 편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위 가격에 세금이 붙어 $1.99면 $2.15를 내야 된다는 게 함정.
  23. 줍는 데 걸리는 시간이 3초라고 가정할 때, 세전 시급이 $16 이상, 연봉 $32,000 이상인 경우에는 줍는 것이 오히려 손해이다. 이 걸 주워서 이득을 볼 수 있는 사람은 오바마의 말마따나 4인 가족 부양이 매우매우 힘들 것이다.
  24. 보통은 25센트 2개와 조합한다.
  25.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행위가 불법이다. 구형 10원 주화를 대량으로 녹여서 황동괴로 만들어 부당이득을 챙기는 행위때문에 2011년에 신설된 한국은행법 제53조2항 때문이다.
  26. 가장 낮은 금액의 화폐에 조지 워싱턴을 집어넣은 이유는 많이 보라고 그랬다 카더라. 그러나 지갑속에는 너덜너덜한 워싱턴들이...
  27. 오해하기 쉬운 점이지만 이 문구는 1954년에 미 의회에서 추가된 것이다. 냉전시대였던 당시 "무신론 국가인 소련에 반해 우리는 기독교 국가다!"라는 주장으로 넣어졌다.
  28. 뒷면의 온갖 요소들이 어우러져 각종 음모론 떡밥을 만들어냈다. 가장 많이 퍼져 있는 떡밥은 이 도안이프리메이슨의 상징이라는 것. 음모론을 부정하는 쪽에서는 이 상징이 각각 크리스트교삼위일체하나님을 의미할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29. 보통 ATM은 20달러짜리부터 인출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30. 건국의 아버지라 불리나, 대통령은 아니다. 에런 버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결투로 더 유명하다.
  31. 미국은 물품세(sales tax)가 자잘하게 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현금 결제를 하면 쓰기도 곤란한 1 센트 짜리와 5 센트 짜리 동전들이 마구 양산된다. 그리고 상인들의 카드 결제에 대한 거부감도 거의 없는 편이기 때문에, 물건 파는 사람이 특별히 현금 결제를 원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거의 카드로 결제하게 된다.
  32. 의외로 100달러짜리가 100만원짜리 인줄 아는 사람 꽤 있다
  33. 미국 건국의 아버지와 같은 인물이지만 10달러의 해밀턴과 마찬가지로 대통령이 아니다.
  34. 금괴와 화폐를 맞교환하는 것.
  35. Teal. 청록색계열로 "틸색"이라고도 하는데 미술계 아니면 알아듣는 사람이 별로 없다. 스타크래프트 1에서 맵 에디터 하던 사람이면 무슨 색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36. 지폐에 왼쪽에 애틀랜타 조폐국을 뜻하는 F가 찍혀있다.("FED"의 F가 아니다.)
  37. ATM에도 안 들어가고 자판기도 받기를 거부한다. 공공기관 자판기마저 예외는 없다(!!)
  38. 한국에서도 2000년대 이후 현행 지폐의 연결된 형태가 수집용으로 액면가보다 조금 비싼 판매가격으로 한국은행의 허가 하에 수집상에서 판매되고 있다.
  39. 뭐 대부분 위에서 얘기한 1996년에 애틀랜타 FED에서 찍어낸 2달러짜리다.
  40. 10억달러, 1조달러등으로 액면 자체는 참 다양하다. 공통점이 있다면 공식적인 최고액면인 10만달러가 반드시 넘어간다는 점. 예외가 있다면 3달러와 0달러(...) 정도.
  41. 까놓고 말해 훔친 물건(장물)을 거래하는 경우 값을 후려치는 것과 같은 경우다.
  42. 이전에 1990년대에 한국 원화와 일본 엔화 간에 직행외환시장(서울-도쿄)이 생겼던 적이 있다. 당시 청산은행은 미쓰이은행. 1997년 외환위기로 없어졌다.
  43. 간단한 산식은 (1/6.8)*40이다.
  44. 예: 1U$=0.9142프랑
  45. 예: 1€=1.2874U$
  46. 출국심사를 통과한 터미널 지역은 중립지역으로, 과세를 보류한다고 해서 '보세구역'이라고도 한다.
  47. 아예 가격표를 달러로 표기하는 경우가 흔하다.
  48. 사실은 미군부대는 미국 연방법이 적용되는 지역으로 카드결제를 하면 미국에서 사용한 것처럼 인식된다. 따라서 여기는 달러를 받는 것이 원칙이다. 영내에서 정식으로 원화를 취급하는 곳은 한국인 대상 스낵바 (Korean Canteen) 정도로, 여기는 달러화와 원화 가격을 별도로 표시한다. 버거킹같은 일반 서비스도 원화를 받는 경우가 있지만 달러 환산 후 거스름돈도 달러화로 내준다. 카투사들도 캔틴 시켜먹을 때나 원화를 쓰는 정도.
  49. 미군이나 카투사가 신원을 보증하고 에스코트 하는 경우 부대 내부에서 볼 업무가 없어도 출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오산 에어파워데이와 같은 미군부대 개방행사에서는 달러와 원을 같이 받기도 한다.
  50. 문서 상단에도 언급되지만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 경제정책 및 통화정책에 있어서 아버지와 같은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