毗曇
1 소개
女主不能善理(여주불능선리): 여군주는 나라를 잘 다스리지 못한다.
(? ~ 647년 1월 17일)
선덕여왕 말년 645년 11월 이찬에서 상대등으로 승진하면서 기록에 첫 등장. 그의 가계는 알 수 없지만 골품제에 의해 진골만이 오를 수 있었던 상대등을 역임한 것을 보면 그 역시 진골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비담의 난을 일으킬 때 진덕여왕을 제외하면 왕위에 오를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는 이야기다. 어쨌든 신라 왕실과 혈연이 있는 사람이었을 것이다.
647년 정월 "여주불능선리(여자 군주는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1]의 명분을 내걸고 염종 등의 여왕의 집권에 반대하는 진골 귀족들과 난을 일으켰다(비담의 난). 경주 중심가 월성을 먼저 점령한 김유신과 김춘추에게 밀려 경주 동쪽의 명활성에 진을 치고 10일간 대치했지만 결국 진압되었다. 그 후 30명의 진골 귀족들과 함께 비담 및 그의 구족이 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흠좀무.[2]
여기서 유명한 일화가 하나 나왔는데, 선덕여왕이 비담의 난 도중 병세가 악화되어 승하하자 하늘에서 유성 하나가 똑 떨어졌다. 그 것을 본 비담이 여왕측이 패배할 것이라고 소문을 내서 병사들이 동요하기 시작했다. 이에 김유신이 불 붙은 연을 하늘로 띄워 별이 다시 올라간 것처럼 보이게 해서 병사들의 사기를 회복시켰다고 한다.[3]
하지만 선덕여왕의 총애를 받았던 비담이 굳이 난을 일으킬 이유가 없으니 김춘추를 왕으로 세우려고 하던 김유신의 음모로 인해 역사에서 반역자로 남았다는 설이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설"일 뿐이고, 총애받던 권신이나 2인자가 난을 일으킨 경우가 역사적으로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비담의 난 도중에 선덕여왕이 사망하고 진덕여왕이 왕위에 오른 것으로 보아 선덕여왕이 자신의 후계로 비담이 아닌 진덕여왕을 추대한 것에 앙심을 품은게 아니냐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 설대로라면 비담이 내건 명분에서 '여주'에는 선덕여왕을 가리키는 것만이 아니라 진덕여왕도 포함되는 셈이다.
비담의 난 이후로 신라의 정세는 급변하는데, 반항하던 귀족들이 죄다 숙청된 덕분에 더욱 확고한 왕권 중심의 체제로 가기 시작했고 결국 태종무열왕(김춘추)의 등극 이후 신라시대는 왕권이 제일 강했던 신라 중대 시기를 맞이하게 된다. 기록이 적고 결국 반란의 수괴로 남은 인물이지만 결과적으로 후대 신라의 역사에 꽤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2 현대 매체에서의 비담
기록이 자세히 남은 인물은 아니지만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라는 선덕여왕과 관계 깊은 인물이고 그녀에게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 그리고 삼국통일의 주역 김유신과 김춘추가 비담의 난을 평정하고 신라 정계의 중심으로 부상하기 때문인지 현대 매체에서는 주인공의 적대 역으로 등장하면서도 어딘지 모르게 매력적인 악역으로 등장하곤 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한국 사극의 수혜자.
2.1 삼국기
드라마 선덕여왕이 히트할 무렵 비담이 최초로 나온 사극이라는 일부 언론의 보도가 있었지만 사실 비담이 최초로 등장한 사극은 이 사극. 여기서는 무인의 이미지가 제법 강한 아래의 비담들과는 달리 노 정객, 혹은 노회한 정치가나 귀족의 이미지로 등장한다. 배우는 최병학.
2.2 선덕여왕(드라마)
비담(선덕여왕) 문서로.
2.3 대왕의 꿈
비담(대왕의 꿈) 문서로.
2.4 세븐나이츠
비담(세븐나이츠) 문서로.- ↑ 대체로 비담이 지칭한 여주를 선덕여왕으로 보는 경향이 많지만 삼국사기에는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중 어느쪽인지 확실히 나오지 않는다. 다만 비담이 거병하던 시점에 선덕여왕은 이미 사망하기 직전이었던 만큼 비담이 애써 폐위시킬 필요가 없기에 비담이 지적한 여주는 선덕여왕 보다는 새로 등극할 진덕여왕일 가능성이 높다.
- ↑ 물론 진골, 즉 왕족에 속한 비담의 먼 친족들까지 몰살시켰다고 보긴 힘들고(까닥했다간 무관한 왕족들까지 죄다 쓸려나갈테니), 대략 비담과 그 직계혈통 관련(아내나 며느리 등의 일족)을 잘라내는 정도에서 그쳤을 듯 하다. 어찌됐든 그 정도에 가까운 대규모 숙청이 있었음은 확실하다.
- ↑ 이것이 연놀이의 시작이라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