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유희왕의 융합 몬스터 카드.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width=100%
...의 룡과 하나가 되어 새로운 힘을 탄생시켜라! 융합 소환! 나와라, 야수의 눈을 가진 용맹한 용!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の龍と1つになりて新たな力を生み出さん!融合召喚!出でよ、野獣のまなこ光りし獰猛なる龍! ビースト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1][2]
소환씬 공격씬

목차

1 원작

width=100%width=100%
애니메이션설정화
한글판 명칭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어판 명칭ビースト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영어판 명칭Beast-eyes pendulum Dragon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8드래곤족30002000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 + 야수족 몬스터
① :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했던 야수족 몬스터 1장의 원래의 공격력 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애니메이션 26화에서 등장했다. 사용자는 사카키 유우야. 공격명은 헬 다이브 버스트(ヘル・ダイブ・バースト).[3]

먼저 출시된 OCG판과는 달리 융합 카드 없이 소환할 수 있는 효과가 삭제된 탓에, EM-트럼프 위치의 효과로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EM-실버 클로를 융합해 소환되었다. 첫 등장에서는 소환되자마자 곤겐자카초중황신 스사노-O를 전투로 파괴하고, 이어서 효과로 실버 클로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주어 피니시를 냈다.

여담이지만 No.106 거암장 자이언트 핸드처럼 OCG 효과가 먼저 공개되고 난 뒤 등장했으나, 해당 카드가 애니메이션에서 상당한 상향을 받은 데 비해 이 카드는 소재가 "펜듈럼 드래곤" 몬스터 + 야수족 몬스터로 더 좁아졌으며, 앞에서 언급했듯이 융합 없이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도 사라지는 등 오히려 너프를 받았다.

그래도 정규 소환을 마치면,융합 소환 이외의 방법으로도 특수 소환을 할 수 있단 점은 OCG판에 비해 낫다.

2 OCG

width=100%width=100%
한글판 명칭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일어판 명칭ビースト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
영어판 명칭Beast-eyes pendulum Dragon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8드래곤족30002000
드래곤족 / 어둠 속성 몬스터 + 야수족 몬스터
이 카드는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자신 필드의 상기의 카드를 릴리스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융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① : 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야수족 몬스터 1장의 원래의 공격력 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V점프 11월호 동봉에서 등장.

융합 카드 없이도 필드에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소환할 수 있으며 이 덕분에 약한 어둠속성/드래곤족, 야수족 몬스터들을 공격력 3000의 융합 몬스터로 바꿔먹을 수 있다. 단, 약한 몬스터를 바꿔먹으면 전투 파괴시 대미지를 주는 효과가 약해지니 그 점은 주의.[4] 소환 코스트가 "릴리스"이기 때문에 묘지로 가지 않는 토큰(희생양 토큰, 방해꾼 토큰 등)도 무난히 바꿔먹을 수 있다.

현재 이 카드가 줄 수 있는 최대 대미지는 마스터 오브 OZ의 4200....은 아니고 일단 종족이 야수족으로 변경된 녀석의 원래 공격력도 대미지로 줄수있다는 재정이 나왔으므로 현재 원래 공격력의 상한선인 5000이 최대 데미지다. 그래도 현실을 고려해보면 고대미지를 주고 싶으면 원래 야수족이고 서치도 되는 극성사랑 펜리르 정도가 무난하다. 4000도 낮은 수치는 아니다.

  •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하는 것은 융합 소환이 아니라, 그냥 특수 소환으로 취급한다. 이는 검투수, VWXYZ 융합 몬스터 등과도 동일한 재정이다.
  • 융합 소환과 특수 소환 둘 다 정규 소환으로 취급한다. 즉, 둘 다 소생 제한을 만족한다.[5] 융합 몬스터가 융합 소환 이외의 방법을 정규 소환으로 가지는 것 또한 다른 검투수 융합 몬스터 등에서 많이 있던 경우. (단, 이 카드는 소생 불가.)
  •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은 융합 소환은 아니지만, 그 릴리스한 몬스터는 융합 소재로 취급한다. 이는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등과 동일한 재정이다. 단,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는 아니기에, 융합 해제로 불러오는 것은 불가능.
  • 뒷면 표시 몬스터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는 검투수 융합 몬스터 등과 동일한 재정이다. 또한 야수족의 함정 몬스터나 토큰을 소재로 해도, 그 원래 공격력을 따져 효과가 발동한다. 또한 융합 소재 몬스터가 이후 어디 존재하든 효과에는 무관하다.

구하는 방법도 V점프 동봉뿐이고 금화고양이 혹은 희생양 토큰 과의 연계로 쉽게 나오는 3000의 드래곤 어태커라 많은 지원을 받은 붉은 눈덱에 사용되어[6]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 매터 드래곤으로 엑시즈 소환까지 이어준다.신품 6000엔, 중고 3000엔대의 높은 가격을 자랑했으나 마스터 오브 펜듈럼에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과 함께 재록이 확인되었다. 덕분에 시세는 반토막 이하로 폭락중.

여담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의 진화체라는 점 외에는 펜듈럼 소환과는 일절 관계가 없는데도 퓨전 드래곤이 아니라 펜듈럼 드래곤이다. 또한 융합 소재가 드래곤족/어둠 속성이므로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브레이브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으로 융합 소환도 가능.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V점프 2014년 11월호 동봉VJMP-JP094울트라 레어일본일본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 MASTER OF PENDULUMSD29-JP043패러렐 레어일본
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SD29-KR005패러렐 레어한국한국 최초수록
  1. 사용한 색상 #3d3125, #aba37d, #52565b, #FFD700, #288cff
  2. 소재에 따라 앞부분이 바뀐다.
  3.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과 공격명이 비슷하다.
  4. 하지만 역으로 말하자면 번 대미지가 낮아지는 걸 감수하고 약한 몬스터를 다른 드래곤족과 합쳐 공격력 3000짜리 몬스터로 바꿔먹을 수 있다는 소리가 되니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5. 물론 잘 보면 ~으로만 특수 소환 가능이라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가 등장할 경우 문제가 된다. 소환 조건은 무시하더라도 소생 제한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
  6. 붉은 눈 덱에서는 저 어려운 조건인 레벨 1/어둠 속성/드래곤족 몬스터를 전설의 흑석, 흑강룡 2체나 사용하며 3장씩 채워넣는다.